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좁혀본 항목 보기순서

        • 원문유무
        • 원문제공처
        • 학술지명
        • 주제분류
        • 발행연도
          펼치기
        • 작성언어
        • 저자
          펼치기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무료
      • 기관 내 무료
      • 유료
      • 對金飮子가 알코올 투여로 유발된 흰쥐의 간 지방 병증과 면역억제의 예방에 미치는 영향

        김정자(Jeongja Kim),서부일(Buil Seo),최홍식(Hongsik Choi),김승모(Seongmo Kim),우창훈(Changhoon Woo),구진숙(Jinsuk Koo),박규열(Gyuryeol Park) 한국한의학연구원 2010 한국한의학연구원논문집 Vol.16 No.2

        Objective : The present study has been undertaken to investigate the preventive effects of Daekumeumja on fatty degeneration of liver and immunosuppression induced by alcohol in rats. Method : Except for the normal group, we fed rat on 25% alcohol for 55 days. And Daekumeumja(DK) extract was administrated for the same period. We measured the serum component in rat's blood, weight of internal organs, liver triglyceride contents, histomorphometry and histopathological observation of internal organs. Results : 1. In the change measurement of serum components, DK group(50 ㎎/㎏, 200 ㎎/㎏) showed significant decrease of AST, ALT, albumin, ALP and triglyceride in comparison with those of the alcohol control group. 2. In the change measurement of internal organ's weight, DK group(50 ㎎/㎏, 200 ㎎/㎏) showed significant increase of relative body weights of liver, thymus and spleen in comparison with those of the alcohol control group. 3. DK group(50 ㎎/㎏, 200 ㎎/㎏) showed significant decrease of hepatic triglyceride contents in comparison with those of the alcohol control group. 4. In histomorphometrical changes of liver, DK group(50 ㎎/㎏, 200 ㎎/㎏) showed significant decrease of numbers of hepatocytes occupied by over 10 % lipid droplets, percentages of regions occupied by lipid droplets and mean diameters of hepatocytes in comparison with those of the alcohol control group. In histomorphometrical changes of thymus, DK group(50 ㎎/㎏, 200 ㎎/㎏) showed significant increase of lobular thickness and cortex thickness in comparison with those of the alcohol control group. In histomorphometrical changes of spleen, DK group(50 ㎎/㎏, 200 ㎎/㎏) showed significant increase of splenic thicknesses, numbers of white pulps and mean diameters of white pulps in comparison with those of the alcohol control group. 5. In histopathological changes of liver, DK group(50 ㎎/㎏, 200 ㎎/㎏) showed effective inhibition of severe fatty changes in comparison with those of the alcohol control group. In histopathological changes of thymus and spleen, DK group(50 ㎎/㎏, 200 ㎎/㎏) showed effective inhibition of atrophic changes in comparison with those of the alcohol control group. Conclusions : Reviewing these experimental results, it appears that Daekumeumja have pharmaceutical preventive efficacy on fatty degeneration of liver and immunosuppression induced by alcohol in rats.

      • 권력의 틀로 바라본 근대건축공간 분석을 위한 시론

        우창훈 수원대학교 산업기술연구소 2004 산업기술연구소논문집 Vol.19 No.-

        A distinctive feature of modern power (disciplinary control) is its concern with what people have not done (nonobservence), with, that is, a person's failure to reach required standards. This concern illustrates the primary function of modem disciplinary systems: to correct deviant behavior The goal is not revenge (as in the case of the tortures of premodern punishment) but reform, where, of course, reform means coming to live by society's standards or norms. Discipline through imposing precise norms ("normalization") is quite different from the older system of judicial punishment, which merely judges each action as allowed by the law or not allowed by the law and does not say that those judged are "normal" or "abnormal" This idea of normalization is pervasive in our society: e.g., national standards for educational programs, for medical practice, for industrial processes and products.

      • A Study on the Avant-Garde in Contemporary Architecture

        우창훈 수원대학교 산업기술연구소 1997 산업기술연구소논문집 Vol.12 No.-

        우리는 항상 우리가 구축한 거주공간 내에서 현재를 뛰어넘는 무언가를 찾고자 한다. 구축된 공간 내에서 우리의 '주거가능'에 대한 한계를 확장하려는 노력에 있어서 푸코의 '사건'이라는 개념은 새로움을 탐구하기 위한 하나의 기본 틀이 된다. 새로움이란 단순히 거주방식의 변화에 관한 문제만은 아니다. 우리의 거주방식에 대한 역사적이고 전통적인 해석에 대한 새로운 시도를 요구한다. 우리가 당연하다고 생각하는 사실들에 대한 근본적인 재해석 작업은 이제까지의 '공간과 시간'대신에 '다른 공간과 다른 시간'을 생각하게 한다. 본 논문은 이러한 새로움에 대한 탐구를 위한 일차적인 가능성을 이론적으로 탐색하기 위한 것이다. 최근의 해체건축에서 자주 인용되는 글들의 분석을 통하여 '사건'을 통한 공간의 구축, '헤테로토피아'를 통한 다원론의 추구 등에 대한 의미의 분석과 함께 이것들의 어떤 점이 역사적이고 사고의 방법과 차이가 있는가에 대하여 분석하였다.

      • Form, Formation and Transformation : an analysis of Asplund's design of the Stockholm City Library

        우창훈 수원대학교 산업기술연구소 2000 산업기술연구소논문집 Vol.15 No.-

        아스플른드의 스톡홀름시립도서관은 그의 다른 작품들과 마찬가지로 여러 단계의 발전과 변형의 과정을 거쳐서 완성되었다. 특히 1922년에 출간된 안을 기준으로하여 그 이전안과 후의 안은 많은 차이를 보여주고 있다. 그는 이 건물을 계기로 고전의 건물 어휘를 버리고 이후에는 기능주의의 언어를 주로 구사하게 된다. 도서관의 디자인을 통하여 새로운 시대에 맞는 건축언어를 깊이있게 추구하고 결과적으로 근대 도서관 건축의 한 유형을 만들어 내게 되었다. 따라서 아스플른드의 스톡홀름 도서관에 대한 이해는 근대건축의 형성과정의 한 단면을 추적해볼 수 있는 것으로 그 역사적인 의의를 찾을 수 있다.

      • Adolf Loos : The Breaking Moments of Tradition in Modern Architecture

        우창훈 수원대학교 산업기술연구소 1999 산업기술연구소논문집 Vol.14 No.-

        근대 서양건축의 발전에 있어서 고전과의 관계설정은 매우 중요한 과제였다. 에꼴드보자르의 고전에 대한 직설적인 재해석 방식에서부터 미래파등의 고전과의 완벽한 단절에 이르기까지 그 설정의 방식은 참으로 다양하게 나타난다. Adolf Loos는 이러한 상황에서 상당히 독특한 위치를 점하고 있다. Benjamin의 용어를 빌리자면 옛것(고전)과 새로운 것(근, 현대)의 변증법적인 접근방식으로 향후의 많은 건축가들이 취하는 태도의 한 규범을 제시하고 있다. 본 논문은 Benjamin의 이론적인 틀을 전체 논의의 기준으로 삼아 Adolf Loos의 건축을 이제까지의 단순한 장식에 대한 거부라는 태도에서 벗어나 그가 보여주고 있는 새로운 상황 설정에 주목하고 이를 고전과 현대의 요소를 접목시키는 방식에 주목하였다. 이를 통해 근대건축의 진행과정을 살펴보았다.

      • 'Tectonic'과 Carlo Scarpa 建築에서의 디테일에 대한 存在論的 理解에 관한 硏究 : Heidegger의 實存 現象學的 思惟方式을 中心으로

        우창훈 수원대학교 산업기술연구소 2003 산업기술연구소논문집 Vol.18 No.-

        The recently published papers and essays regarding 'tectonic' bring us to rumination or its importance on comprehending modern architectural process. Many architectural theorists may seem to seek the substance of architecture through the discussion of 'tectonic' for the purpose of overcoming the dilemma of representation which can be easily round in modern architectural forms. Their emphasizing on its double-raced aspect as the manner or representation, that is semantic and aesthetic, may imply the significance of philosophical approach especially to the recent architectural phenomena. From this point, it ought to be meaningful to manifest etymological connection between the terms with semantic analysis and interpret the substance and ontological meaning of 'tectonic' referring Martin Heidegger's existential philosophy. Besides the works of Carlo Scarp;4 that are known as the art or making, are exampled to prove the way how the ontological meaning or practical act is exposed on an artwork. The idea of 'tectonic' connotes not only technological aspect as construction of form and space, but also ontological aspect as joint or detail, that is the result of logos. The 'tectonic' means etymologically 'joint' having double-meaning structure, technology and aesthetics. It means 'detail' as minimum units of architectural form and as sites where making relationship or connection takes place in the way of ontological apprehension. The 'detail' as the place of innovation and invention implies the culture of an area, and expresses craftsmanship, which modern architecture buries in oblivion. This study aims to deviate from the aesthetical commercialization in which the modem architecture tends to fall, and further, propose the possible way to succeed traditional locality in an epistemological point of view.

      • The Danteum Design : Process and Precedents 과정과 선례들

        Woo, Changhoon 수원대학교 산업기술연구소 2002 산업기술연구소논문집 Vol.17 No.-

        쥬세페 테라니의 단테움 계획은 비록 실제로 지어지지는 못하였지만 테라니가 생각하고 있었던 새로운 건축의 가능성에 대한 많은 이야기를 담고 있다. 또 이 계획안은 코르뷔지에등 많은 건축가들의 상상력에 커다란 원동력이 된 작품이기도 하다. 본 논문은 테라니가 단테움 프로젝트에 관하여 만들어낸 스케치와 드로잉에 대한 분석을 지가으로 하여 단테움이 만들어지기까지의 건축가의 사고의 변화를 추적함으로써 테라니의 건축에 대한 의미를 살펴보았다.

      • 현대 건축의 개념에 관한 연구

        조희철,우창훈 광주대학교 1993 産業技術硏究 Vol.3 No.-

        오늘날의 건축은 지극히 복잡할뿐더러 혼란스럽기까지 한 양상를 보이고 있다. 전통주의, 모더니즘, 포스트모더니즘, 해체론은 서로에게 영향을 미치면서 다음 세대를 준비하고 있다. 본 연구는 현대 건축의 주된 개념으로 작용하는 이들의 철학적 배경을 탐색하려는 시도이다. 다음 세대의 건축은 다음의 여섯 개념을 중심으로 발전해 나갈 것으로 보인다. 1. 소외화하는 기술, 2. 중재된 '대도시'의 충격, 3. 탈구조, 4. 중첩, 5. 교차 프로그래밍, 6. 사태. 건축은 설계의 조건이 아닌 조건이 설계이다. 따라서 전략은 오늘날 건축에 서 필수적인 용어로 등장하고 있다. 더 이상의 마스터플랜이나 고정된 장소에 위치시킨다거나 하는 것이 아니라 새로운 헤테로토피아를 추구한다. 바로 이것이 오늘날의 도시가 추구해야 할 방향이고 그럼으로써 도시 내에서 발생하는 다양한 사태들과 공간들이 풍요롭게 심화될 수 있도록 도울 수 있다. 위에서 말한 요소들의 기여와 조합을 통해 문화와 사회 전반에 걸친 전환점이 형성될 수 있을 것이다. Architecture today is very complicated and even looks confusing. The four ideas - Traditionalism, Modernism, Post-Modernism and deconstruction - have affected each other to prepare for the next generation. This study was carried out to expose the phylosophical backgrounds which work as the main concepts of the contemporary architecture. Architecture of the tomorrow would be developed with the following six concepts: Technologies of defamiliarization, the mediated 'Metropolitan' shock, de-structuring, superimposition, crossprogramming and events. Architecture is not about the conditions of design, but about the design of conditions. Strategy is a key word in architecture today and tomorrow. No more masterplans, no more locating in a fixed place, but a new heterotopia. This is what our cities must strive towards and what we architects must help them to achieve by intensifying the rich collision of events and spaces. Their contributions and combinations of elements may provide us with the event, the shock, that will make the architecture of our cities a turning point in culture and society

      • 建築的 場所가 지닌 重層的 性格에 관한 硏究

        조희철,우창훈 광주대학교 1994 産業技術硏究 Vol.4 No.-

        건축적 체험의 과정에서 체험의 주체는 정신적 활동을 통해 자신의 내부에 심상적 표상으로서의 장소를 형성한다. 이때 체험의 과정은 두 방향으로 나눌 수 있다. 그 하나는 구체적인 건축환경을 실현하는 과정에서 형성되는 장소의 표상이고, 다른 하나는 실현된 건축환경에 반응함으로써 형성되는 장소의 표상이다. 전자는 수많은 가능성 중에서 순차적인 선택의 절차를 거쳐 이루어지는 논리적 양상(logical aspect)을 띠게 되며, 후자는 전체적인 인상이 먼저 형성되고 그 다음으로 각 체험요소들이 구분되는 과정을 거치는 미적 양상(aesthetic aspect)을 띠게 된다. 이 두 양상에는 모두 장소의 형성자가 부과하는 다양한 질서들이 복합적으로 중층화하여 내재한다. 본 연구에서는 이러한 질서를 구분할 수 있는 범주를 공간적, 시간적, 의미적, 정서적 질서로 설정하고 그 각각의 성격에 대해 분석하였다. Place basically has the organic character by the reason of being produced by the subject of architectural experience. Hence place forms a field analysable to the center itself and the prehending aspect of it. This place constitutes the holistic whole which cannot be reduced to any part of it. This concrete wholeness has the directional vector force and controlled by the value of the subject. It can be abstracted variously as the strata of spatial order, temporal order, meaningful order, emotional order.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