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무료
      • 기관 내 무료
      • 유료
      • KCI등재

        임하호 유입지천에 서식하는 어류에 미치는 탁수의 영향

        유삼환(Sam hwan Yu),김정숙(Jeong Sook Kim),신명자(Myung Ja Shin),이종은(Jong Eun Lee),서을원(Eul Won Seo) 한국생명과학회 2009 생명과학회지 Vol.19 No.10

        본 연구는 탁수가 어류에 미치는 영향을 분석하기 위하여 임하호 유입지천인 탁수수계(영양군 화매천)와 비탁수수계(청송군 신흥천)의 수질, 토양성분 및 어류의 조직ㆍ생리적 변화를 조사하였다. 임하호 유입지천의 수질은 탁수수계에서 pH, DO, SS 및 탁도가 높았으며, 토양성분은 vermiculite (Ⅴ), illite (Ⅰ)와 같은 점토광물이 높은 것으로 보아 점토광물이 강우시 쉽게 유출되어 탁수에 영향을 줄 것으로 생각된다. 탁수수계에 서식하는 어류는 이차새변의 간격이 일정하지 않고, 상피세포의 분리와 부종 및 곤봉 형태가 관찰되었다. 또한 아가미 표면이 매끄럽지 못하며 다량의 이물질이 존재하였고, 신장 조직에서는 보우먼주머니 안의 사구체 크기가 수축되어 보우만 공간이 넓은 형태를 나타냈다. 이러한 조직학적 변화가 장기간 지속될 경우 어류의 2차 병변의 원인이 될 수 있으며, 더 나아가 어류의 건강상에 영향을 줄 것으로 사료된다. 항산화효소의 활성은 탁수수계에서 높은 활성을 보이며, GR은 항산화효소의 활성중 가장 낮은 활성을 나타냈다. 또한 탁수수계의 근육과 신장조직에서는 SOD, CAT, GPX, GST가 비탁수수계 보다 높은 활성을 보였다. 이는 활성산소가 많이 발생하는 탁수수계의 어류 체내에서는 유해한 라디칼을 제거하기 위해 항산화효소의 활성이 증가한 것으로 생각된다. The present study aims to examine the effect of turbid water on fishes in streams which branch into a turbid water area (Yeongyang-gun) and a non-turbid water area (Cheongsong-gun), and finally flow into the Imha reservoir. In a comparison of water quality, the chemical status of the water showed higher pH, DO and SS in the turbid water area than in the non-turbid water area. Also, high density of clay minerals such as vermiculite (Ⅴ) and illite (Ⅰ), which is from clay mineral leakage during rainfall, was detected in turbid water, resulting in an increase of turbidity. Fishes inhabiting the turbid water showed irregular spaces in gill lamella, cell separation, edema, and clubbing in epithelial tissues. Also, the gill surface showed roughness and plenty of muddy debris substances inside the gills. The Bowman's space was expanded because of contraction of the glomerulus in the Bowman's space of the kidney tissues. Antioxidant enzymes such as SOD, CAT, GPX, and GST showed higher activities in the specific tissues, muscles and kidney, of fishes living in turbid water than in the non-turbid area. We suggested that; first, the antioxidant activities were increased due to removal of harmful radicals generated in fish bodies in the turbid water area, second, long-time exposure of these histological changes in the tissues might have induced secondary lesion accompanying the inaccurate physiological constancy of fishes.

      • KCI등재

        탁수가 임하호 식물플랑크톤에 미치는 영향

        박정원(Jung Won Park),유삼환(Sam Hwan Yu),김순영(Soon Young Kim),이종은(Jong Eun Lee),서을원(Eul Won Seo) 한국생명과학회 2008 생명과학회지 Vol.18 No.12

        본 연구에서는 탁수 발생이 식물플랑크톤 군집에 어떠한 변화를 미치는가에 대해 이해하는 연구의 일환으로 임하호의 네 지점(중평리, 댐축, 도수로, 지례리)에서 9회에 걸쳐 시료채취 및 조사를 한 결과는 다음과 같다. 임하호의 수질의 경우 탁도와 SiO₂-Si의 농도는 그 수치가 비례하여 탁도가 높으면 SiO₂-Si의 농도도 증가하고 수심이 깊어질수록 탁도와 SiO₂-Si의 농도가 증가하는 것을 알 수 있다. Chl-a는 수심이 깊어질수록 농도가 낮아지고 있어 수심에 따라 수질의 상태가 변하는 것으로 조사되었다. 임하호에서 출현한 식물플랑크톤은 모두 70종류였고, 녹조강이 32종류(46%) 남조강과 규조강이 12종류(17%), 유글레나강이 6종류(9%), 시누라조강이 4종류(6%), 은편모조강이 3종류(4%), 그리고 와편모조강이 1종류(1%)로 구성되었다. 탁수와 조류의 상관관계에서 식물플랑크톤의 현존량이 매우 높게 나타난 것은 탁수와 함께 유입된 영양물질 등이 식물플랑크톤의 증가에 영향을 준 것으로 판단된다. 즉, 탁수와 TN 및 SiO₂-Si 등과 높은 상관관계가 나타난 것은 TN과 SiO₂-Si가 탁수와 함께 임하댐 내로 유입된 것으로 짐작할 수 있다. 질소의 경우 토양 미립자에 단단하게 부착하지 않고 느슨하게 결합되어 있기 때문에 적은 강우라도 쉽게 유출된다. 그리고 SiO₂-Si는 탁수의 성분으로 고려해 볼 때 TN과 SiO₂-Si는 탁수와 함께 임하댐내로 유입되었음을 알 수 있다. 따라서 탁수 유입 후 그리고 탁수 소멸 이후에는 오히려 식물 플랑크톤 현존량이 더욱 증가된 것으로 판단된다. We investigated the effect of the turbid water on the phytoplankton community in the 4 sites of Imha reservoir. The turbidity of water was proportional to the concentrations of SiO₂-Si. Therefore, as the turbidity of water grow, the concentration of SiO₂-Si increased. And the both the turbidity of water and the concentrations of SiO₂-Si were increased as the water run deep. The concentration of chlorophyll-a decreased as the depth of water increased. Seventy phytoplankton taxa were identified and the most abundant group was Chlorophyceae consisting of 32 taxa (46%), and Cyanophyceae and Bacillariophyceae consisted of 12 taxa (17%). And Euglenophyceae, Synulophyceae, Cryptophyceae and Dinophyceae consisted of 6 taxa (9%), 4 taxa (6%), 3 taxa (4%) and 1 taxon (1%), respectively in Imha reservoir. The concentrations of phytoplankton were increased according to the turbidity of water because of the high amount of organic nutrition which is presented with turbid water. And especially, the concentrations of nitrogen increased easily because of the weak binding to the soil particle. In conclusion, total nitrogen and SiO₂-Si flowed into the Imha reservoir with soil particle, and these inorganic nutritions affect the growth of algae.

      • KCI등재

        안동호의 수심에 따른 식물플랑크톤 군집비교

        박정원(Jung Won Park),유삼환(Sam Hwan Yu),김순영(Soon Young Kim),이종은(Jong Eun Lee),서을원(Eul Won Seo) 한국생명과학회 2008 생명과학회지 Vol.18 No.9

        본 연구에서는 안동호의 수질이 수심에 따른 식물플랑크톤 군집에 어떠한 변화를 미치는가에 대해 이해하는 연구의 일환으로 안동호의 2개 지점(서부리, 댐축)에서 6회 시료 채취 및 조사를 한 결과는 다음과 같다. 안동호의 수질의 경우 수온은 수심 1m와 수심 4m는 계절에 따라 다소 변화가 나타나고 있지만, 수심 7m의 경우에는 계절의 변화와는 크게 관계없이 일정한 범위 내에서 유지되고 있다. DO는 수성 1m와 수심 4m는 비슷한 수치를 나타내고 있지만, 수심 7m는 수온이 낮아지면서 DO는 증가하였다. pH와 탁도는 모든 수심(수심 1m, 수심 4m, 수심 7m)에서 일정한 수치를 나타내고 있고, SiO₂-Si는 수심과는 커다란 연관성 없었으며, Chl-a는 수심이 깊어질수록 그 수치가 낮아지고 있다. 따라서 수심이 깊어질수록 DO, pH, SiO₂-Si, Chl-a의 수치가 수심 1m에 비해 조금씩 낮아지고 있으며, 변화의 폭도 크게 나타났다. 안동호에서 출현한 식물플랑크톤은 모두 59종류였고, 녹조강이 25종류(43%), 남조강이 17종류(29%), 규조강이 10종류(17%), 은편모조강이 3종류(5%), 시누라조강과 와편모조강이 각각 2종류(3%)가 출현하였다. 우점종은 녹조강의 Elakatothrix gelatinosa (8월 23일), Eutetramorus fottii (8월 23일 및 9월 28일) 남조강의 Aphanizomenon cf. flos-aquae (8월 16일), Microcystis aeruginosa (모든 조사기간), Aphanocapsa delicatissima (10월 27일), 규조강의 Cyclotella stelligera (10월 13일), Cyclotella sp. (10월 13일 및 10월 27일), Synedra acus (8월 16일)였다. We investigated the effect of the water quality on the phytoplankton community in the 2 sites of Andong reservoir. The water temperature in 1 m and 4 m depth (LH) was changed, but the temperature in 7 m depth (HD) was constant irrespective of the season. The dissolved oxygen in LH was lower than that of the HD. The turbidity of water and pH were similar in both depths. The concentration of chlorophyll-a decreased with increased depth of water. Fifty nine phytoplankton taxa were identified and the most abundant phytoplankton group was Chlorophyceae with 25 taxa (43%). Cyanophyceae and Bacillariophyceae consisted of 17 taxa (29%) and 10 taxa (17%), respectively. Cryptophyceae had 3 taxa (5%) and Synurophyceae and Dinophyceae had 2 taxa (3%) in Andong reservoir. Dominant species were Elakatothrix gelatinosa (Aug, 23) and Eutetramorus fottii (Aug. 23 and Sep. 28) from Chlorophyceae, Aphanizomenon cf. flos-aquae (Aug. 16), Microcystis aeruginosa (all sampling periods), and Aphanocapsa delicatissima (Oct. 27) from Cyanophyceae, and Cyclotella stelligera (Oct. B), Cyclotella sp. (Oct. 13 and Oct. 27) and Synedra acus (Aug. 16) from Bacillariophyceae.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