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좁혀본 항목 보기순서

        • 원문유무
        • 원문제공처
        • 등재정보
        • 학술지명
        • 주제분류
        • 발행연도
        • 작성언어
        • 저자
          펼치기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무료
      • 기관 내 무료
      • 유료
      • 역동적 대역폭 변화를 고려한 멀티캐스트 그룹 스케줄링 알고리즘

        우희경(Heekyoung Woo),김종권(Chong-kwon Kim) 한국정보과학회 1997 한국정보과학회 학술발표논문집 Vol.24 No.2Ⅲ

        최근의 통신망 기술의 발전, 스토리지의 대용량화, 코딩 기술의 향상은 다양한 고도화된 멀티미디어 통신 서비스의 제공을 가능하게 하였다. 이와 같은 서비스에 멀티캐스트 전송을 이용하면 서버의 처리율을 획기적으로 높일 수 있으나 대부분의 선행 연구에서는 제한된 멀티캐스트 전송 만을 가정하였다. 그러나 전송 속도가 매우 빠른 환경에서는 저장-재생 방식을 이용하여 멀티캐스트 전송의 가능성을 더 높일 수 있었으나 멀티캐스트 전송은 각 수신자까지의 연결이 서로 다른 대역폭을 가지고 있다는 문제를 가지고 있다. 수신자까지의 대역폭을 최대로 이용하려면 각 수신자마다 하나씩 단대단 전송을 반복하는 방식이 가장 적합하나 멀티캐스트의 효과가 없어진다. 반면, 서버의 효율을 높이기 위하여 가장 낮은 대역폭으로 모든 수신자들에게 한꺼번에 멀티캐스트 전송을 하면 전송 자원을 효율적으로 사용하지 못한다는 단점이 생긴다. 본 논문에서는 서버의 처리율을 높일 수 있도록 가입자들의 수신율에 따라 멀티캐스트 그룹을 부그룹으로 나누어 실제 처리율이 가장 높은 세그먼트를 선택하는 스케줄링 알고리즘으로 MTS(Maximum Throughput Scheduling) 알고리즘을 제안하였다. MTS 방식의 장점을 분석하기 위해 컴퓨터 시뮬레이션을 통해 대역폭의 상이함을 고려하지 않은 알고 수신율에 다라 멀티캐스트 그룹을 부그룹으로 나누어 실제 처리율이 가장 높은 세그먼트를 선택하는 스케줄링 알고리즘을 제안한다.

      • 사용자 이동 패턴을 이용한 위치 등록 기법

        우희경(Heekyoung Woo),하태식(Tae-sik Ha),김종권(Chong-kwon Kim) 한국정보과학회 1995 한국정보과학회 학술발표논문집 Vol.22 No.1

        휴대전화, 개인 통신 서비스, 무선 데이타 통신 등과 같은 이동통신 서비스 요구가 매우 증대되고 사용자 밀도가 증가될수록 한정된 주파수 자원에 의한 문제가 더욱 증폭된다. 본 논문에서는 빈번한 위치 변경과 호 페이징을 초래하는 고밀도 사용자를 지원하는 시스템에서의 위치 등록 오버헤드와 사용자 추적 오버헤드를 감소시킬 수 있는 효율적인 사용자 위치 등록 기법을 제안하였다. 본 논문에서 제안한 “가상 홈” 기법은 사용자의 움직임 패턴에 따른 예상 위치에 미리 등록하는 과정을 통해 위치 등록 과정의 오버헤드를 감소시켰다. 이 방법의 성능을 기존의 위치 등록 방법과 비교하여 분석하였다.

      • KCI등재

        동적 멀티캐스트 전송을 이용한 스포츠 정보 제공 시스템 구현 (pp.848-854)

        이우주(Woo-joo Lee),우희경(Heekyoung Woo),김종권(Chong-kwon Kim) 한국정보과학회 1998 정보과학회 컴퓨팅의 실제 논문지 Vol.4 No.6

        본 논문은 주문형 뉴스 서비스의 일종인 주문형 스포츠 정보 제공 시스템의 구현 결과를 기술하였다. 스포츠 정보 제공 시스템은 초고속 정보통신망을 기반으로 하면서 가입자들에게 이미지, 음성, 데이타 및 동화상으로 구성된 스포츠 뉴스를 효율적으로 제공하는 고도통신 서비스이다. 구현된 시스템의 가장 큰 특징은 동적 멀티캐스트 스케줄링 알고리즘을 이용하여 통신망 및 뉴스 제공 서버의 효율을 향상시켰다는 점이다. 또한 이 시스템은 중앙 집중적 방식이 아닌 분산 환경에서 구현됨으로써 확장성이 뛰어나다. 이 시스템은 모든 검색 작업 및 뉴스 시청 과정이 플러그인 기술에 기반한 웹 브라우저에서 구현되었으므로 컴퓨터에 대한 전문 지식이 없는 일반 기업자들도 쉽게 사용할 수 있다. This paper describes the internal mechanisms and implementational details of a system which provides recent sports news on the fly. The Sports-On-Demand system, which disseminates information in various media including moving images, will be one of most promising B-ISDN services. The most important feature of this system is that it employs a dynamic multicasting method which was proven to be able to enhance the efficiency of servers and networks. In addition, we implement the system as a distributed system such that it has good scalability. We implement the system using a plug-in technology so that even novice computer users can use it easily.

      • 동적 멀티캐스트 전송을 이용한 스포츠 정보 제공 시스템 구현 (pp.577-580)

        이우주(Woo-joo Lee),우희경(Heekyoung Woo),김종권(Chong-kwon Kim) 한국정보과학회 1997 한국정보과학회 학술발표논문집 Vol.24 No.2Ⅲ

        본 논문은 주문형 비디오 서비스와 주문형 뉴스 서비스의 혼합적인 형태인 주문형 스포츠 정보 제공 시스템의 구현 결과를 기술하였다. 스포츠 정보 제공 시스템은 스포츠에 관심이 많은 사용자들에게 이미지, 음성, 데이터 및 동화상으로 구성된 스포츠 뉴스를 효율적으로 제공할 수 있는 시스템으로서 앞으로 구축된 초고속 정보통신망에서 제공할 수 있는 하나의 서비스가 될 수 있다. 이 시스템의 가장 큰 특징은 동적 멀티캐스트 전송 알고리즘을 이용하여 통신망의 효율을 높일 수 있다는 점이다. 이 시스템은 컴퓨터에 대한 전문지식이 없는 일반 사용자들도 쉽게 사용할 수 있도록 모든 검색 작업 및 뉴스 시청 과정이 플러그인 기술을 이용하여 웹브라우저에서 이루어질 수 있게 구현하였다. 또한 스포츠 뉴스를 중앙 집중적 방식이 아닌 분산 환경에서 제공함으로써 확장성이 뛰어나다는 장점이 있다.

      • IEEE 802.11 무선LAN에서 AP의 백오프가 TCP성능에 미치는 영향에 관한 연구

        박상하(Sangha Park),우희경(Heekyoung Woo),김종권(Chongkwon Kim) 한국정보과학회 2005 한국정보과학회 학술발표논문집 Vol.32 No.2

        IEEE 802.11 에서 현재까지 많이 연구되어진 주제는 노드들 간의 공평성(fairness)에 중점을 두거나 처리율(throughput)을 높이는데 초점을 맞추어 진 것들이었다. 전체 처리율을 높이는데 AP의 백오프 방식에 관련해서는 노드들 간에 관한 연구에 비하여 비교적 연구가 적은편이다. 현재 AP와 노드들은 충돌이 발생하면 BEB(Binary Exponential backoff) 방식으로 셋팅되어 사용하고 있기 때문에 1:N의 불공평한(unfairness) 상황이 발생한다. 하향링크(downlink)가 대부분인 환경에서 AP가 다른 노드들과 같은 채널 접근확률을 가진다는 것은 바람직하지 않다. 따라서 AP가 노드들보다 우선권(priority)을 높여서 처리율을 높이는 방안이 필요하다. 그래서 본 논문에서는 AP의 백오프 방식 및 CW(Contention Window)가 변화하는데 따라서 전체 처리율에 어떤 영향을 끼치는가와 노드 수에 따른 AP의 적절한 전략 과 백오프 CW값을 분석해 보았다.

      • KCI우수등재

        VOD 서비스를 위한 멀티캐스트 스케줄링

        김종권(Chong-kwon Kim),우희경(Heekyoung Woo),박지철(Ji-cheol Park) 한국정보과학회 1995 정보과학회논문지 Vol.22 No.3

        멀티미디어 데이타 분배 서비스는 망 기술의 발전 및 기억 장치의 대용량화, 효율적인 코딩 기법의 개발 등에 의해 실현이 가능해지고 있다. 이러한 서비스 중 VOD 서비스는 가장 실현 가능성이 높은 서비스이다. 본 논문에서는 향후 망에서 제공될 것으로 보이는 동적 멀티캐스팅 기능을 이용하는 새로운 VOD 서비스 방안을 제안하였다. 먼저, 새로운 VOD 서비스 방안을 실현하기 위한 IS, SCC, CPE로 구성된 전체 시스템 구조를 정의하였다. 가입자 장치는 망으로부터 수신된 비디오 데이타를 저장할 수 있는 저장 장치를 가지고 있으며, 비디오 데이타는 재생 속도보다 빠른 속도로 가입자 장치에게 전송된다고 가정하였다. 또한 비디오 데이타를 효율적으로 분배하기 위해 망으로부터 제공되는 멀티캐스트 기능을 동적으로 이용하는 SCC의 시스템 구조에 대해서도 알아보았다. 한 비디오 정보는 그것을 요청한 가입자들에게 멀티캐스팅 전송되는데 이 때 사용하는 스케줄링 알고리즘인 EDS(Earliest Deadline Scheduling), MMS(Most Multicasting Scheduling), 그리고 LDS(Latest Deadline Scheduling)의 세가지 알고리즘을 제안하고 각각의 동적 방법을 간단한 예제를 통해 설명한다. Recent developments in networking technologies, coupled with the advent of high-capacity storage devices and improved coding schemes, will make it feasible to provide many advanced multimedia distributed services. Among many advanced telecommunication services of a BISDN, the VOD(Video On Demand) service is emerging as one of most promising services. In this paper, we propose a new VOD service scheme which utilizes the dynamic multicasting capabilities of future networks. We first describe an overall VOD service architecture which consists of CPEs, SCCs, ISs. Based on the assumptions that each subscriber has a storage space and a video can be delivered faster at a speed faster than the playback speed, we propose a video transfer scheme where same video signals are multicasted to subscribers simultaneously. To realize the potential benefits of multicasting, we propose three scheduling algorithms: EDS(Earliest Deadline Scheduling), MMS(Most Multicasting Scheduling), and LDS(Latest Deadline Scheduling). We examine the advantage and disadvantage of three algorithms with simple examples.

      • 모바일 에이전트를 가진 센서 네트워크에서 클러스터의 성능 분석

        황재룡(Jaeryong Hwang),우희경(Heekyoung Woo),김종권(Chongkwon Kim) 한국정보과학회 2005 한국정보과학회 학술발표논문집 Vol.32 No.2

        본 논문에서는 센서 네트워크에서 수명을 늘리기 위한 기존의 통신 프로토콜 중에서 모바일 에이전트가 있는 환경에서 전체 네트워크 트래픽 량을 줄여 더욱더 수명을 늘리기 위해서 클러스터를 도입한다. 고정된 위치에서 싱크가 데이터를 수집할 경우 싱크 한 홉 내에 있는 노드들이 에너지를 빨리 쓰기 때문에 네트워크 파티션이 일어나기 쉽다. 이를 해결하기 위해 모바일 에이전트를 이용하여 네트워크 수명을 연장하는 방법이 연구되었다. 하지만, 모바일 에이전트가 이동을 하게 되면 전체 네트워크의 트래픽 양이 많아진다. 늘어난 트래픽을 줄이기 위해 모바일 에이전트가 있을 때 클러스터링의 성능을 분석하고 에너지 효율적인 클러스터 방법에 대해서 제안한다.

      • 무선랜 성능향상을 위한 AP의 동적 전송속도 할당 기법

        박병창(Byoungchang Park),우희경(Heekyoung Woo),김종권(Chongkwon Kim) 한국정보과학회 2005 한국정보과학회 학술발표논문집 Vol.32 No.2

        최근 유비쿼터스 네트워크 환경을 구축하기 위해 많은 무선 통신 기술들이 등장하였다. 그 중 무선랜 기술은 쉬운 설치와 저렴한 비용 덕에 폭발적인 보급이 이루어 졌다. IEEE 802.11 표준을 기반으로 만들어진 무선랜은 여러 개의 전송속도를 지원한다. 대표적으로 802.11b는 1, 2, 5.5, 11Mbps의 4가지 전송속도를 지원한다. 낮은 전송속도로 전송을 하면 패킷 전송시간은 증가하지만 비트 에러율은 감소된다. 각각의 전송속도에 따라 다른 패킷 전송 성공률을 갖게 된다. 한 무선랜 AP에 연결된 노드들은 각자 자신의 처리율을 최대화할 수 있는 전송속도를 결정하여 사용하게 된다. 이러한 상황은 전체 시스템 성능에는 문제를 발생시킬 수 있다. 본 논문에서는 각자의 전송속도를 각자가 결정하는 것이 전체 시스템 성능에 문제를 발생시키는 경우를 보이고, 그것을 해결하기 위해 AP가 각 노드의 전송속도를 결정하는 기법을 제안한다. 나아가 무선랜에서의 문제점인 Performance Anomaly 현상을 해결하고, [3]에서 언급된 Inefficient Equilibria 현상도 막아본다.

      • 무선랜 성능향상을 위한 AP 의 전송속도 및 전송시간 동적 할당 기법

        박병창 ( Byoungchang Park ),우희경 ( Heekyoung Woo ),김종권 ( Chongkwon Kim ) 한국정보처리학회 2005 한국정보처리학회 학술대회논문집 Vol.12 No.2

        최근 유비쿼터스 네트워크 환경을 구축하기 위해 많은 무선 통신 기술들이 등장하였다. 그 중 무선랜 기술은 쉬운 설치와 저렴한 비용 덕에 폭발적인 보급이 이루어 졌다. IEEE 802.11 표준을 기반으로 만들어진 무선랜은 여러 개의 전송속도를 지원한다. 대표적으로 802.11b 는 1, 2, 5.5, 11Mbps 의 4 가지 전송속도를 지원한다. 낮은 전송속도로 전송을 하면 패킷 전송시간은 증가하지만 비트 에러율은 감소된다. 각각의 전송속도에 따라 다른 패킷 전송 성공률을 갖게 된다. 한 무선랜 AP 에 연결된 노드들은 각자 자신의 처리율을 최대화할 수 있는 전송속도를 결정하여 사용하게 된다. 이러한 상황은 전체 시스템 성능에는 문제를 발생시킬 수 있다. 본 논문에서는 각자의 전송속도를 각자가 결정하는 것이 전체 시스템 성능에 문제를 발생시키는 경우를 보이고, 그것을 해결하기 위해 AP 가 각 노드의 전송속도 및 전송시간을 결정하는 기법을 제안한다. 나아가 무선랜에서의 문제점인 Performance Anomaly 현상을 해결하고, [3]에서 언급된 Inefficient Equilibria 현상도 막아본다.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