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무료
      • 기관 내 무료
      • 유료
      • KCI등재

        말라위 초등학교 여학생의 권리인식과 자립역량 실태 분석

        박환보(Hwanbo Park),우승희(Seungheui Woo),김재은(Jaeeun Kim) 국제개발협력학회 2012 국제개발협력연구 Vol.13 No.3

        연구목적: 본 연구는 말라위 초등여학생의 권리인식과 자립역량 수준을 살펴 보고, 이를 토대로 향후 여학생 자립역량 강화사업 개발에 필요한 시사점을 도출하는 데 목적이 있다. 연구의 중요성: 말라위 내에서의 조혼⋅일부다처제 등 전통, 청소년의 높은 HIV/AIDS 발병률, 초등교육에서의 높은 여학생 중도 탈락 비율 등의 문제해결 을 위해 UNDP를 포함한 국제사회는 여아 보호, 교육 접근성 향상, 자립역량 강화 등을 강조하고 있다. 말라위 정부 또한 국가정책에서 젠더, 성인지, 양성평 등문화구축등을주요과제로설정하고있다. 그러나이러한정책적관심에도 불구하고 말라위 초등여학생은 취약한 상태에 있으며, 권리인식과 자립역량에 대한 실태 파악도 부족하다. 이에 본 연구에서는 말라위 초등여학생 자립역량 강화사업 개발의 시사점을 제공하였다. 연구방법론: 국제개발 NGO인 굿네이버스 말라위 사업국의 사업 지역 내 초등 5~7학년 여학생 240명을 대상으로 설문조사를 실시하고 분석하였다. 조사 결 과에 대해 영역별 평균, 표준편차를 산출하고, 연구대상자 개인 특성⋅주요 변인별로 차이 분석을 실시하였다. 연구결과: 분석 결과 말라위 초등여학생의 인권의식은 5점 척도상 3.79였으나, 성인지감수성은 5점 척도상 2.96으로 나타났다. 말라위 초등교육에서 성평등 교육 이 정규 교과임에도 불구하고 여학생의 성인지감수성에 한계가 나타남을 보여 준다. 자립역량의 경우 자아존중감(3.79), 자기결정성(3.33), 긍정적태도(3.80), 역경극복의지(3.52), 탄력성(4.05), 진로의식(4.31), 시민의식(3.99)의 모든 영역 에서 5점 척도상의 3점 이상으로 나타났다. 또한 영역별로 개인 특성 중에서 학년과 학교 성적에 따른 차이가 나타났다. 결론 및 시사점: 분석 결과를 통해 말라위 초등여학생들의 권리인식, 자립역량 수준을 이해할 수 있었다. 특히 자기결정성⋅역경극복의지⋅성인지감수성 향 상 등이 중요한 과제이며, 학년⋅성적을 고려한 자립역량 향상 지원 프로그램 개발이 필요함을 확인하였다. Purpose: This research aims to explore the level of rights awareness and empowerment of Malawi primary school girls, and to derive the implications necessary for the development of projects to strengthen girls’ empowerment in the future. Originality: Malawi has a problem such as early marriage, polygamy, high HIV/AIDS incidence in youth, girls’ high percentage of primary school drop-outs. To solve such problems, the international community including UNDP is emphasizing protecting girls, improving access to education, and strengthening girls’ empowerment. The government of Malawi also sets gender, gender-sensitive education, and making gender equality culture as major national policy tasks. Despite these policy interests, Malawi primary school girls are in a vulnerable status, and an exact state of right awareness and empowerment is lacking. Therefore, this study aims to provide implications for the development of an empowerment strengthening project for Malawi primary school girls. Methodology: This research analyzed 240 primary school girls in the business district of Good Neighbors Malawi, an international development NGO. An analysis of variance was conducted for each characteristic and major factor. For effective analysis, the average and standard deviation of each area were calculated. Result: Gender sensitivity of Malawi primary school girls was 3.79 on 5 -point Likert scale, however, gender sensitivity was 2.96 on a 5-point Likert scale. It shows the limitation of girl’s gender sensitivity although gender equality education is a regular subject in primary education. About empowerment, the 5-point Likert scale in all areas is more than 3 points. Also, differences were found in the individual characteristic areas depending on grade and academic performance. Conclusions and Implication: Rights awareness and empowerment of primary school girls in Malawi are understood. In particular, self-determination, will to overcome adversity, and gender-sensitivity improvement are important tasks, also it is necessary to develop a support program for girls’ empowerment considering grades and academic achievements.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