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무료
      • 기관 내 무료
      • 유료
      • KCI등재

        아이들이 책을 좋아하게 만들 디지털 콘텐츠 디자인

        왕린(Lin Wang),이하나(Ha-Na Lee) 한국콘텐츠학회 2016 한국콘텐츠학회논문지 Vol.16 No.11

        최근 현대사회의 다양한 스마트기기들이 보편화됨에 따라 스마트기기를 활용한 유아용 콘텐츠들이 주목을 받고 있다. 이러한 유아용 콘텐츠들은 한꺼번에 다양한 요소들을 접할 수 있다는 점과 편리함 때문에 많은 부모들과 선생님들 사이에서 사용되고 있다. 그러나 스마트기기를 활용한 유아용 콘텐츠들의 과도한 이용은 아이들의 상상력 저하, 언어발달 저하 등에 문제로 우려의 목소리를 받고 있다. 따라서 본 연구는 현 세대의 아이들이 스마트기기를 이용한 콘텐츠를 통해 최종적으로 아날로그 책을 통한 독서를 좋아하도록 디자인하고자 한다. 우선 현재 스마트기기의 유아용 콘텐츠들로 사용되는 멀티미디어들의 특징을 그림책비디오, 애니메이션, 멀티미디어동화, 앱북 4종류로 나누어 알아보았으며 이를 토대로 디지털 콘텐츠의 활용 방안들에 대한 근거를 마련하였다. 이러한 본 연구는 아이들이 책을 좋아하게 만들 디지털 콘텐츠를 디자인 하는데 있어 가이드라인 역할을 수행할 것이다. Recently, with various smart devices being used, more attention is paid to digital content development for kids. Many parents and teachers are using digital contents both at home and the classroom. However, there are many concerns on the delayed language ability development and lack of social skills due to children’s overuse of digital technology. This study reviewed related literature on digital content for kids including storytelling videos, flash, animation, multimedia fairy tales, and app-books. Based on that, digital contents design guidelines were proposed. It was expected that by appropriate digital content design, children would like reading books just as they like watching digital contents.

      • KCI등재

        스마트워치 화면 제약 해결 방안에 대한 연구

        왕린(Lin Wang),손유진(Yu Jin Son),임다은(Da Eun Lim) 한국콘텐츠학회 2015 한국콘텐츠학회논문지 Vol.15 No.9

        오늘날 웨어러블 디바이스가 각광을 받으면서, 스마트 워치는 웨어러블 시장을 이끌어갈 디바이스로 주목받고 있다. 하지만 이러한 스마트워치는 많은 기업의 투자와 소비자의 관심에도 불구하고 스마트폰을 보조하는 도구에 불과하다는 인식을 받고 있다. 따라서 본 연구에서는 스마트워치가 폭발적인 성장세를 보이지 못하는 이유 중 스마트워치의 작은 화면이 주는 불편함에 초점을 맞추어 연구를 진행하고자 한다. 먼저 스마트 워치의 작은 화면을 극복하기 위해 필요한 이론적 배경에 대해 스마트 기기연동, 프로젝터 기술, 플렉서블 디스플레이 3가지로 나누어 사용자의 실효성 측면에서 제시하였다. 그 후 이론적 배경을 토대로 스마트워치가 나아가야 할 방향에 대해서 크게 2가지로 나누어 설명하고 있다. 먼저 ‘디스플레이’에 관해서 경계 없는 디스플레이와 사물 디스플레이를 제시하고 있으며, ‘인터랙션’ 방법에 관하여 인터랙션 방법의 진화, 2가지 인터랙션의 결합 방법, 인터랙션 디자인의 변화를 제시하고 있다. 본 연구가 제시한 방법은 미래에 스마트워치가 웨어러블 시장에서 주요 상품으로 자리 매김하는데 도움이 될 것이다. Nowadays, given the popularity of wearable devices, The smartwatch is considered as the leading product category and taking the main share of wearable device market. So far smartwatch is only used as an accessorial device of smart phones due to its screen size. The objective of this study is to review literatures and find solutions to overcome the screen limitations. In the literature review, several methods are introduced including using other devices as output devices, other object as screens by projecting technologies, and enlarging screen size by flexible display. Based on that, possible solutions including seamless display and user-centered interaction methods were investigated. Future research directions were also introduced at the end of this study.

      • KCI등재

        스마트워치 인터렉션 및 인터페이스 디자인

        임다은(Da-Eun Lim),왕린(Lin Wang) 한국콘텐츠학회 2015 한국콘텐츠학회논문지 Vol.15 No.3

        최근 스마트 폰 시장이 둔화됨에 따라 새롭게 웨어러블(wearable) 디바이스 시장이 주목을 받고 있다. 그 중에서도 가장 주목을 받고 있는 것은 착용하기 자연스러운 스마트 워치이다. 그러나 이러한 스마트 워치는 한편으로는 작은 화면으로 불편함은 없는 지, 손목시계를 착용하는 사람만 착용하는 것은 아닌지에 대한 우려의 목소리를 받고 있다. 따라서 본 연구는 스마트 워치가 미래 웨어러블(wearable)시장에서 보편화되기 위해 필요한 요소들에 대해 알아보고자 한다. 우선 현재 스마트 워치 인터페이스가 가지는 특징은 무엇인지 살펴보기 위해 스마트 워치 인식 방법, 홈 화면 인터페이스 디자인, 주요 콘텐츠 디자인 3분류로 나누어 이를 알아보았으며 이를 토대로 미래에 스마트 워치가 필요한 요소들에 대한 근거를 마련하였다. 여기에는 2가지 제스처 인식 방식의 결합, 홈 화면 인터페이스 디자인을 위한 효용성 연구, 이용자별 특성에 맞는 주요 콘텐츠 디자인 연구가 해당되는데 이러한 결과는 미래의 스마트 워치가 나아가야 할 방향에 대해 중요한 가이드라인 역할을 수행할 것이다. Recently, with the market of smart phones slowing down, more attention is paid to wearable devices. It was suggested that 2013 was the year of the smart watch, due to that the majority of major consumer electronics manufacturers were undertaking work on a smart watch device. However there are still many issues on the interaction and interface design of smart watches. This study reviewed related literatures and evaluated the interaction methods, interface and content design of current smart watches. Based on that, future research directions were proposed. The research results have significant meanings for the guidance of future directions of smart watch.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