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무료
      • 기관 내 무료
      • 유료
      • KCI등재

        태권도 지도자의 잡 크래프팅이 직무열의에 미치는 영향

        원형진 ( Won Hyungjin ),김학덕 ( Kin Hakduk ) 한국체육대학교 체육과학연구소 2020 스포츠사이언스 Vol.38 No.1

        본 연구는 태권도지도자의 잡 크래프팅이 직무열의에 어떠한 영향을 미치고 있는지를 규명하는데 목적이 있으며, 2019년 12월 31일 경기북부에 위치한 N시, Y시, U시를 소재로 하고 있는 249개 태권도 도장에 종사하고 있는 지도자 237명으로부터 회수된 자료(남성 141명, 여성 96명)이 설문지를 가지고 본 연구 목적에 따라 통계 처리하여 다음과 같은 결론을 도출하였다. 첫째, 잡 크래프팅은 직무열의와 상관관계가 있다. 둘째, 잡 크래프팅은 직무열의에 긍정적인 영향을 미친다. 이러한 연구의 결과는 지도자 스스로 자신의 일을 만들어 가다보면 그 과정과 시점에서 자신의 일이 그냥 단순한 일이 아니라 ‘변화하는 트렌드를 빠르게 캐치하는 지도자’, ‘참여자에게 즐거움을 주는 지도자’, ‘업무에 있어서 리스크를 줄여나가는 지혜로운 지도자’등으로 자신의 업무를 자신만의 언어로 정의 할 수 있게 될 것이며, 자신의 일을 자신만의 언어로 정의 할 수 있다면 자신만의 잡 크래프팅 캔버스를 완성할 수 있을 것으로 판단된다. 하지만 향후 연구에서는 잡 크래프팅에 관한 연구가 체육 분야에서는 확연하게 부족하여 여러 형태의 학문적인 연구가 시도되어지지 못하고 있다, 따라서 체육지도자의 유형을 분류하여 각 종목의 지도자들의 잡 크래프팅을 파악한 후 지도자들의 직무능력과 직무만족, 직무성과에 대하여 연구하여야 할 것이며, 더 나아가 참여자들이 느끼는 지도자의 잡 크래프팅에 대한 만족, 참여자의 삶의 만족 등에 대한 연구가 시도되어져야 할 것이다. This study aims to investigate how job crafting of Taekwondo Leader's affects their work enthusiasm. Based on a questionnaire survey of 237 Leader's (141 male and 96 female Leader's) in 249 Taekwondo studios located in N, Y, and U cities in northern Gyeonggi-do as of December 31, 2019, the following conclusions were drawn by the statistical process suitable for the purpose of this study. First, job crafting is correlated with job enthusiasm. Second, job crafting has a positive effect on job enthusiasm. The results of these studies will allow you to define your work in your own language, not just in the process and at the moment, but in the process and in the moment, you will be able to complete your own Job-Crating canvas. if you can define your work in your own language, such as ‘leader who catches changing trends quickly’, ‘leader who entertains participants’, and ‘wise leader who reduces risk in your work’, But as research on job crafting is greatly lacking in the field of physical education, various forms of academic research have not been attempted. Therefore, in the future research, it is necessary to classify the types of physical education instructors, analyze the job crafting of those instructors in each sport, and then study how job crating affects their job skills, job satisfaction, and job performance. Furthermore, researches need to be conducted on their satisfaction of job crafting and personal lives.

      • KCI등재

        퍼스널트레이닝 지도자의 완벽주의 성향이 직무열의에 미치는 영향

        김학덕 ( Kim Hakduk ),원형진 ( Won Hyungjin ),지용석 ( Young-suk Ji ) 한국체육대학교 체육과학연구소 2020 스포츠사이언스 Vol.38 No.2

        본 연구는 2019년 11월 15일부터 12월 27일까지 서울시 K구와 S구를 소재로 한 피트니스센터 15곳과 퍼스널 트레이닝센터 20곳에 근무하고 있는 퍼스널 트레이닝 지도자 256명(남성 163명, 여성 93명)을 연구의 대상으로 선정하여 설문지 배포 후 회수하여 연구의 목적에 맞게 통계 분석하여 다음과 같은 결론을 도출 하였다. 첫째, 완벽주의 성향과 직무열의는 상관관계가 있다. 둘째, 완벽주의 성향은 직무열의에 영향을 미친다. 이러한 결과는 완벽주의 성향은 직무를 수행하는데 있어 심리적인 영향을 조절하고 통제하는데 많은 영향을 주고 있는 것으로 판단되며, 자신에 대한 완벽주의 성향은 스스로의 내적 기준에 의하여 행하여 질 때 타인으로 인해 강압이나 기대에 대해 응하는 것인지를 인지하고 완벽주의에 대한 기준치를 결정해야 할 것이다. 현재 완벽주의 성향과 직무열의에 대한 실증분석만을 시행하였으나 향후 연구에서는 완벽주의 성향이 개인의 성격특성임을 고려하여 특성 활성화 이론에 따른 완벽주의 성향과 직무열의에 대한 관계에서 주변인과 주의환경에 따른 요소들이 영향을 줄 수 있는 가능성이 있으므로 다각적인 차원에서의 완벽주의 성향과 직무열의에 대한 관계를 검증할 필요가 있다. 또한 완벽주의 성향과 직무열의에 대한 관계에서 주변인과 주의환경에 따른 요소들이 영향을 줄 수 있는 가능성이 있으므로 다각적인 차원에서의 완벽주의 성향과 직무열의에 대한 관계를 검증하는 것은 물론 종속변인으로 직무소진, 직무이직 등의 변인들과 같이 직무열의의 매개효과에 대한 관계를 검증할 필요가 있다고 판단된다. For this study, 256 personal trainers (163 males and 93 femeals) who work in 15 fitness centers and 20 personal training cetners located in K and S districts of Seoul were selected as the subjects. From November 15 to December 27, 2019, the subjects were asked to fill out a questionnaire, later statistically analyzed according to the purpose of the study, and the results are as follows. First, perfectionism and job engagement are co-related. Second, perfectionism influences job engagement. These results indicate that perfectionist tendencies have a significant impact on controlling and controlling psychological effects in performing their duties, and that perfectionist tendencies toward themselves will have to be aware of whether they respond to coercion or expectations by others when they are conducted on their own internal standards and will have to determine the criteria for perfectionism. This study conducted only an empirical analysis of perfectionism and job engagement, but, considering perfectionism is an individual personality trait, there is a possibility based on the trait activation theory that factors related to people around them and their surroundings could have potential impacts on the correlation between perfection and job engagement. Thus, it is necessary to examine the relationship between perfectionism and job engagement at various levels in future research. Also, since the results did not provide comprehensive information on variables as it was a quantitative research, it is necessary to verify the variables with in-depth interviews through quantitative and qualitative research in the future.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