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무료
      • 기관 내 무료
      • 유료
      • KCI등재

        Borich 공식을 통해 살펴 본 유아의 놀이권리에 대한 교사의 중요도와 실행도에 대한 인식

        유영의(Yoo, yungeui),이미선(Lee, misun),송미정(Song, mijeong),장은정(Jang, eunjung) 학습자중심교과교육학회 2018 학습자중심교과교육연구 Vol.18 No.15

        본 연구의 목적은 유아교사가 인식하는 놀이권리에 대한 중요도와 실행도를 분석 하는 것으로, 이를 통하여 유아교육 현장에서는 물론 넓게는 유아의 삶에서 놀이가 활성화 될 수 있는 방안을 모색하는데 그 의의가 있다. 이를 위해 2017년 8월 19일부터 9월 15일까지 유아교사 378명을 대상으로 설문조사를 실시하였으며, SPSS win 21.0 프로그램과 Borich 공식 및 The Locus for Focus Model 결과를 바탕으로 유아의 놀이권리가 교육현장에서 얼마나 중요하게 그리고 얼마나 잘 실행되고 있다고 생각하는지를 분석하였다. 연구결과 첫째, 놀이의 가치영역에서 유아교사들은 유아들에게 상상적이고 창의적인 문제해결력, 위험에 대처하는 능력, 다양한 경험, 개별성과 정체성을 표현할 수 있는 놀이경험이 놀이권리로서 중요할 뿐만 아니라 실행도 또한 높은 것으로 인식하고 있었다. 반면에 유아교사들은 도전의식을 기를 수 있는 모험놀이 경험에 있어서는 놀이권리로서 유아에게 중요하지만 실행도는 낮은 것으로 인식 하고 있었다. 둘째, 놀이의 환경영역에서는 교사의 체계적 관찰과 평가, 충분한 놀이 시간, 다양한 놀이경험을 할 수 있는 환경을 제공받아야 한다에 대해서 유아교사들은 놀이권리로서 중요할 뿐만 아니라 실행도 또한 높은 것으로 인식하고 있었다. 반면에 사회성과 창의성을 자극할 수 있는 놀잇감, 놀이 시 분쟁이 일어나면 교사의 개입없이 스스로 해결할 수 있어야 한다에서는 유아교사들은 놀이권리로서 중요하지만 실행도는 낮은 것으로 인식하고 있었다.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analyze the degrees of teachers’ perception of children’s play rights and has a significance in that it lays the foundation for finding measures to revitalize play widely in children’s life as well as in the field of childhood education. To do this, we conducted a questionnaire survey of 378 early childhood teachers from August 19th to September 15th, 2017. Based on the results of the SPSS win 21.0 program, the Borich formula and the Locus for Focus model, we analyze how important and how well the children s play rights are being implemented in the educational field. As a result of the study, first, In the value area of play, early childhood teachers perceived play as important as play rights, as well as performance, in that they were able to express imaginative and creative problem solving ability, ability to cope with risks, various experiences, individuality and identity there was. On the other hand, the early childhood teachers perceived that adventure play experience which can raise the challenge consciousness is important for infant as play right but low performance. Second, in the environmental area of play, teachers should be provided with an environment that enables systematic observation and evaluation, sufficient play time, and various play experiences. On the other hand, toys that can stimulate sociality and creativity, and conflicts in play should be able to solve themselves without teacher intervention.

      • KCI등재

        대학의 비교과 활동에 대한 연구 분석과 시사점

        김정민(Kim, Joungmin),유영의(Yoo, Yungeui),이상욱(Lee, Sang-Wook) 학습자중심교과교육학회 2017 학습자중심교과교육연구 Vol.17 No.17

        본 연구는 2017년 현재까지의 대학에서 이루어진 비교과 활동에 대한 연구를 고찰하고 분석함으로써 향후 대학의 비교과 교육과정의 방향과 시사점을 제공하는데 그 목적이 있다. 분석기준과 연구절차에 따라 총 21편의 연구를 최종 분석대상으로 선정하였으며, 자료코딩(저자, 출판년도, 대상, 독립 및 종속변수 통계치 등) 메타분석의 효과검증, 동질성검증 과정으로 진행되었다. 본 연구의 목적에 따라 논문의 개괄적 특성과, 대학생의 비교과 활동 경험의 결합 추정치, 비교과 프로그램별 효과크기의 결합추정치, 종속변수별 효과크기의 결합추정치, 출판편향에 대해 알아보았다. 연구결과, 첫째, 대상의 무작위 선정, 선정기준, 프로그램의 참여기간, 빈도를 포함된 연구가 상대적으로 낮았으며, 사후검증을 실시한 연구가 4편인 것으로 나타났다. 둘째, 비교과 활동 경험의 결합추정치에서 전반적인 효과크기는 .534(95% CI, .361-.707)로 중간크기의 효과크기를 보였으며, I-square 값이 89.59%로 높은 이질성을 보였다. 셋째, 비교과 프로그램별 효과크기는 복싱과 생활체육, 댄스가 가장 높은 효과크기를 보였으며, 스포츠, 여가활동이 중간크기, 동아리활동이 작은 효과크기를 보였다. 넷째, 종속변수별 효과크기는 8편의 연구에서 비교과 활동을 통한 대학생의 여가만족도에 대해 알아보고자 하였으며, 다음은 대학생활만족도, 자기효능감 순인 것으로 나타났다. 공동체의식과 기본소양, 대학생활적응이 높은 효과크기를 보였으며, 대학생활만족도가 중간효과크기, 그리고 여가태도가 작은 효과크기를 보였다. 다섯째, 출판편향은 깔대기 그림에서 대칭 모양의 분포로 보아 편향성은 없는 것으로 분석된다. 이상의 연구결과를 바탕으로 제언과 시사점을 도출하였다.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provide implications of extra-curricular education in the future by analyzing researches on extra-curricular activities in university until 2017. Based on the analysis criteria, 21 studies were selected. The study process was conducted as following order ; subject, data collection, data coding, meta analysis, and homogeneity verification. The general characteristics of the studies, combined estimates of students extra-curricular experiences, combined estimates of effect sizes by each extra-curricular program, combined estimates of effect sizes by dependent variables, and publication bias were examined. The results of this study are as follows: First, the number of studies including the random selection of the subject, the selection criteria, the duration and the frequency of the program was relatively small and only four included the post–verification. Second, the combined estimates of the extra-curricular experiences showed a median effect size of .534 (95% CI, .361-.707), with I2 having a high heterogeneity of 89.59%. Third, the effect sizes of extra-curricular programs showed highest in boxing and daily sports, medium in general sports and leisure activity, and small in club activity. Fourth, the effect si z es of dependent variables of eight studies were in the order of students leisure satisfaction through extra-curricular activities, college life satisfaction and self–efficacy. Community consciousness, basic grounding, and college life adaptation showed high effect size, university life satisfaction showed medium effect size, and leisure attitude had small effect size. Fifth, it is analyzed that the publication bias is not biased by the distribution of the symmetrical shape in the funnel figure. Based on the above results, suggestions and implications were derived.

      • KCI등재

        텃밭 가꾸기 활동이 유아의 행복감과 사회·정서능력에 미치는 영향

        송미정(Song, mijeong),유영의(Yoo, yungeui) 학습자중심교과교육학회 2018 학습자중심교과교육연구 Vol.18 No.12

        본 연구는 텃밭 가꾸기 활동이 유아의 행복감과 사회 정서능력 발달에 긍정적인 효과가 있는지를 검증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이러한 연구목적을 위하여 본 연구에서의 연구대상은 충남에 위치한 A유치원의 만 5세 20명을 실험집단으로, B유치원의 만 5세 20명을 비교집단으로 선정하였다. 연구도구는 유아 행복 척도와 사회ㆍ정서 능력 발달 척도를 사용하였으며, 연구는 예비연구, 평정자교육실시, 사전검사, 실험처지, 사후검사의 순으로 진행하였다. 텃밭가꾸기 활동은 총 8주간, 16회 실시되었으며, 자료 분석은 SPSS 18.0 통계 프로그램을 이용하여 실험집단과 비교집단 유아들의 사전, 사후 평균과 표준편차를 구하고 공분산분석을 하였다. 연구결과는 첫째, 텃밭 가꾸기 활동은 유아의 행복감을 증진시키는데 효과적이었고, 행복감의 하위요소 중에서 ‘생활만족’을 제외한 ‘몰입’, ‘건강’, ‘심미감’, ‘또래관계’, ‘교사관계’, ‘인지 및 성취’, ‘정서’, ‘부모관계’ 의 8가지 요소에서 활동 전에 비하여 활 동 후에 증가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둘째, 텃밭 가꾸기 활동은 유아의 사회 정서능력 발달을 증진시키는데 효과가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그리고 사회정서능력발달의 하위 요소인 ‘교사에 대한 비의존성’, ‘내적통제’, ‘또래와의 상호작용’, ‘유치원에서의 안정감’, ‘성취동기’, ‘호기심’ 모두에서 활동전보다 활동 후에 증가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The objective of this study was to investigate the effects of garden activities on children s happiness and social-emotional development. Among two selected kindergarten in C city, we assigned one to an experimental group and the other to a control group. Twenty children in the experimental group participated in gardening activity 16 times for 8 weeks while another 20 children in the control group did outdoor play based on the Nuri curriculum. The results of this study were summarized as follows. First, there were statistically significant differences in eight elements, immersion , health , esthetics , peer relationship , teacher relationship , awareness and achievement , emotion , and parent relationship except for living satisfaction Second, there were statistically significant differences in all of the six subordinate elements in social and emotional capabilities, independency for teachers , internal control , mutual interaction between peers , stability in an institution , achievement motivation , and curiosity

      • KCI등재

        사례기반학습을 통한 유아교사의 놀이 개입유형 변화경험 탐색

        장은정(Jang EunJung),유영의(Yoo YungEui) 학습자중심교과교육학회 2020 학습자중심교과교육연구 Vol.20 No.5

        본 연구는 사례기반학습을 통한 유아교사의 놀이 개입유형의 변화를 알아보는 것이다. 이를 위하여 B어린이집 만 4세반 담임교사 2명을 연구 참여자로 선정하였으며, 2018년 11월부터 2019년 11월까지 사례기반학습 설계, 예비연구, 연구 참여교사 선정 및 현장 방문, 사례기반학습 실행의 4단계로 연구를 진행하였다. 연구 참여교사의 놀이 개입유형의 변화를 알아보고자 교사들이 담당하고 있는 하늘 1, 2반의 자유놀이시간을 연구자가 비참여 관찰하였고, 참여관찰, 면담, 토의노트 및 저널, 사례기반학습 토의과정을 토대로 자료를 수집하여 분석하였다. 그 결과 사례기반학습을 통한 유아교사의 놀이 개입유형 변화는 놀이를 민감하게 관찰하고 반응하는 방관자 개입유형으로 변화하기, 놀이 환경을 풍부하게 제공해주는 무대관리자 개입유형으로 변화하기, 유아의 의견을 수용하며 놀이를 공동구성하는 공동놀이자 개입유형으로 변화하기, 유아주도의 놀이가 지속될 수 있도록 놀이를 안내하는 놀이지도자 개입유형으로 변화하기, 지시보다는 효율적으로 놀이를 제안하는 감독 및 방향전환자 개입유형으로 변화하기가 나타났다. The aim of this study was to investigate early childhood teachers’ changes in play intervention type through case-based learning. To this end, two homeroom teachers of 4-year-old class at B child care center were selected as the research participants. From November 2018 to November 2019, the research was conducted in four stages: case-based learning design, preliminary research, selection of participating teachers and field visits, and implementation of case-based learning. In order to investigate the participating teachers’ changes in play involvement type, the researcher conducted a non-participatory observation. Data were collected from and analyzed based on observation notes, interviews, discussion notes and journals, and case-based learning discussion process. As a result, it was found that early childhood teachers show the following changes in play intervention type: changes to a bystander who observes and responses sensitively to play, a stage manager who provides rich play environment, a co-player who accepts the opinions of young children jointly and organizes play, a play leader who guides play so that child-initiated play is sustained, and a director and redirector who efficiently suggests play rather than giving instructions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