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무료
      • 기관 내 무료
      • 유료
      • KCI등재

        어머니의 양육태도가 유아 탄력성에 미치는 영향

        용명선(Yong, Myung-Sun),이연승(Lee, Yeon-Seung) 한국열린유아교육학회 2011 열린유아교육연구 Vol.16 No.6

        본 연구의 목적은 어머니의 양육태도가 유아 탄력성에 미치는 영향이 어떠한가를 알아보고자 하는 것이다. 연구대상은 교ㆍ보육기관을 이용하는 4, 5세 유아 313명과 그들의 어머니 313명이며, 연구도구는 유아 탄력성 측정을 위한 질문지(DECA)와 어머니의 양육태도 측정을 위한 질문지(MBRI)를 수정ㆍ보완하여 사용하였다. 자료분석은 SPSS 18.0 통계프로그램을 사용하였고, 어머니 양육태도와 유아 탄력성간의 관련성을 파악하기 위해 Pearson의 적률상관계수를 산출하였으며, 어머니 양육태도가 유아 탄력성에 미치는 영향을 분석하기 위해 입력방식의 중다 회귀분석을 실시하였다. 연구결과, 첫째, 어머니의 양육태도 중 애정적 태도와 유아 탄력성 중 애착 변인이 상대적으로 높게 나타났다. 둘째, 양육태도가 유아의 탄력성의 하위영역에 미치는 영향력을 분석한 결과, 어머니가 애정적 양육태도를 가지고 있으면 유아의 자기통제와 전체 보호요인에 정적인 영향을 주고, 자율적 양육태도를 가지고 있으면 유아의 애착, 주도성, 자기통제 및 전체 보호요인에 정적인 영향을 미치며, 염려되는 행동에는 부적인 영향이 있음을 알 수 있었다. 반대로 어머니가 통제적 양육태도를 가지고 있으면 유아의 애착, 주도성, 자기통제 및 전체 보호요인에 부적인 영향을 미치며, 염려되는 행동에 정적인 영향을 미쳤다. 따라서, 유아의 탄력성에 긍정적인 영향력을 많이 미치는 어머니의 양육태도는 애정적, 자율적인 태도이며, 어머니가 통제적 태도를 가질수록 유아의 탄력성 발달을 저해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identify the influence of mothers rearing-attitude on resilience in young children. The subjects of this study were 313 young children between the ages of four and five, who were attending kindergartens and day-care centers located in B city, and their mothers. The MBRI(Maternal Behavior Research Instrument) was used for testing the rearing-attitude of the mothers. For the resilience in young children, DECA(Devereux Early Childhood Assessment) was used. The data were analyzed by descriptive data analysis, Pearson r and multiple regression analysis using SPSS 18.0. The findings of the study were as follows: First, an affective attitude of the mothers and the attachment of the resilience in young children were relatively highly related. Second, the self-control and overall protective factors of young children were positively influenced when their mothers took an affective attitude. When the mothers took autonomic attitudes, young children were positively influenced in terms of attachment, initiative, self-control and overall protective factors, and negatively in terms of concerned behavior. In contrast, young children were negatively influenced in terms of attachment, initiative, self-control and overall protective factors, and positively in terms of concerned behavior when their mothers took controlling attitudes. The rearing attitudes of mothers that had positive influences on the resilience in the young children were affective and autonomic attitudes, and the resilience development in the young children was more undermined when the mothers took rejecting and controlling attitudes.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