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무료
      • 기관 내 무료
      • 유료
      • KCI등재

        국내 소아 결핵감염 진단에서의 결핵피부반응 검사와 Interferon-gamma Release Assay (IGRA)의 비교 연구

        유리나 ( Reenar Yoo ),김준일 ( Joon Il Kim ),김서희 ( Seohee Kim ),이진아 ( Jina Lee ) 대한소아감염학회 2016 Pediatric Infection and Vaccine Vol.23 No.1

        목적: 국내와 같이 결핵의 유병률이 높은 지역에서 결핵을 정확하게 진단하는 것은 중요하다. 본 예비 연구는 국내의 소아청소년에서 결핵진단 시 TST 및 2가지 IGRA 검사법 (QFT-G 및 T-SPOT.TB) 간의 일치도를 알아보고자 하였다. 방법: 2014년 1월부터 2015년 4월까지 잠복결핵감염 또는 결핵질환의 진단을 위해 서울아산병원을 방문한 20세 이하 환자 중, TST, T-SPOT.TB 및 QFT-G 검사 중 최소 2가지 이상의 검사를 동시에 시행한 경우를 연구에 포함하였다. 이들의 의무기록을 후향적으로 분석하여 각 검사 간의 일치도를 평가하였다. 결과: 연구에 포함된 총 20명의 연령의 중앙값은 13.3세(범위: 3.8-18.1세)이었고, 이 중 11명은 면역저하와 관련된 기저질환이 있었다. T-SPOT.TB와 QFT-G 결과의 일치도는 90%였으며, TST와 TSPOT.TB의 일치도는 50%, TST와 QFT-G의 일치도는 42.9%였다. T-SPOT.TB, QFT-G 및 TST의 결핵질환에 대한 특이도는 93.3%, 86.7% 및 58.3%였다. 결론: T-SPOT.TB과 QFT-G 간의 일치도는 높으나 TST와 T-SPOT.TB 또는 QFT-G 간의 일치도는 낮았다. 추후 국내 소아청소년의 정확한 결핵의 진단을 위한 각 검사들의 일치도 및 진단적 유용성에 대한 추가적인 연구가 필요하다. Purpose: There is a the great diagnostic challenge in pediatric tuberculosis especially in high burden setting. The purpose of this preliminary study is to evaluate the agreement between tuberculin skin test (TST) and interferon-gamma release assay (IGRA) including T-SPOT® .TB and QuantiFERONa® -TB Gold (QFT-G) in Korean children. Method: This retrospective study included children and adolescents who visited to Asan Medical Center to evaluate tuberculosis infection using at least two assays of TST, T-SPOT.TB and QFT-G, from January 2014 to April 2015. Results: A total of 20 patients were included, whose median age was 13.3 years (range, 3.8-18.1 years), and all of them had history of BCG vaccination. Eleven patients had underlying diseases including 7 patients with immunosuppressant medication. The concordance rate between T-SPOT.TB and QFT-G was 90%. However, the concordance rate between TST and T-SPOT.TB was 50%, and between TST and QFT-G was 42.9%. Specificity for the diagnosis of tuberculosis infection of T-SPOT.TB, QFT-G, and TST was 93.3%, 86.7%, and 58.3%, respectively. Conclusions: Although there was a discrepancy between TST and IGRA to diagnose tuberculosis, agreement between T-SPOT.TB and QFT-G was relatively high. Further prospective study to validate the clinical usefulness of each assay for immunologic evidence of tuberculosis infection in Korean children will be mandatory.

      • KCI등재

        ST714-SCCmec type IV CA-MRSA에 의한 피부 연부조직 감염증으로 내원한 소아 증례

        유리나 ( Reenar Yoo ),김서희 ( Seohee Kim ),이진아 ( Jina Lee ) 대한소아감염학회 2016 Pediatric Infection and Vaccine Vol.23 No.1

        최근 전세계적으로 지역사회 기원 메티실린내성 황색포도알균(CA-MRSA)에 의한 피부연부조직 감염증이 증가하고 있다. 16개월의 한국 여아가 생후 6개월부터 시작된 반복되는 피부연부조직 감염증을 주소로 내원하였다. 환아의 가족들도 환아와 비슷한 시기에 피부연부조직 감염증의 병력이 있었다. 환아의 혈중 면역글로불린 및 NBT 검사는 정상이었고, 피부 병변 외에는 가족 모두 건강하였다. 환아의 감염증 부위의 고름 배양 및 비강 내 보균 검사시 모두 PVL genes을 생성하는 CA-MRSA ST714 SCCmec type IV가 확인되었고, 이는 ST30의 single locus variant로서 국내에서는 보고된 적이 없는 MRSA의 유전형이다. 환아와 함께, 환아의 균주와 동일 항생제 감수성 양상을 보이는 MRSA 보균자인 환아부에게 재발 방지를 위해서 비강내 mupirocin 5일 요법을 시행하였고 이후 10개월간 추가적인 재발은 없었다. Skin and soft tissue infections (SSTIs) caused by community-associated (CA)-methicillin-resistant Staphylococcus aureus (MRSA) have become a worldwide concern. An otherwise healthy 16-month-old Korean girl was admitted because of skin abscess on the left chest wall with a history of recurrent SSTIs since the age of 6 months. Immunologic evaluation including serum immunoglobulin level and nitroblue-tetrazolium (NBT) test were normal. Pus and nasal swab cultures revealed CA-MRSA ST714-SCCmec type IV with the Panton-Valentine leukocidin (PVL) genes, which was initially reported in the Netherlands in 2006 and has not been previously reported in Korea. The skin abscesses were successfully treated by needle aspiration and the use of antibiotics. In addition, nasal mupirocin was applied as a decolonization method. No more episodes of SSTI were observed over a follow-up period of 10 months.

      • KCI등재

        소아 주폐포자충 폐렴의 임상양상, 위험인자 및예방요법의 효과 연구

        김서희 ( Seohee Kim ),유리나 ( Reenar Yoo ),성흥섭 ( Hungseop Sung ),이진아 ( Jina Lee ) 대한소아감염학회 2016 Pediatric Infection and Vaccine Vol.23 No.1

        목적: 국내 소아에서 발생한 PCP의 예후와 관련된 인자들과 PCP 예방요법의 효과를 분석하였다. 방법: 2002년 1월부터 2015년 4월까지 최근 13년간 서울아산병원 어린이병원에서 면역형광법 및 PCR 검사를 통해 PCP로 확진된 18세 이하 환자들의 의무기록을 후향적으로 분석하였다. PCP 예방요법 유무에 따른 임상경과의 차이 및 PCP 관련 사망의 위험 요소를 분석하였다. 결과: 총 24명의 PCP 확진 환자의 진단시 나이는 5세 3개월(범위, 3개월-18세)였고, 모두 기저질환을 동반하였으며, 23명(95.8%)은 혈액질환 또는 조혈모세포이식(15명), 고형장기 이식(4명) 및 일차성 면역결핍 질환(4명) 등의 면역저하 환자였다. PCP 진단시 기침과 빈호흡이 가장 흔한 증상이었으며(각각 92%), 79%에서 발열이 동반되었다. 호흡부전 및 다발성 장기부전으로 발현한 경우는 19명(79%) 및 6 명(25%)이었고, PCP 경과 중 8명(33%)은 기계환기가 필요하였으며 PCP 관련 사망률은 21% (5명)였 다. 진단시 다발성 장기부전 동반이 통계적으로 유의한 사망 예측 인자였다(OR, 17.1 [95% CI 1.13-257.67]; P=0.04). 진단 1개월 이내에 적절한 PCP 예방요법이 시행된 경우는 12명(50%)였고, PCP 예방요법을 시행한 군에서 진단시 다발성 장기부전 동반이 적었으며(P=0.014), 치료 중 기계적 환기요 법의 사용한 경우 및 재원일수가 유의하게 적었다(각각 P=0.027, 0.021). 고찰: PCP 진단시 다발성 장기부전이 동반된 경우 사망률이 높았으며, PCP 예방요법을 시행한 군에 서도 PCP가 발생하였으나 상대적으로 양호한 임상 경과를 보였다. 추후 소아의 PCP 발생의 위험 요인및 적절한 예방요법의 구축을 위한 장기적인 전향적 연구가 필수적이다. Purpose: The aim of this study was to investigate the prognostic factors for Pneumocystis jirovecii pneumonia (PCP) and to evaluate the influence of PCP prophylaxis in pediatric patients. Methods: From January 2002 to April 2015, patients aged <18 years with a diagnosis of confirmed PCP at our institute were reviewed retrospectively. Clinical characteristics and outcomes were compared according to the groups with or without PCP prophylaxis. Risk factors associated with PCP-related death were analyzed by logistic regression analysis. Results: During study period, a total of 24 patients were diagnosed with PCP by immunofluorescence assay and/or PCR. The median age of the patients was 5 years (range, 3 months-18 years) and 23 (96%) had immunocompromised conditions including hematologic dis­orders with or without hematopoietic stem cell transplantation (n=15), solid organ transplantation (n=4), and primary immune deficiency (n=4). Most common presenting symptoms were tachypnea and cough (92%, each). At the time of diagnosis, 79% (19/24) and 25% (6/24) suf­fered from respiratory failure and multi-organ dysfunction syndrome (MODS), respectively. Mechanical ventilation was required in 8 (33%) patients and 5 (21%) patients died of PCP. Multivariate analysis showed that MODS at initial presentation was an indicator of poor prognosis (OR, 17.1 [95% CI 1.13-257.67]; P=0.04). Compared to the patients without PCP prophylaxis, the frequency of MODS at diagnosis, need for mechanical ventilation and length of hospital days were significantly less common in the children who received PCP prophylaxis. Conclusions: MODS at presentation was a significant predictor for poor outcome and PCP prophylaxis could alleviate the clinical courses of pediatric PCP. Prospective study will be mandatory to determine the risk factors for development and deterioration of PCP in children.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