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무료
      • 기관 내 무료
      • 유료
      • KCI등재

        초·중등 체육수업 실천 속에 드러난 교사 신념에 관한 체계적 문헌 분석: 체육교육 연계를 위한 시사점

        장경환(Jang, Kyunghwan),우평호(Woo, Pyungho),장진솔(Jang, Jinsol),이옥선(Lee, Okseon) 이화여자대학교 교과교육연구소 2020 교과교육학연구 Vol.24 No.4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analyze the teaching beliefs of elementary and secondary P.E. teachers through systematic literature review, and to draw implications for the continuity of elementary and secondary P.E.. For this purpose, literatures over the past 10 years were collected under the keywords ‘Elementary P.E. Class’, ‘Secondary P.E. Class’, ‘Elementary P.E. Teachers’, ‘Secondary P.E. Teachers’, ‘Elementary P.E. Practice’, ‘Secondary P.E. Practice’, and the final 45 published research were selected for analysis. The collected literatures were analyzed by using Kim, et al. (2000)’s framework in which the beliefs of P.E. teachers were classified into the view on subject matters, the view on teachers, and curriculum. The results of the study are as follows. First, the beliefs on subject matters were built around intrinsic and extrinsic valueoriented P.E. and structural characteristics of the education system. Second, the beliefs on teacher were related to teacher image, role, and attributes. Third, for the beliefs on curriculum of elementary and secondary P.E., teachers showed both similarities and differences in curriculum perception and curriculum practice. Suggestions for the establishment of continuum between elementary and secondary physical education are: (a) enhancing the role of physical education that serves as a foundation of lifelong physical education, (b) building up the role as a bridge between elementary and secondary P.E., and (c) cultivating competences of P.E. teachers’ curriculum implementation. 본 연구의 목적은 체계적 문헌 분석(systematic literature review)을 통해 초·중등학교에서 체육을 지도하는 교사의 신념을 분석하고, 초·중등 체육교육의 연계를 위한 시사점을 제공하는데 있다. 이를 위해 ‘초등 체육수업’, ‘중등 체육수업’, ‘초등 체육교사’, ‘중등 체육교사’, ‘초등 체육 실천’, ‘중등 체육 실천’ 등의 키워드로 최근 10년 간 국내 학술지에 게재된 관련 연구물을 수집하였고, 최종 45편을 선정, 분석하였다. 수집된 연구물은 김종욱 외(2000)의 연구에서 체육교사의 신념을 교과관, 교사관, 교육과정관으로 분류했던 프레임워크를 활용하였다. 연구 결과는 교과관에서 체육의 내·외재적 가치 지향과 교육체제의 구조적 특성에 기인한 신념이, 교사관은 교사상, 교사 역할, 교사의 자질에 관한 신념이, 교육과정관은 인식과 실행에 관한 신념이 초·중등 교사 간에 공통적, 차별적으로 드러났다. 초·중등 체육교육 연계를 위해서는 평생 체육의 토대가 되는 교과로서의 체육, 초·중등 체육을 이어주는 교량의 역할, 교사의 교육과정 실행 전문성의 제고가 필요함을 제안하였다.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