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좁혀본 항목 보기순서

        • 원문유무
        • 원문제공처
        • 등재정보
        • 학술지명
        • 주제분류
        • 발행연도
        • 작성언어
        • 저자
          펼치기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무료
      • 기관 내 무료
      • 유료
      • KCI등재

        Lactobacillus paracasei AO356의 항비만 활성 및 안전성 평가

        이소영(So-Young Lee),신동욱(Dong-Uk Shin),김승용(Seung Yong Kim),엄지은(Ji-Eun Eom),남영도(Young-Do Nam),신희순(Hee-Soon Shin),김정은(Jeong-Eun Kim),우용호(Yong-Ho Woo) 한국식품영양과학회 2021 한국식품영양과학회지 Vol.50 No.9

        고지방식이로 비만을 유도한 6주령 C57BL/6J 마우스에 AO356을 1×10<SUP>7</SUP> 및 1×10<SUP>8</SUP> 농도로 10주간 투여하여 항비만 활성을 평가하였다. AO356 투여 시 식이 섭취량 변화없이 고지방식이에 의해 유도되는 체중증가 및 지방조직 무게 증가가 억제되었으며, 이상지질혈증 및 인슐린 저항성이 개선되었다. 특히 1×10<SUP>8</SUP> CFU 농도 투여군에서는 catechin 투여군과 유사한 수준의 항비만 활성을 보여 체지방 개선에 도움을 줄 수 있는 건강기능식품으로의 개발 가능성을 확인하였다. 또한 식품 원료 미생물로의 안전성을 확인하기 위해 9종 항생제에 대한 감수성을 평가한 결과, AO356은 L. paracasei 종에 대한 EFSA의 기준을 충족하였으며, 용혈성 평가에서는 γ-hemolysis 반응으로 적혈구 용혈을 일으키지 않았다. 또한 β-glucuronidase, gelatinase, urea 분해능 및 indole 생성능 등의 유효 효소와 유해 물질을 생산하지 않는 것으로 나타나 식품 원료로 사용 가능한 안전한 균주임을 확인할 수 있었다. The prevalence of obesity and associated metabolic disorders is rapidly increasing and becoming a severe health problem. Recent reports have suggested that the consumption of probiotics can be considered to be an effective approach in the treatment and prevention of obesity. In this study, we investigated the anti-obesity effect of Lactobacillus paracasei AO356 (AO356) in an obese mice model and its safety for use in functional foods. The oral administration of AO356 (10<SUP>7</SUP>∼10<SUP>8</SUP> CFU/d for 10 weeks) to mice fed a high-fat diet (HFD) significantly suppressed body weight gain and fat mass. Total plasma triglycerides, totalcholesterol, and LDL-cholesterol levels were significantly lower in mice that were treated with AO356 as compared with mice fed just an HFD. Also, the mice treated with AO356 exhibited a significant reduction of the insulin resistance index (HOMA-IR). To evaluate the safety of AO356, we conducted an antibiotics resistance test, a hemolytic test, and an enzymes (gelatinase, β-glucuronidase) activity test. The minimum inhibitory concentration (MIC) value for the 9 antibiotics specified in the European Food Safety Authority (EFSA) guidance was below the acceptable cut-off value. In the hemolysis test, AO356 showed γ-hemolysis (non-hemolytic response) on a blood agar plate. In addition, AO356 did not produce the enzymes such as gelatinase and β-glucuronidase. Taken together, these results indicate that AO356 could be safely used as a health functional food for the prevention of antiobesity.

      • KCI등재

        양태반의 UVB로 손상을 유도한 각질형성세포와 IBMX로 분화를 유도한 흑색종양세포의 보호 효과

        이다솜(Dasom Lee),이민희(Minhee Lee),박수정(Soo-Jeung Park),윤정문(Jeongmoon Yun),김다경(Dakyung Kim),김지훈(Ji Hoon Kim),이민재(Min Jae Lee),우용호(Young Ho Woo),이정민(Jeongmin Lee) 한국식품영양과학회 2018 한국식품영양과학회지 Vol.47 No.2

        본 연구에서는 피부 건강을 위한 기능성 소재 개발을 위하여 양태반이 피부각질형성세포와 흑색종양세포에 미치는 보호효과를 관찰하였다. 피부각질형성세포에서 자외선 처리에 의한 세포 손상 및 자외선 조사에 의해 증가된 염증성 사이토카인인 TNF-α, IL-1β, IL-6 결과 공통적으로 200 μg/mL에서 자외선 조사군에 비해 유의적으로 보호 효과를 확인하였다. 히알루론산을 합성하는 데 주효소인 hyaluronic acid synthase의 발현량을 확인한 결과 양태반 100, 200μg/mL에서 유의적으로 증가하였다. 또한, 양태반이 멜라닌 합성의 주효소인 tyrosinase 활성 억제를 통해 흑색종양세포에서 멜라닌 생성을 유의적으로 억제하였음을 확인하여 미백 기능성을 기대할 수 있다. 이러한 기능성 입증으로 피부 건강을 위한 원료로 양태반을 기초자료로 사용함으로써 활용 가능성을 기대할 수 있다. In this study, we investigated the protective effects of lamb placenta on UVB-induced keratinocytes and 3-isobutyl-1-methylxanthine (IBMX)-induced melanocytes. HaCaT cells were stimulated by UVB 50 mJ/cm², which induced increases in cell death and pro-inflammatory cytokine production and decreases in hyaluronic acid synthase (HAS) mRNA expression. However, placenta treatment inhibited UVB-induced cell death and pro-inflammatory cytokine production and increased HAS. In IBMX-induced melanocytes, placenta treatment suppressed melanin production. In addition, placenta treatment directly inhibited tyrosinase activation. In conclusion, these results show that lamb placenta has protective effects against UVB-induced keratinocyte damage and IBMX-induced melanocytes. Thus, we suggest that lamb placenta is effective as a cosmeceutical ingredient.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