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좁혀본 항목 보기순서

        • 원문유무
        • 원문제공처
        • 등재정보
        • 학술지명
        • 주제분류
        • 발행연도
        • 작성언어
        • 저자
          펼치기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무료
      • 기관 내 무료
      • 유료
      • KCI등재

        대체 시험법을 활용한 줄기세포 화장품의 자극성 평가

        오한슬 ( Hanseul Oh ),김시윤 ( C-yoon Kim ),한주희 ( Ju-hee Han ),김진 ( Jin Kim ),이은혜 ( Eunhye Lee ),전혜련 ( Hailian Quan ),석승혁 ( Seung Hyeok Seok ),정초록 ( Cho-rok Jung ),박재학 ( Jae-hak Park ) 한국동물실험대체법학회 2016 동물실험대체법학회지 Vol.10 No.1

        The global cosmetic market in 2014 was estimated to be worth to about 250 billion USD and has continued to grow. In particular, stem-cell based cosmetics, which can be used to repair skin and protect it from aging, have become recently trendy. However, the questionable safety issue of commercial stem-cell cosmetics has become a hot issue. Cosmetics consumers may buy a product without any information about the safety of products whose ingredients may have less than 10 years of commercial history. For the safety verification of cosmetics and ingredients, the classification for eye irritation needs to be conducted essentially. The Bovine Corneal Opacity & Permeability test (BCOP) is recommended as a validated alternative method for eye irritation by the Organization for Economic Co-operation and Development (OECD). Thus, in this study, we evaluated the eye irritation potential of commercial stem-cell based cosmetics by the BCOP assay, Hens Egg Test on the Chorio-Allantoic Membrane (HET-CAM) assay, and Human Umbilical Vein Endothelial cell (HUVEC) test. Our results showed that all 8 test substances were not classified as eye irritants which could cause serious eye damage according to the BCOP assay associated with histopathology and the HET-CAM assay. But four test substances showed to be mild irritants in the HUVEC test. To the best of our knowledge, our results are the first reported data about the classification of the potential eye irritation of stem-cell based cosmetics, and demonstrate that the validated BCOP assay combined with other alternative tests such as the HET-CAM assay and the HUVEC test, may be able to indicate mild to serious eye irritants.

      • SCOPUSKCI등재

        오가피 분말을 첨가한 요구르트의 품질 특성 및 항산화 활성

        오한슬(HanSeul Oh),강성태(SungTae Kang) 한국식품과학회 2015 한국식품과학회지 Vol.47 No.6

        본 연구에서는 오가피 분말의 첨가량을 0.5-2% 첨가한 요구르트를 제조한 후 이에 따른 품질을 평가하였다. 오가피 분말 요구르트의 pH를 측정한 결과, 발효 16시간까지는 오가피 분말의 첨가량이 증가할수록 pH가 낮아졌으나, 발효 20시간 후에는 첨가군의 pH가 대조군보다 높았다. 유산균 수 및 점도는 오가피 분말 2% 첨가군이 대조군보다 유의적으로 낮게 나타났다. 요구르트의 색도의 경우 L값은 오가피 분말 첨가량이 증가할수록 감소하였으나 a값과 b값은 오가피 분말의 첨가량이 증가할수록 증가하였다. DPPH radical 소거능에 대한 항산화활성과 가용성 고형분 함량은 오가피 분말의 첨가량이 많을수록 높아지는 경향을 보였다. 오가피 분말 첨가 요구르트의 관능적 품질평가 결과 0.5% 첨가군의 점수가 가장 높게 나타났다. 발효가 완료된 요구르트를 4℃에서 14일간 저장한 결과, 오가피 분말 0.5% 첨가군의 pH, 적정산도 및 유산균 수는 대조군과 유의적인 차이가 나타나지 않았다. 이러한 결과로 보아 요구르트 제조 시 0.5%의 오가피 분말 첨가는 요구르트의 발효와 품질 특성에 부정적인 영향을 미치지 않으며 건강기능성 및 기호도를 향상시키는 것으로 판단된다. This study was performed to examine the quality characteristics and antioxidant activity of the curd yogurt with different contents (0.5-2%, w/w) of acanthopanax powder (AP). The pH decreased with increasing AP content until 16 h, whereas the treated groups showed higher pH levels than the control group after 20 h. The viscosity and the viable cell counts of the yogurt with 2% AP were lower than those of the control group during fermentation, significantly. Color values of AP yogurt were lower in terms of brightness, whereas redness and yellowness values were higher compared to the control group. The 1,1-diphenyl-2-picrylhydrazyl (DPPH) radical scavenging activity and soluble content significantly increased with increasing AP content. Consumer acceptability score of yogurt with 0.5% AP was ranked higher than other yogurts. Yogurt added with 0.5% AP showed no differences in pH, titrable acidity, and viable cell counts compared to the control group after storage at 4℃ for 14 days.

      • SCOPUSKCI등재

        레몬그라스 분말을 첨가한 스펀지케이크의 품질 특성

        주탁(Tak Ju),오한슬(HanSeul Oh),김민주(MinJu Kim),강성태(SungTae Kang) 한국식품과학회 2016 한국식품과학회지 Vol.48 No.4

        본 연구에서는 레몬그라스 분말 2, 4, 6, 8, 10% 첨가한 스펀지케이크를 제조한 후 반죽 비중, 케이크의 pH, 수분함량, 굽기손실, 비체적과 높이, 부피지수, 색도, 산화방지능, 기계적 텍스처, 관능특성을 조사하였다. 반죽의 비중은 대조군이 0.46으로 가장 낮았고 레몬그라스 분말 8-10% 첨가군은 대조군보다 유의적으로 높게 나타났다. 스펀지케이크의 pH(8.09-7.52)와 수분함량(30.29-24.87%)은 레몬그라스 분말(pH 5.01)의 첨가량이 증가할수록 감소하였고, 굽기 손실(7.46-8.07%)은 증가하였다. 스펀지케이크의 비체적은 레몬그라스 분말의 첨가량이 증가할수록 감소하는 경향을 나타났으며(4.72-4.63 mL/g), 높이(8.00-7.33 cm), 부피지수(10.92-10.13) 그리고 대칭성지수(0.68-0.64)도 낮아졌다. 케이크의 내부 색깔을 보면 L값과 b값은 레몬그라스 분말의 첨가량이 많아질수록 감소하였고, a값은 증가하였다. DPPH radical 소거능에 대한 산화방지활성은 레몬그라스 분말의 첨가량이 많을수록 높아지는 경향을 보였다. 기계적 텍스처는 경도, 응집성, 씹힘성이 레몬그라스 분말의 첨가량이 많아질수록 증가하였고, 탄력성과 회복탄력성은 유의적인 차이를 보이지 않았다. 9점 척도법으로 실시한 관능검사에서 색, 맛, 텍스처에서는 각 시료간의 유의적인 차이를 보이지 않았고, 향은 2%(6.95)와 4%(8.70) 첨가군에서 대조군(5.30)보다 높은 값을 보였으며, 입안에서의 느낌은 대조군과 2-6% 첨가군은 대조군과 유의적인 차이가 나타나지 않았고, 8-10% 첨가군은 대조군보다 유의적으로 낮았다. 전반적인 기호도는 2%(8.02) 첨가군에서 가장 높은 값을 보였다. 이러한 결과로 보아 스펀지케이크 제조 시 2%의 레몬그라스 분말 첨가는 스펀지케이크의 제조와 품질특성에 부정적인 영향을 미치지 않으며 기호도를 향상시키는 것으로 판단된다. This study was performed to examine the quality characteristics of the sponge cakes with different contents (2-10% (w/w)) of lemon grass powder (LGP). An increase in LGP content in the cake led to a significant increase in the specific gravity of batter, baking loss rate, redness, hardness, cohesiveness, chewiness, and 1,1-diphenyl-2-picrylhydrazyl radical scavenging activity of the cakes and a significant decrease in pH, moisture content, specific volume, height, volume and symmetry index, lightness, and yellowness of the cakes. Springness and resilience did not show any difference between the cakes. The consumer acceptance test indicated that the addition of LGP up to 2% did not cause a significant negative effect on the consumer acceptances in all attributes. The sponge cakes with 2% LGP can be recommended for manufacturing bakery.

      • SCOPUSKCI등재

        LC-MS/MS를 이용한 수도권에 유통되는 친환경 농산물의 잔류농약 모니터링 및 안전성 평가

        김종율(Jong-Yul Kim),정유민(Youmin Jung),오한슬(Hanseul Oh),강성태(Sung-Tae Kang) 한국식품과학회 2015 한국식품과학회지 Vol.47 No.3

        LC-MS/MS를 이용하여 동시분석 가능한 85종 농약을 대상으로 2014년 4-9월까지 수도권에서 유통되고 있는 친환경농산물의 잔류농약실태를 조사함으로써 그 안전성을 평가하고자 하였다. 수집된 농산물은 유기농산물 170건, 무농약농산물 271건으로 총 441건이었고, 이를 대분류별로 구분하면 채소류 389건, 과실류 10건, 곡류 14건, 콩류 4건, 버섯류가 24건이었다. 잔류농약 모니터링 결과 채소류와 버섯류에서 유기농산물은 170건 중 2건, 1.2%의 부적합률을, 무농약농산물은 271건 중 6건, 2.2%의 부적합률을 나타내어 총 441건의 시료 중 8건에서 정량한계 이상의 잔류농약이 검출되어 1.8%의 부적합률을 나타내었다. 대분류별로는 채소류에서 389건 중 5건, 1.3%의 부적합률을 나타내었고, 버섯류에서 24건 중 3건, 11.1%의 부적합률을 나타내었으며, 품목별로는 얼갈이배추, 홍고추, 풋고추 각 1건, 상추 2건, 양송이 3건으로 나타났고, 나머지 과실류, 곡류, 콩류 총 28건에서는 잔류농약이 검출되지 않았다. 검출된 농약 성분은 dimethomorph, etofenprox, imidacloprid, clothianidin, thiamethoxam, methomyl, carbendazim 등 7종으로 검출량은 0.018-0.534 ㎎/㎏ 수준이었다. 검출된 농약은 1일 섭취 허용량에 의한 평가 방법을 이용하여 농약의 1일 섭취 수준(%ADI)과 1인 1일 섭취 수준(%ADE)을 확인하여 그 안전성을 평가하였다. 그 결과 %ADI는 0.07728-9.46530%, %ADE는 0.00141-0.17210% 수준으로 확인되어 농약이 검출된 농산물을 섭취하더라도 위해도는 매우 낮음을 알 수 있었다. This survey was carried out in 2014 to estimate the pesticide residue levels in commercial environment-friendly agricultural products in Seoul metropolitan area. Pesticide residues in 27 commodities were examined and analyzed using LC-MS/MS, which can simultaneously detect up to 85 pesticides. A total of 441 samples were collected and analyzed. Among the detected samples, the residue levels in 1.2% of organic agricultural products and 2.2% of pesticide-free agricultural products exceeded the maximum residue limits (MRLs); hence, 1.8% of the total samples exceeded the MRLs. The safety of the detected pesticides was assessed by monitoring the acceptable daily intake level (ADI) and acceptable dietary exposure (ADE) to the pesticides via consumption of the commodities. ADI and ADE are found to be 0.07728-9.46530% and 0.00141-0.17210%, respectively, which means that the residual pesticides in the environmental-friendly agricultural products in Korea are below the safe limit and therefore, pose no potential public health risks.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