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무료
      • 기관 내 무료
      • 유료
      • KCI등재

        코로나19 펜데믹 이후 비대면 미술치료에서의 윤리적 방향

        원희랑(Won, Hee-Rang),곽진영(Kwak, Jin-Young),김정애(Kim, Jeong-Ae) 한국미술치료학회 2022 美術治療硏究 Vol.29 No.1

        본 연구의 목적은 문헌고찰을 통해 국내외 상담․심리치료와 미술치료에서 논의되는 비대면 관련 윤리적 주제들에 기초하여 코로나19 펜데믹 이후 비대면 미술치료에서의 윤리적 방향을 제시하는 것이다. 이를 위해 2021년 인터넷 상에서 비대면 미술치료, 미술치료 윤리, 비대면 상담심리치료 윤리 등을 키워드로 국내외 자료에서 검색한 1,923 중 적정성이 확인된 전문이 있는 59편의 문헌과 국내외 학회 및 협회에 게시된 비대면 치료 관련 지침 18개를 합하여 총 77편의 문헌을 선정하였다. 자료 수집 후 미술치료 경력 10년-20년 이상의 공동연구자가 5회의 정기적인 비대면 토론과 수시로 이메일, 전화, 온라인으로 관련 내용을 정리, 요약, 종합하였다. 연구결과 상담․심리치료 및 미술치료에서의 비대면치료 관련 윤리적 주제는 비밀보장, 치료관계, 치료사의 자기관리, 법적 고려사항이었다. 이에 기초하여 설정한 비대면 코로나19 펜데믹 이후 비대면 미술치료에서의 윤리적 방향은 첫째, 치료적 경계와 치료적 관계, 둘째, 내담자와 치료사의 안전 셋째, 비밀보장이다. 세부적인 내용으로는 치료적 경계는 공간, 시간, 대상에서의 경계이고, 치료적 관계에서는 미술매체․작업․작품과 전자기기 및 사용능력이 필요하며, 비밀보장은 온라인 보안과 개인정보 보호가 포함된다. 이러한 연구 결과를 바탕으로 본 연구의 의의와 제한점에 대하여 논의하였다.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investigate the ethical direction of non-contact therapy in the era of COVID-19. For this purpose, non-contact art therapy, art therapy ethics, and non-contact counseling psychotherapy ethics were searched for on the Internet in countries where art therapy is actively conducted. A total of 77 data points were selected by combining 59 data points with full texts for which adequacy was confirmed and 18 non-contact therapy guidelines posted in domestic and foreign associations among 1,923 data points. As a result of the study, the ethical topics identified as being related to non-contact therapy in counseling, psychotherapy, and art therapy were confidentiality, therapeutic relationship, self-management of the therapist, and legal considerations. The ethical direction in non-contact art therapy after the COVID-19 pandemic emerged has been, first, the therapeutic boundary and therapeutic relationship, second, the safety of clients and therapists; and third, confidentiality. More specifically, therapeutic boundaries are boundaries in space, time, and objects. In therapeutic relationships, art media, the therapeutic process, art works, electronic devices, and ability to use the devices are required. Confidentiality includes online security and the protection of personal information. Based on these results, the significance and limitations of this study were discussed.

      • KCI등재

        참선수행자의 미술치료 경험에 대한 현상학적 연구

        유경옥(You Kyoung-ok),원희랑(Won Hee-rang) 한국미술치료학회 2018 美術治療硏究 Vol.25 No.3

        본 연구의 목적은 참선수행자들이 겪는 미술치료 경험의 현상학적 본질을 기술하고 탐색하는 것이다. 이에‘참선수행자는 미술치료를 통해 어떤 경험을 하는가?’라는 연구 문제를 설정하였고, Giorgi의 현상학적 연구 방법을 사용하여 진술을 체계적인 의미구조로 전환하고 총체적으로 구조화하였다. 연구의 참여자는 미술치료 과정을 경험한 40~50대의 8명의 참선수행자를 대상으로 하였다. 미술치료 프로그램은 2016년 1월부터 2016년 3월까지 주 1회, 총 9회기로 실시되었으며, 자료를 수집한 기간은 2016년 3월부터 10월까지 심층 인터뷰 방식으로수집하였다. Giorgi의 현상학적 방법의 과학적 4단계로 자료 분석을 수행하여, 최종적으로 409개의 의미단위와20개의 하위구성요소, 8개의 핵심 구성요소 및 4개의 상위범주로 도출하였다. 연구 결과 도출된 경험의 의미와본질은 다음과 같다. 첫째, 참여자들은 참선을 통해 내면수행과 마음공부를 지속해왔으나 일부 아쉬운 면을 가져왔다. 둘째, 참여자들은 미술치료의 고유한 가치를 생생하게 경험하면서 미술작업을 자기 탐색의 도구로 받아들였다. 셋째, 미술치료 과정에서의 수행 및 내면의 점검이 일상의 화두로 전환되면서 수행의 진전이 일어났다. 넷째, 현실에서 참선과 미술치료의 결합을 실천함으로써 삶 속에서 수행을 체화해나갔다.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describe and examine the phenomenological substance of the art therapy experiences of Zen meditation trainees. The question for this research started with “What experiences do Zen meditation trainees acquire through art therapy?”. Giorgi s phenomenological research method was employed to classify the statements by meaning unit in order to structuralize their experiences. The participants were eight selected Zen meditation trainees who received art therapy and were in their 40s and 50s. The art therapy program was conducted once a week from January, 2016 to March, 2016 with nine sessions and data were gathered from March to October, 2016, by having in-depth interviews. According to the four scientific stages of Giorgi s phenomenological method, 409 meaning units were selected, and 20 sub-constituents, eight core constituents, four superordinate categories were selected. The major findings were as follows: First, the participants continued to undergo inner training through Zen meditation, but they felt there was some room for improvement. Second, they experienced the unique value of art therapy and the art activity as a tool for self-exploration. Third, they made progress in training while they checked their own training and inner world through art therapy as a daily routine task. Fourth, they became accstomed to the training as part of life when they incorporated art therapy into Zen meditation.

      • KCI등재

        집단미술치료가 학교부적응을 겪는 초등학생의 사회성기술과 학교적응에 미치는 효과

        이혜선(Lee, Hye-Sun),원희랑(Won, Hee-rang) 한국미술치료학회 2020 美術治療硏究 Vol.27 No.3

        본 연구는 집단미술치료가 학교부적응을 겪는 초등학생의 사회성기술과 학교적응이 미치는 효과를 알아보는 것이다. 연구 대상은 2017년 3월 S시 0초등학교의 5학년을 대상으로 안내문을 통해 부모동의서를 받고 사회성기술과 학교적응, 학교생활화 검사 후 하위점수에서 16명을 선별하여 실험 및 대기집단으로 각각 8명씩 무선 배정하였다. 실험집단은 주 1회, 회당 약 60분, 총 10회기의 집단미술치료프로그램에 참여하였다. 사회성기술척도와 학교적응척도를 사전, 사후에 실시하고 실험집단은 추후도 측정하여 효과와 효과의 크기를 양적분석 하였고, 사전, 사후 학교생활화 검사(KSD)와 집단미술치료 과정에서의 변화를 질적으로 살펴보았다. 연구결과는 다음과 같다. 첫째, 사회성기술에서는 실험집단이 대기집단에 비해 사전⋅사후에서 통계적으로도 유의미한 차이를 보였다. 둘째, 학교적응 검사에서는 실험집단이 대기집단에 비해 사전⋅사후에서 통계적으로 유의미한 차이를 보였다. 또한 학교생활화 검사에서 실험집단의 학교적응이 사전에 비해 사후에 향상되었음을 알 수 있으며, 대기집단은 별다른 변화가 없었다. 셋째, 집단미술치료 과정을 통해 학교부적응을 겪는 초등학생의 사회성기술과 학교적응이 긍정적으로 변화하는 것을 알 수 있었다. 따라서 집단미술치료가 학교부적응을 겪는 초등학생의 사회성기술과 학교적응 향상에 효과적이라 할 수 있다. 이상의 결과는 추후검사에서도 유지되었다. This study examined the effects of a group art therapy program on school-maladjusted elementary school students’ social skills and school adjustment. The subjects of this study consisted of 16 fifth-grade students who wanted to attend the program and had signed an agreement from their parents from “0” elementary school in Seoul. After undergoing tests of social skills, school adjustment and Kinetic School Drawing (KSD), eight students were assigned to the experimental group and the others were in control group. They attended weekly 60-minute group art therapy sessions for 10 weeks. The study analyzed the impact of the program using a social skill scale and, a school adjustment scale, and qualitatively analyzed its impact throgh changes in KSD and group art therapy. First, experimental group statistically improved in social skills more than the control group did. Scond, experimental group statistically improved in school adjustment more than control group, and the group showed statistically significant improvements in the KSD test compared to the pretest. Last, through group art therapy, maladjusted elementary school students improved their social skills and school adjustment. As a the result, the researchers found that group art therapy has positive effects on the improvement of the social skills and school adjustment of elementary school students who have difficulty in school adjustment. The results of the follow-up test were the same as the post-test results.

      • KCI등재

        시를 활용한 집단미술치료가 기혼여성의 심리적 안녕감과 자기효능감에 미치는 효과

        오은주(Oh Eun-joo),원희랑(Won Hee-rang) 한국미술치료학회 2020 美術治療硏究 Vol.27 No.1

        본 연구는 시를 활용한 집단미술치료가 기혼여성의 심리적 안녕감과 자기효능감을 향상시키는데 효과가 있는가 알아보는 데 목적이 있다. 연구대상은 대도시 소재 00도서관을 이용하는 30대에서 50대사이의 기혼여성 중 자원한 총 24명으로 실험집단 12명, 비교집단 12명으로 무선 배치하였다. 실험집단은 주1회, 회당 120분, 총 12회기에 걸쳐 시를 활용한 집단미술치료 프로그램에 참여하였으며, 비교집단은 같은 시기에 다른 독서치료사가 실시하는 시를 읽기 프로그램에 참여하였다. 연구도구는 심리적 안녕감 척도(PWBS)와 자기효능감 척도이며 사전, 사후 실시하였다. 프로그램 처치 후 프로그램의 효과성 검증을 위해 SPSS 18.0 통계 프로그램을 활용하여 공변량분석(ANCOVA)을 실시하였다. 본 연구의 결과 첫째, 실험집단은 심리적 안녕감에서 유의미한 변화가 있었으나 비교집단은 유의하지 않았다. 하위요인 중 삶의 목적, 긍정적 대인관계에서 긍정적 효과가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둘째, 실험집단은 자기효능감에서 유의하나 변화가 있었으나 비교집단은 유의하지 않았으며 하위요인 중 자신감과 자기조절 효능감에서 긍정적인 효과가 있었다. 이를 통해 시를 활용한 집단미술치료가 기혼여성의 심리적 안녕감과 자기효능감에 효과가 있음을 알 수 있다.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validate group art therapy using the poetry to determine its effect to improve the psychological well-being and self-efficacy of married women. Researchers selected a total of 24 resource personnel in volunteering target married women using the metropolitan library. The experimental group participated in a group art therapy program using poetry. The research tools used in this study were the Psychological Well-being Scale(PWBS) and the General Self-Efficacy Scale(GSE). Also, to verify the program s effectiveness, analyses of covariance(ANCOVA) using a statistical program, SPSS 18.0 was applied. Results indicated the experienced art therapy group using poetry shored significant positive effects in the overall psychological feeling of well-being in relation to the comparison group. Among sub-factors of the psychological feeling of well-being,, the purpose of life and positive human relationship figures showed meaningful scores. In addition, the experienced art therapy group using poetry appeared to be significant in overall self-efficacy relative to the comparison group, especially demonstrating high scores in lower factors of confidence and self-regulated efficacy, which means the sense of psychological well-being resulted from improvements in self-efficacy through the projection test. These research results indicated that group art therapy using poetry does have notable effects on the psychological well-being and sense of self-efficacy of married women.

      • KCI등재

        COVID-19 팬데믹 상황에 처한 미술치료사의 자기치유에 관한 미술기반 내러티브 탐구

        최진아(Choi Jin-A),원희랑(Won Hee-Rang) 한국미술치료학회 2021 美術治療硏究 Vol.28 No.3

        본 연구는 COVID-19 팬데믹 상황에 처한 미술치료사가 경험한 자기치유에 관한 이야기이다. 연구 방법은 내러티브 탐구 절차와 미술기반 탐구 방법을 따랐다. 자기치유는 2020년 7월부터 10월까지 자기치유 계획에 따른 14회기 미술작업과 40시간 집단미술치료 참여 경험, 수퍼비전 3회, 과거의 미술 작품 돌아보기, 반응작업으로 이루어졌다. 미술 작품, 글쓰기, 사진 자료 등의 현장 텍스트로부터 나온 이야기는 10개의 미술작업물과 미술기반 글쓰기이다. 현장 텍스트에서 165개의 의미 단위와 13개의 주제어를 도출했고 궁극적으로 이 경험을 통해 어떠한 이야기를 나누고 싶은지 스스로 묻고 답하며 4개의 경험 주제를 정하였다. 그 결과는 ‘미술치료사를 담그다’, ‘자유와 해방을 준 미술’, ‘돌아가는 프로펠러’, ‘火를 꺼내다’이다. 또한 작품과 상호작용을 반복한 결과, ‘태초의 미술적 본능을 되찾다’, ‘삶의 한 과정일 뿐’, ‘내담자를 만나는 것은 그의 가장 어리고 여린 부분을 만나는 것이다’로 경험의 의미를 재생성하였다. 이 탐구과정은 자기치유 미술작업이 COVID-19 팬데믹 고립 상황 속에서 인간 고유의 창조성을 일깨우는 과정이었으며 살아가게 하는 힘이 되었음을 드러내었다. This study focused on the self-healing that an art therapist experienced during the COVID-19 pandemic. The study method followed the narrative inquiry research method using art. The self-healing occurred over the course of 14-session self-healing plan from July 2020 to October in 2020. This plan included the experience of participating in 40 hours of group art treatment, and three supervisions, reflecting on past art work, and responding to my work. Stories from the field text - such as art works, writings, photos materials and so on - included 10 art works and art-based writings. I deducted 165 semantic units and 13 topic words from the field texts and ultimately set four experience topics by asking and answering what I wanted to talk about through this experience. The results were as follows: First, the four experience topics were “I immerse as art therapist,” “art that gives freedom and emancipation,” “propeller that continues,” and “I take out fire.” In addition, as a result of repeating interaction with work, I reproduced the meaning of the experience through three sentences: ”I recover the pristine artistic instinct,” “It is only one process of a life,” and “meeting the counselee is to meet the most immature and the most delicate part.” This investigation process revealed that the art work of self-healing is a process that awakens the intrinsic creativity under the isolation circumstances of the COVID-19 pandemic and fosters a sustainable feeling to the power forward in life.

      • KCI등재

        등교거부 청소년의 등교거부 및 우울감 감소를 위한 인간중심 미술치료 사례연구

        곽진영(Kwak Jin-Young),원희랑(Won Hee-Rang) 한국미술치료학회 2019 美術治療硏究 Vol.26 No.6

        본 연구는 인간중심 미술치료가 등교거부 청소년의 등교거부 및 우울감 감소에 미치는 영향을 알아보는데 목적이 있다. 연구대상은 만 14세 중학교 2학년 남학생으로 지속된 등교거부로 유급 위기에 있었으며 우울감과 무기력을 호소하는 남학생이다. 연구의 진행은 2018년 6월부터 11월까지 주 1회 60분씩 총 16회 진행되었다. 연구도구는 등교거부경향성 척도(SRAS-R-C), 우울 척도(CES-D), 집-나무-사람(HTP)그림검사, 동적가족화(KFD)그림검사이며, 각 회기 활동을 관찰하였고 치료과정에서의 변화를 기록하였다. 본 연구를 통해 얻은 결과는 다음과 같다. 첫째, 인간중심 미술치료는 대상 청소년의 등교거부 개선에 긍정적인 영향을 준 것으로 나타났다. 둘째, 인간중심 미술치료는 대상 청소년의 우울감 감소에 긍정적인 영향을 준 것으로 나타났다. 이상의 결과로 볼 때, 인간중심 미술치료는 등교거부 및 우울감 감소와 더불어 창조성을 높이는 데 효과가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This study investigated the effects of person-centered art therapy to reduce school refusal and depression of an adolescent. The subject was a second-grade middle school boy with depression and at risk of grade retention. A total of 16 sessions were given from June 2018 to November 2018. Each weekly session was 1-hour long. For analysis, the researcher used the School Refusal Scale-Revised-Children (SRAS-R-C), the Center for Epidemiological Studies Depression Scale (CES-D), the HTP, and the KFD. For qualitative analysis, all activities in each session were observed, recorded and analyzed by the researcher. The results demonstrated that person-centered art therapy can reduce school refusal, lower depression and facilitate creativity. Thus, person-centered art therapy appears to have a positive effect on reducing school refusal and depression.

      • KCI등재

        집단미술치료가 고등학교 야구선수의 자기효능감 및 운동스트레스에 미치는 효과

        신유영(Shin You-young),원희랑(Won Hee-rang) 한국미술치료학회 2020 美術治療硏究 Vol.27 No.6

        본 연구의 목적은 집단미술치료를 고등학교 야구선수들에게 적용하고 자기효능감 및 운동스트레스에 미치는 효과를 검증하는 것이다. 이러한 연구목적을 이루기 위해 U시에 소재한 고등학교 야구선수 20명을 실험집단 10명, 통제집단 10명으로 구성하였다. 실험집단을 대상으로 집단미술치료를 주1회 3시간씩 12회기 실시하였다. 측정도구는 자기효능감과 운동스트레스이며 사전, 사후, 추후 점수에 대해 반복측정에 의한 분산분석(Repeated Measures ANOVA)을 실시하였다. 주요 연구결과를 정리하면 다음과 같다. 첫째, 집단미술치료는 고등학교 야구선수의 자기효능감 전체와 그 하위요인인 자기조절효능감과 과제난이도 선호에서는 긍정적 효과가 있음을 확인할 수 있었으나, 자신감에서는 유의미한 효과가 나타나지 않았다. 둘째, 집단미술치료는 고등학교 야구선수의 운동스트레스 감소에 긍정적인 효과가 있음을 확인할 수 있었다.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apply group art therapy to high school baseball players and verify the effect on self-efficiency and exercise stress. In order to achieve the research purpose, 20 high school baseball players based in U city were divided into 10 experimental groups and 10 control groups. The experiment group consisted of 12 consecutive group art therapy sessions per weekly for 3 hours each. The measurement tools were self-efficiency and exercise stress, and the repeated measurements ANOVA was performed on the pre-, post-, and later scores. The main results of the study are summarized as follows: First, group art therapy had a positive effect on self-efficiency of high school baseball players and their sub-factors - self-regulating efficiency and task difficulty preference - but did not show significant effect in self-confidence. Second, group art therapy had a positive effect on reducing exercise stress in high school baseball players.

      • KCI등재

        실용음악전공자의 미술치료 경험에 대한 질적연구 - 경험의 구조와 변화과정을 중심으로 -

        송은경(Song, Eun-kyoung),원희랑(Won, Hee-rang) 한국미술치료학회 2022 美術治療硏究 Vol.29 No.1

        본 연구의 목적은 실용음악전공자의 미술치료 경험의 구조와 변화과정을 알아보는 것이며, 연구방법은 Strauss와 Corbin(2008)의 근거이론 연구방법론에 따랐다. 연구 참여자는 이론적 표집방법에 따라 선정한 개인미술치료를 12회기 이상 경험한 실용음악전공자 9명으로, 25세~30세의 남성 3명과 여성 6명이다. 자료수집을 위해 2019년 6월부터 9월까지 개인별 심층면접을 실시하였고 1회당 평균 100분이 소요되었다. 자료분석 결과, 249개의 개념과 72개의 하위범주, 23개의 범주가 도출되었다. 연구결과, 실용음악전공자의 미술치료 경험의 구조에서 인과적 조건은‘뮤지션의 불안 요소’, ‘삶의 혼란’, ‘심리적 도움 구하기’이며, 맥락적 조건은 ‘초심을 지키며 뮤지션의 보람 느끼기’, ‘미술치료에 대한 호기심과 주춤거림’, ‘낯선 미술’, ‘상처 직면의 어려움’, 중심현상은 ‘미술이 나의 존재를 드러냄’이었다. 중재적 조건은 ‘마음이 안정되는 상호작용의 장소’, ‘즐거움과 편안함을 주는 미술’, ‘직면과 통찰의 미술치료’ 등이며, 작용/상호작용은 ‘미술로 있는 그대로의 나 만나기’, ‘나의 본질을 발견하는 미술치료’, ‘미술로 성장의 길 가기’, ‘삶의 중심에 서기’ 등이다. 결과는 ‘이상적 뮤지션으로 살기’, ‘깊어지는 음악세계’, ‘참된 자기애’ 등이 도출되었다. 이러한 연구결과를 바탕으로 본 연구의 의의와 제한점에 대하여 논의하였다.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investigate the structure and change process of the art therapy experience among applied music majors. This study was analyzed according to the grounded theory research procedure proposed by Strauss and Corbin (2008). Participants were nine applied music majors who experienced art therapy as the theoretical sampling method. The participants were aged 25 to 30 years and included three males and six females. Data were collected via in-depth interviews from June to September 2019. Each interview lasted for an average of 100 minutes. Analysis of the collected data led to 249 concepts, 74 subcategories, and 22 categories. The causal conditions were “anxious of musician,” “confusion of life” and “seeking for a psychological help.” The contextual conditions included “keeping the beginning, and feeling the worth of musicians,” “the curiosity and hesitance of an art therapy,” “unfamiliar art,” and “difficulty and discrepancy of facing hurts.” The central phenomenon was found to be “art revealing my existence.” The intervening conditions were “the place of interaction where my mind can relax,” “art giving joy and comfort,” “art of confrontation and insight,” and so on. The actions/interactions were “encountering myself by art,” “go to the path of growth with art,” “standing at the center of life,” and so on. The results were “living as an ideal musician,” “extended music world,” and “true narcissism,” and so on. The change processes were “objectively look” for the first state “separation and conflict of values,” for the second state, “strengthen of inner power” for the third state, and “integration” for the fourth stage. This study advanced through each step to arrive at the result. Based on these research results, the significance and limitations of this study were discussed.

      • KCI등재

        공감중심 집단미술치료 프로그램이 대학생의 의사소통 및 인간관계에 미치는 영향

        신유영(Shin You-young),원희랑(Won Hee-rang) 한국미술치료학회 2019 美術治療硏究 Vol.26 No.5

        본 연구의 목적은 공감중심의 집단미술치료 프로그램을 대학생에게 적용하고, 의사소통 및 인간관계 능력에 미치는 영향을 검증하는 것이다. 연구목적을 달성하기 위하여 경기지역 대학생 26명을 무작위로 실험집단 11명과 통제집단 15명으로 구성하였다. 실험집단을 대상으로 공감중심 집단미술치료를 주1회 2시간씩 10회기 실시하였다. 측정도구는 의사소통 능력 척도(PCI, Primary Communication Inventory)와 인간관계 척도(RCS, Relationship Change Scale)이며 사전, 사후 점수에 대해 공분산분석(ANCOVA)을 실시하였다. 주요 연구 결과를 정리하면 다음과 같다. 첫째, 공감중심 집단미술치료 프로그램은 대학생의 의사소통능력 전체와 그 하위요인인 언어적 의사소통능력에 유의미한 효과가 있었으나, 비언어적 의사소통에는 유의미한 효과가 나타나지 않았다. 둘째, 공감중심 집단미술치료 프로그램은 대학생의 인간관계 전체와 그 하위요인의 표현력, 개방성에 있어 유의미한 효과가 있었지만, 만족감, 신뢰감, 친근감, 민감성, 이해성에서는 유의미한 효과가 나타나지 않았다.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apply empathy - centered group art therapy programs for college students and verify their effects on communication skills and interpersonal relationships. For the research 26 college students in Gyeonggi Province were randomly divided into 11 experimental groups and 15 control groups. The experimental group underwent 10 consecutive group art therapy sessions per week for 2 hours each. The measurement tools included Primary Communication Inventory (PCI), Relationship Change Scale (RCS), and covariance analysis (ANCOVA) on the pre and post scores. Results demonstrated that empathic group art therapy program had a considerable effect on college students’ verbal communication skills but did not show any major effect on the non-verbal communication skills of sub-factors. Furthermore, the empathic group art therapy program had a significant effect on the total value of interpersonal relationships, including the sub-factors of expressiveness and openness but it did not indicate any consequential effect on satisfaction, trust, affection, sensitivity and understanding.

      • KCI등재

        심리적 소진을 겪는 직장여성의 자기 돌봄을 위한 인간중심 미술치료 사례연구

        함현주(Hyun-Joo Ham), 원희랑(Hee-Rang Won) 한국미술치료학회 2023 美術治療硏究 Vol.30 No.3

        본 사례연구의 목적은 자기 돌봄을 촉진하기 위한 인간중심 접근의 미술치료 사례를 조사함으로써 심리적 소진을 경험하고 있는 직장 여성이 경험한 치료적 변화를 탐구하는 것이다. 연구의 참여자는 30대 여성이며, 그녀는 직장 동료와 상사로부터 지속적인 스트레스를 받아 의욕이 없고 무기력하다고 호소하였다. 미술치료는 주 1회 60분씩 총 14회가 진행되었다. 치료적 변화를 파악하기 위하여 치료일지, 치료 작품, 축어록을 중심으로 질적 분석을 수행하여 회기별 변화 과정, 미술 작업과 일상생활에서의 변화, 자기 돌봄 행동의 변화를 살펴보았고 미술치료 사전과 사후에 실시한 HTP검사를 비교하였다. 연구결과는 다음과 같다. 첫째, 회기별 변화과정에서 소진의 감소와 자기돌봄의 증진을 보였고 둘째, 무기력과 스트레스의 감소로 직장생활을 덜 힘들어하며 다시 건강한 일상생활로 복귀하게 되었다. 셋째, 식사를 비롯한 자기 돌봄을 위한 일상행동을 실천하여 자아실현으로 나아가는 변화를 보였다. 넷째, 사전과 사후의 HTP 그림검사 비교에서 심리적 안정감과 자기돌봄, 현실적 사고의 변화를 보였다. 본 연구는 인간중심 미술치료가 소진을 경험하고 있는 직장 여성의 자기 돌봄을 증진하는 데에 효과적으로 적용될 수 있다는 것을 보여주며, 소진의 회복 과정을 심층적으로 밝혔다는 데에 의의가 있다. 이러한 연구결과를 바탕으로 본 연구의 의의와 제한점에 대하여 논의하였다. The purpose of this case study is to examine the therapeutic changes of working women who suffer from psychological exhaustion through human-centered art therapy for self-care. Participants in the study were working women in their early 30s who complained of exhaustion symptoms such as lethargy, decreased motivation, and atrophy of self-expression due to stress at work. A total of 14 art therapy sessions were conducted once a week for 60 minutes. For the study, the results of pre- and post-HTP picture tests were compared. The process of changes by session, changes in art work and daily life, and changes in self-care behavior were qualitatively analyzed for all treatment journals, treatment works, and vocabulary. As a result of the study, first, lethargy and stress were reduced, making work life less difficult and returning to a healthy daily life. Second, there was a change in self-actualization by practicing daily actions for self-care, including meals. Third, self-confidence and interpersonal relationship changes were shown in comparison of the pre- and post-HTP picture tests. This study is meaningful in qualitatively showing the changes through art therapy by examining the therapeutic changes of working women who experience burnout through human-centered art therapy for self-care. Based on these research results, the significance and limitations of this study were discussed.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