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좁혀본 항목 보기순서

        • 원문유무
        • 원문제공처
        • 등재정보
        • 학술지명
        • 주제분류
        • 발행연도
        • 저자
          펼치기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무료
      • 기관 내 무료
      • 유료
      • KCI등재후보

        소나무 천연하종갱신과 인공조림의 경영효율성 비교 분석

        유중원 ( Joung Won You ),원현규 ( Hyun Kyu Won ),한희 ( Hee Han ),김현섭 ( Hyun Seop Kim ) 한국산림경제학회 2020 산림경제연구 Vol.27 No.2

        본 연구는 천연하종갱신과 인공조림의 두 갱신방법 간 투입비용 대비 산출요소의 상대적 경영성과를 비교 평가하기 위한 목적으로 수행되었다. 이를 위해 경영효율성 평가에 널리 활용되고 있는 비모수기법 중 하나인 자료포락분석(Data Envelopment Analysis)을 이용하였다. 두 갱신방법의 투입요소는 동부지방산림청 산하 5개 국유림관리소의 실제 천연하종갱신지 사업비용 자료와 2017년 기준 조림단비표를 적용하여 산출한 인공조림의 비용 자료를 활용하였다. 산출요소는 동부지방관리청 관내 천연하종 및 인공조림 갱신지의 성적조사에서 취득된 ha당 본수, 근원경, 묘고값을 이용하였다. 분석 결과, ha당 투입비용은 천연하종갱신 4,872천원, 인공조림 10,828천원으로 천연하종갱신 비용이 인공조림 대비 약 55% 낮은 것으로 나타났다. 경영효율성은 0.74로 인공조림은 천연하종갱신에 비해 경영효율성이 26% 낮은 것으로 나타났다. This study compared the management efficiency of two regeneration methods, natural regeneration (NR) and plantation (PL), with regards to the relative performance of management outputs against input costs between the two methods. Data Envelopment Analysis (DEA) was implemented to compare the management efficiencies of the two methods. The cost of NR was estimated using the actual expenses of 5 local offices of Korea Forest Service for national forest management while the cost of PL was estimated by the cost table that indicates the expenses of plantation according to manpower and material needs. Trees per hectare (TPH), diameters at root collar (DRC), and tree heights were measured as management outputs. The results of the study showed that the cost of NR was 55% less than that of PL. The overall management efficiency of the PL was 0.74, which means the efficiency of AL was 26% less than the one in the NR.

      • KCI등재

        국내 일본잎갈나무림의 자원량 및 목재생산 잠재량 분석

        김영환 ( Young-hwan Kim ),유중원 ( Joung-won You ),임종수 ( Jong-su Yim ),이승현 ( Seung-hyun Lee ),박주원 ( Joo-won Park ) 한국산림과학회(구 한국임학회) 2020 한국산림과학회지 Vol.109 No.4

        본 연구는 국내 일본잎갈나무림에서 법적·물리적·환경적·기술적 제약조건을 적용하여 실제 목재생산이 가능한 면적을 산출하고, 이를 대상으로 향후 50년간의 자원량과 목재생산 잠재량을 최적화하였다. 연구결과 전체 일본잎갈나무 면적(259천ha) 가운데 목재생산이 가능한 면적은 124천ha(48%)로 분석되었다. 향후 일본잎갈나무림에 대한 자원조성 및 관리 노력이 뒷받침되지 않을 경우, 안정적 목재생산을 담보하기 어려운 것으로 나타났다. 일본잎갈나무림의 목재생산 잠재량을 확대하기 위해 본 연구에서는 임도를 매년 705 km씩 신설하여 목재생산 가능지역을 확대하는 대안 1과 임도를 매년 1,000 km씩 신설하는 대안 2를 적용하였다. 분석 결과, 대안 1은 목재공급량이 현 수준을 유지하거나 5% 정도 증가할 경우 문제가 없으나, 10% 증가할 경우 임목축적이 정체되는 등 안정적인 목재공급에 한계가 나타났다. 반면 대안 2는 목재공급량이 10% 증가하여도 안정적 목재공급이 가능한 것으로 나타났다. 따라서 국내 일본잎갈나무의 안정적인 목재공급 및 생산 잠재량 확충을 위해서는 임도 확대 및 재조림 노력이 뒤따라야 한다. The goal of this study was to classify the area of Larix kaempferi forest available for timber production, considering the legal, physical, environmental, and technical constraints, and to optimize the forest resources and the potential of timber production in South Korea for 50 years. The results showed that the area of Larix kaempferi forest available for timber production is limited to 124,000 ha, 48% of the total area. Without further efforts in resource management, sustainable timber production of Larix kaempferi cannot be guaranteed even at the current level of timber supply. To enhance the potential of timber production for this species, two alternatives were considered: a 705-km annual increment of forest roads (alternative 1) and a 1,000-kmannual increment of forest roads (alternative 2) to enlarge forest areas available for timber production. The results showed that alternative 1 is feasiblefor sustainable timber production both at the current level and with a 5% increment of timber supply. However, alternative 1 is not sufficient in the case of a 10% increment of timber supply with a low growing stock, whereas alternative 2 is sufficient. Therefore, an increase in forests roads as well as regeneration efforts are required to improve the timber production potential of Larix kaempferi in South Korea.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