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무료
      • 기관 내 무료
      • 유료
      • KCI등재

        청소년의 스마트폰 중독 위험요인이 자아탄력성과 스마트폰 중독에 미치는 영향에 관한 연구

        박숙경(Suk-Kyung Park),유명숙(Myeong-Suk Ryou) 한국콘텐츠학회 2021 한국콘텐츠학회논문지 Vol.21 No.1

        본 연구는 우울, 불안, 충동성의 청소년의 개인 심리적 위험요인이 스마트폰 중독(일상장애, 가상지향, 내성, 금단)과 자아탄력성(활력성, 낙관성, 호기심, 대인관계)에 미치는 영향을 규명하고자 함에 있다. 이러한 검증을 통해 청소년들의 스마트폰 중독과 관련된 개인 심리적 위험요인들과 자아탄력성, 스마트폰 중독의 통합적 모형이 타당한지 알아보고, 이를 통해 청소년들의 스마트폰 중독을 예방하고 관련 문제를 해결하기 위한 방안을 제시하는데 본 연구의 목적이 있다. 이러한 연구목적을 달성하기 위해 서울과 수도권에 재학 중인 청소년 356명을 연구대상으로 2019년 8월 1일부터 9월 30일까지 약 2개월간 조사하여 결과를 분석하였다. 본 연구의 연구결과는 다음과 같다. 첫째, 청소년의 “스마트폰 중독요인(우울, 불안, 충동성)은 청소년의 자아탄력성(활력성, 낙관성, 호기심, 대인관계)에 부(-)의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다. 둘째, 청소년의 “스마트폰 중독요인(우울, 불안, 충동성)은 청소년의 ”스마트폰 중독(일상장애, 가상지향, 내성, 금단)“에 정(+)의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다. 셋째, 청소년의 “자아탄력성(활력성, 낙관성, 호기심, 대인관계)”은 “스마트폰 중독(일상장애, 가상지향, 내성, 금단)”에 부(-)의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다. 본 연구의 의의는 스마트폰 중독에 영향을 미치는 개인 심리적 위험요인을 살펴봄과 함께 자아탄력성을 활용하여 스마트폰 중독에 미치는 영향을 미시적으로 분석하여 청소년들의 스마트폰 중독을 예방하고 관련 문제를 해결하기 위한 방안을 제시하였다는데 연구의 의의가 있다. This study seeks to establish the structural relationship between the personal psychological risk factors of teenagers of depression, anxiety and impulsiveness and smartphone addiction (daily disability, virtual orientation, tolerance, withdrawal) and self-elasticity (vitality, optimism, curiosity, interpersonal relationships). Through this verification,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find out if the integrated model of smartphone addiction and self-elasticity and smartphone addiction among teenagers is reasonable, and to suggest ways to prevent and solve smartphone addiction among teenagers. In order to achieve this purpose, 356 teenagers in Seoul and the metropolitan area were surveyed for two months from August to September 2019 and the results were analyzed. The findings of this study are as follows. First, the smartphone addiction factors (depression, anxiety and impulsive) of adolescents have been shown to have negative effects on their self-elasticity (vitality, optimism, curiosity, interpersonal relationships). Second, the smartphone addiction factors (depression, anxiety and impulsive) of teenagers have been shown to have positive effects on the smartphone addiction (daily disability, virtual orientation, tolerance, withdrawal). Third, the youths self-elasticity (vitality, optimism, curiosity, interpersonal relationship) was shown to have a negative impact on smartphone addiction (daily disability, virtual orientation, tolerance, withdrawal). The significance of this study is that it has examined personal psychological risk factors that affect smartphone addiction and suggested measures to prevent smartphone addiction among teenagers and solve related problems by micro-analyzing the effects on smartphone addiction by utilizing self-elasticity.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