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무료
      • 기관 내 무료
      • 유료
      • KCI등재

        한국 대학생의 영어 연어능력에 관한 연구: 형용사 유의어를 중심으로

        정연창,우나혜,김은일 현대문법학회 2010 현대문법연구 Vol.62 No.-

        The goal of this paper is to study Korean college students' collocation knowledge of English adjective synonyms. Three pairs of synonymous adjectives big/huge, blank/empty, complete/perfect were selected and tested. The subjects were a total of 50 college students. The results are as follows. First, the average score was as low as 50.67%. Second, there was a somewhat weak positive correlation(r=.475) between college students' general English knowledge and English adjective+noun collocation knowledge. Third, the subjects' scores were not in accordance with the actual use of native English speakers. For example, the score of huge cost was only 28% even though it is a very common expression. Fourth, the subjects' scores were much lower in the case where both adjectives are eligible(higher than 60%) than the case where only one adjective is eligible(lower than 40%). These results suggest that EFL students need to learn English with focus on collocations, not individual words. 본 연구는 토익 평균점수 795.00점인 한국 대학생 50명을 대상으로 영어 유의어 형용사(big/huge, blank/empty, complete/perfect)+명사 연어능력을 조사하는 것이 목적이다. 실험지는 각 유의어 형용사쌍별 10문항씩 총 30문항으로 구성되었으며, 문항은 COCA를 참고하여 작성되었다. 본 연구의 실험 결과는 다음과 같다. 첫째, 유의어 형용사 연어능력 평가에 대한 대학생들의 평균 정답률은 50.67%로서 상당히 낮은 편이었다. 본 연구의 평가 결과가 유의어에 대한 다른 연구 결과(60% 이상)에 비해 상대적으로 다소 낮았는데, 그 이유 중의 하나는 아마도 다른 연구에는 없는 공통결합 문항 때문인 것으로 생각된다. 둘째, 토익점수와 연어능력의 상관관계는 .475로서 다소 낮게 나타나 일반영어능력과 연어능력의 관련성이 낮다는 것을 알 수 있다. 이러한 결과는 한국의 영어교육에서 연어 학습이 제대로 이루어지지 않고 있음 보여준다고 할 수 있다. 셋째, COCA에 의한 유의어 형용사+명사의 빈도순위/빈도수와 피실험자들의 정답률이 전반적으로 일치하지 않았다. 이것은 영어 원어민과 한국 영어 학습자들의 연어 지식에 차이가 있음을 의미하며, 영어 원어민의 실제 언어 사용과 한국 영어 학습자들이 접하는 영어에 상당한 괴리가 있음을 보여준다. 문제는 정답률이 낮은 문항의 연어도 쉬운 기본적인 어휘로 구성되어 있다는 것이다. 즉, 다시 말하면, 어려운 어휘와, 복잡하고 난이도 높은 문법은 잘 알고 있는 한국 학습자들이 아주 기초적인 표현을 잘 모르고 있다는 것이다. 이러한 사실은 한국의 영어교육이 무언인가 근본적으로 잘 못 되어 있다 - 즉, 어려운 것은 아는데, 쉬운 것은 모른다 - 는 생각을 하지 않을 수 없게 한다. 넷째, 형용사 big/huge와 blank/empty는 결합하는 명사에 따라 정답률의 차이가 컸으나, complete/perfect는 명사에 따른 정답률의 차이는 거의 없었다. 다섯째, 피실험자들이 단독결합보다는 공통결합의 문항을 훨씬 어려워했다. 단독결합의 경우는 평균 정답률이 60% 이상이었으나, 공통결합의 정답률은 40% 이하였다. 이것은 한국 영어 학습자들의 연어에 대한 지식이 깊지 못하고 아주 표피적이라는 것을 보여주는 것이라 생각된다. 위의 논의에 근거하여 다음과 같은 제언을 하고자 한다. (i) 영어의 기본 어휘에 대한 연어적 특성을 코퍼스를 통하여 체계적으로 조사하여 정리하고, (ii) 이 조사를 토대로 영어 원어민들의 실제 영어 생활에서 고빈도로 사용되는 활용도 높고 유용한 연어를 선별하여 한국 영어 학습자들을 대상으로 연어 이해에 대한 조사를 실시하고, (iii) 이 조사의 결과를 토대로 어떻게 효과적으로 교육할 것인지 방안을 마련하여야 할 것이다. 어쨌든, 의시소통능력의 향상을 위해서는, 어려운 어휘와 복잡한 문법 학습 이전에 쉬운 기본적인 어휘로 이루어진 고빈도의 유용한 연어를 영어 학습자로 하여금 충분히 숙지하도록 해야 하는 것이 현재의 한국 영어교육에서 심각하게 고려해야 할 시급한 과제가 아닌가 생각된다.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