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좁혀본 항목 보기순서

        • 원문유무
        • 원문제공처
          펼치기
        • 등재정보
          펼치기
        • 학술지명
          펼치기
        • 주제분류
          펼치기
        • 발행연도
          펼치기
        • 작성언어
        • 저자
          펼치기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무료
      • 기관 내 무료
      • 유료
      • KCI등재

        제국-식민지 체제의 구멍을 응시하는 눈: 차승기의 <비상시의 문/법>에 기대어

        오태영 상허학회 2017 상허학보 Vol.49 No.-

        The purpose of this article is to review the life and literature of empire-colonial regime by leaning on of Bisangsi ŭi Mun/bŏp by Cha, Seung-Ki. He has to deal with empire and colonial as a regime, find a void in its structure in the midst of a structure that sustains it, start from what it can say, dismantle the world constructed by the grammar of that regime, it is necessary to look for new grammar. Thus, they stare at the critical point of the transition period, which is a mixture of modern and post-modern, and explores the state of mixed state of them, in which the empire and the colony are involved but also the difference in the differential structure. In addition, the positivity of the empire-colonial regime formed by the devices of human desire and form as they operate in the process of nationalization is sharpened by the rationalization of control, the internalization of desire, and the absoluteization of visibility. In addition, the positivity of these imperial-colonial regime has been reinforced or disorganized through the politics of literature. Paying attention to the late Japanese colonial period causes concern that it is immersed in gazing at the ruins of modern criticality, empire-colonial regime, thereby fixing historic things as immutable. However, it makes it possible to discover the hybrid language which has been excluded from the history of Korean modern literature and to grasp the cultural and ideological chain between empire and colony. In that respect it is still important to continue searching for the regime, life, and literature of the late Japanese colonial period in the now-here critical point of modernity. And it is necessary to discover the meaning of the literary language which has violated or overturned the positivity of the modern empire-colonial regime and what it means. The Reasoning about a colony is to have an eye on the hole of the empire-colonial regime. 이 글은 차승기의 <비상시의 문/법>에 기대어 식민지 말 제국-식민지 체제의 삶과 문학에 대해 고찰하는 것을 목적으로 하였다. 차승기는 제국과 식민지를 하나의 체제로 다뤄야 하고, 그러한 체제를 지속시키는 구조의 한가운데서 그 구조의 공백을 발견해야 하며, 말할 수 있는 것에서부터 시작해 그러한 체제의 문법이 구축해놓은 세계를 해체하거나 또 다른 문법을 모색할 필요성을 전제한다. 그리하여 근대와 현대가 뒤섞인 전환기의 임계점에 서서 그것들이 뒤섞인 상태를, 제국과 식민지가 함께 연루되어 있으면서도 차별적 구조 속에서 차이를 발생시킨 양상을 면밀하게 탐색한다. 또한, 인간 욕망의 조건이자 형식으로서의 장치들이 황민화 과정에서 작동하면서 구성한 제국-식민지 체제의 실정성을 통제적 합리화, 욕망의 내재화, 가시성의 절대화 등으로 예리하게 포착해낸다. 아울러 이러한 제국-식민지 체제의 실정성이 문학이라는 장치를 통해 강화되거나 해체되는 양상을 보여주었다. ‘식민지 말’에 주목하는 것은 근대의 임계점, 제국-식민지 체제의 폐허를 응시하는 데 몰입하게 하고, 그로 인해 역사적인 것을 불변적인 것으로 고정화시킬 우려를 낳는다. 하지만 그러한 집착은 한국 근대문학사에서 배제되었던 혼종적인 언어를 발견하게 하고, 제국과 식민지 사이의 문화적․사상적 연쇄 고리를 파악할 수 있게 한다. 그런 점에서 지금-여기의 또 다른 근대의 임계점에 서서 식민지 말의 체제, 삶, 문학에 대한 탐색을 지속하는 것은 여전히 중요하다. 그리고 이때 근대의 제국-식민지 체제의 실정성을 위반하거나 전복하고 있었던 문학의 언어를 발굴하고 그것이 갖는 의미에 대해 말할 필요가 있다. 식민지를 사유한다는 것은 제국-식민지 체제의 구멍을 응시하는 눈을 갖는 것이다.

      • KCI등재

        문학의 위상 변화와 문학 연구의 (탈)영토화- 최근 풍속-문화론적 연구의 한 경향에 대한 이의

        오태영 상허학회 2013 상허학보 Vol.37 No.-

        After the 2000s, one of the results that the sense of crisis in respect of ‘the end of modern literature’ was the rise of a new academic perspective calling existing modern idea toward literature into question and demystifying literature. In such stream, ‘custom-cultural studies’ show activity since the early 2000s. Through the consideration on the representative results of studies on Keijo(京城) where both custom-cultural and literary studies targeted as an object of study after 2000s, this study aimed to clarify the ‘difference’ between the two studies as well as find a new possibility of literary studies on space and place of Keijo. There is a difference that custom-cultural studies unify·homogenize the space of Keijo as well as consumes by visualizing it as a modern space, whereas literary studies are paying attention to the aspects of internal difference·segmentalization of the space seizing impossibility of space-forming of Keijo as a colonized city. Thus, a new possibility of literary studies in the studies on Keijo must reveal whether or not the language of literature standardizes·immobilizes spatial cognition and the sense of boundary toward Keijo, and if not, how the language resists against such uniformity·immobilization and emasculates them. While Keijo’s city planning and alteration of space by the colonial power were to unify·immobilize Keijo, fictitious Keijo that contemporary Korean literature is showing enables us to have various and different spatial cognition and the sense of boundary about Keijo by subverting such uniformity·immobilization-typed discussion. Accordingly, in studies on Keijo, the position of literary studies must be found in the spot where subversive imagination toward spatial cognition and the sense of boundary that are formed by the language of literature is caught. 2000년대 이후 ‘근대문학의 종언’에 대한 위기의 감각이 가져온 결과 중 하나는 문학에 대한 기존의 근대주의적 관념을 문제 삼고 문학을 탈신비화하는 새로운 학문적 관점의 대두였다. 이러한 흐름 속에서 2000년대 초반 이래 ‘풍속-문화론적 연구’가 활황을 띠고 있다. 이 글에서는 2000년대 이후 풍속-문화론적 연구와 문학 연구가 주된 연구 대상으로 삼은 경성에 관한 대표적인 연구 성과들을 검토하는 것을 통해 이 두 연구의 ‘차이’를 명확히 하는 동시에 경성의 공간과 장소 연구에 있어서 문학 연구의 새로운 가능성을 모색해보고자 하였다. 풍속-문화론적 연구가 모더니티의 공간으로서 경성을 시각화하여 소비하는 동시에 경성이라는 공간을 획일화·균질화하고 있는 반면, 문학 연구는 식민지도시로서의 경성 장소화의 불가능성을 포착하면서 그곳의 내적 차이화·분절화 양상에 주목하고 있다는 점에 차이가 있다. 따라서 경성에 관한 연구에서 문학 연구의 새로운 가능성은 문학의 언어가 경성에 대한 공간 인식과 경계 감각을 어떻게 획일화·고정화하지 않고 있는지, 아니 그러한 획일화·고정화에 어떻게 저항하고, 그것들을 무력화시키고 있는지 밝혀야 한다. 식민 지배 권력에 의한 경성의 도시계획과 공간 변용이 ‘식민지도시’로서 경성을 획일화·고정화하고자 한 것이라면, 당대 한국문학이 보여주고 있는 허구의 경성은 그러한 획일화·고정화 방식의 권위주의적 담론을 전복해 경성에 관한 다양하고 이질적인 공간 인식과 경계 감각을 갖게 한다. 따라서 경성에 관한 연구에서 문학 연구의 자리는 문학의 언어에 의해 구성되는 공간 인식과 경계 감각의 전복적 상상력을 포착하는 것, 바로 그 지점에서 찾아야 할 것이다.

      • KCI등재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