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무료
      • 기관 내 무료
      • 유료
      • 아시아 지역 거점 바이오브릿지 헬프데스크 구축방안 연구

        오일찬 ( Il-chan Oh ),명수정 ( Soojeong Myeong ),김충기 ( Choong-ki Kim ),백진협 ( Jin-hyub Paik ) 한국환경연구원 2017 수시연구보고서 Vol.2017 No.-

        본 연구는 과학기술협력 증진과 이행 촉진 수단으로 우리나라가 지원하는 바이오브릿지 이니셔티브(BBI)의 아시아 지역 거점 헬프데스크의 운영 및 구축 방안, 운영 방법 등에 대한 조사를 하였다. 2017-2020년 실행계획에 근거한 지역 거점 업무 지원 센터인 헬프데스크의 주요 역할 중에는 과학기술협력의 지역별 수요조사를 파악하기 위한 지역 네트워크 허브의 역할이 있다. 2장에서는 헬프데스크의 배경을 비롯한 운영 방법, 주요 업무 구축 시 기본적인 고려사항 등에 대하여 조사하였다. 3장에서는 동남아시아 국가 중 우리나라와 생물다양성 및 생물자원 분야 과학기술협력 경험이 있는 국가들을 주 대상으로 각 국가별 국가생물다양성전략 및 이행계획(NBSAPs)과 생물다양성 국가보고서(National Report) 등을 참고하여 과학기술협력 우선 분야를 파악하여 수요조사를 하였으며 협력 대상이 되는 각 국가의 생물다양성 관련 연구기관의 현황 등을 조사하였다. 대상 국가는 동남아시아에 속하는 CLMV(캄보디아, 라오스, 미얀마, 베트남) 국가와 인도네시아가 대상이 되었다. 이러한 조사의 목적은 과학기술협력 시 기본적으로 고려해야 하는 사항인 협력기관들의 네트워크 개발과 시범사업의 주제선정을 위해 필요하기 때문이다. 4장에서는 유사 과학기술협력 이니셔티브의 사례를 조사하여 지역 헬프데스크 계획 수립과 구축방안에 적용해 보고자 하였다. 이를 위해 유엔기후변화협약의 기후기술센터 네트워크(CTCN)의 사례를 살펴보았으며 BBI의 헬프데스크와 유사한 기능을 수행하는 국가지정기구 (NDE)의 역할을 주목할 필요가 있었다. NDE는 CTCN의 네트워크 국가들과 자국 내 이해 관계자를 잇는 포컬포인트이자 소통창구의 역할을 하며 개도국에서는 NDE와의 협업의 정도에 따라 효과적으로 기후기술에 접근할 수 있는지를 좌우하며 협력 프로그램 설계 등에도 도움을 받을 수 있다. 따라서 초창기의 BBI의 헬프데스크가 CTCN의 NDE의 운영방법을 사례로 삼아 향후 다양한 역할을 수행하는데 참고할 수 있을 것이다. 생물다양성과 생태계 서비스 네트워크(BES-Net)는 생물다양성과학기구(IPBES)의 역량강화 작업에 기여하는 과학, 정책 및 실무 간의 대화를 촉진하는 네트워크의 역할을 수행하며 삼자 회담이나 그룹 회담 형태의 대면 역량강화 활동, 매치메이킹 시설, 최첨단 웹 포털에 의해 지원되는 형태가 BBI의 운영방식과 유사한 점이 많았다. CBD 사무국은 BES-Net 자문위원회의 구성원이자 IPBES 역량강화 TF 팀과 관련이 있는 조직이므로 BBI와 BES-Net 간의 협력 증진을 통해 경험을 공유할 필요가 있다. BBI와 BES-Net 모두 초창기 개발 단계에 있으므로 기존에 이미 구축된 관계를 고려하여 구체적인 협력 방법을 모색하는 것이 필요하다. BES-Net의 다양한 회의에 각 국가의 CBD 연락기관이나 생물다양성 분야 연구기관이 함께 참여하여 경험이나 사례를 공유하고 시범사업 개발을 한다면 BBI와의 시너지를 얻을 수 있는 협력 방안이 될 수 있다. 5장에서는 헬프데스크의 운영 및 구축 방안에서는 헬프데스크의 운영 방법 및 주요 업무에 대하여 조사하였으며, 구축 시 기본적인 고려사항으로 기존에 제시되었던 것과 더불어 국가별 특성을 고려한 수요 근거의 맞춤형 협력 등을 제시하였다. 구축 모델(안)을 3가지로 제시하였고 장단점을 비교하고 추가로 고려해야 할 사항들과 필요사항을 제시하였다. 1안으로는 CBD사무국 내 BBI 담당 팀을 중심으로 총괄 헬프데스크 전담인력이 지역 헬프데스크를 같이 운영하는 것을 제시하였다. 2안으로는 아시아 지역 생물다양성 과학기술협력 관련 기관, 프로그램을 활용하는 것을 제시하였다. 3안으로는 국내 생물다양성 관련 기관을 통해 운영하는 것을 제시하였다. The Bio-Bridge Initiative (BBI) is established and supported by the Government of the Republic of Korea for promoting the technical and scientific cooperation (TSC) and facilitating the implementation. This study investigates operation method and organization of the regional help desk in Asia. One of the main functions of the help desk is taking on a role of a regional network hub to identify the regional needs for TSC based on the 2017-2020 BBI Action Plan. In Chapter 2, we investigate the background of the help desk, the operation method, and the basic considerations for the main tasks. In Chapter 3, we study the priorities for TSC and research institutes based on the National Biodiversity Strategies and Action Plans (NBSAPs) and the National Report (NR) of Southeast Asian countries. The target countries are the CLMV (Cambodia, Laos, Myanmar and Vietnam) countries and Indonesia. These investigations are necessary to select themes for the pilot projects and network development of the partner organizations in the science and technology cooperation. In Chapter 4, we investigate similar cases of the TSC initiatives, and apply them into the regional help desk planning. To this end, we study the case of the Climate Technology Centre & Network (CTCN), especially the role of the Nationally Designated Entity (NDE). The NDE serves as a national focal point in the CTCN countries. The Biodiversity and Ecosystem Services Network (BES-Net) serves as a network to facilitate dialogue between science, policy and practice that contributes to the IPBES's capacity-building activities. It also facilitates face-to-face meetings in the form of trialogue or group talks, matchmaking facility and web portals are similar to those of BBI. Since the SCBD is a member of the BES-Net Advisory Committee and is also involved with the IPBES Capacity Building TF Team, it is necessary to share experience through the cooperation between BBI and BES-Net. Both BBI and BES-Net are in the early stages of the development, and it is necessary to search for the concrete cooperation methods, considering the relationship already established. If biodiversity research institutes of each country participate in the various meetings of BES-Net by sharing experience from the case studies and develop pilot projects, it can be possible for cooperation method to get synergy with the BBI. In Chapter 5, we suggest possible operation models of the help desk. The suggested models for help desk are presented in the following three ways: 1) operation mainly by the BBI team in the CBD and with the help desk 2) operation by utilizing the global and regional institutions/body/agreement/ program. 3) operation through the national biodiversity institutes.

      • 합성생물 관리방안 마련을 위한 국내외 연구동향

        오일찬 ( Il-chan Oh ),구경아 ( Kyung-ah Koo ),박용하 ( Yong-ha Park ) 한국환경정책평가연구원 2017 한국환경정책평가연구원 기초연구보고서 Vol.2017 No.-

        본 연구는 생명공학의 발전에 따른 신규이슈로 부각되는 합성생물학과 관련된 국내외 연구 동향, 정책 등을 조사하여 합성생물학의 긍정적인 측면과 더불어 잠재적인 위해성에 대한 내용을 파악하는 기초자료의 제공을 위해 수행되었다. 첫째, 합성생물학의 정의 및 개념을 조사하고 고찰하기 위해 유럽연합집행위원회, 영국 왕립학회, 공학·생물학·연구 컨소시엄 및 미국 생명윤리 대통령 위원회의 합성생물학의 정의 및 개념을 살펴보았으며, 생물다양성협약에서 제시하는 합성생물학의 운용적 정의 및 논의 개요 또한 조사하였다. 둘째, 국내외 연구 및 정책 동향을 조사하였다. 국외 연구 동향을 위하여 미국의 공학·생물학·연구 컨소시엄과 우드로우 윌슨 국제학술센터 및 유럽연합의 합성생물학 연구 동향을 파악하였다. 국외 정책 동향을 위해서는 미국 생명윤리 대통령 위원회를 중심으로 생물안전, 생물안보, 윤리적 이슈와 관련된 정책 동향을 조사하였으며 ETC Group과 생물다양성 이슈 관련, OECD와 경제 이슈 관련 정책 동향 및 SynBioWatch의 내용을 파악하였다. 국내 합성생물학 관련 연구 및 정책 동향을 여러 연구자들의 자료를 바탕으로 최근의 동향을 살펴보았다. 셋째, 합성생물학의 긍정적 측면 및 위해관리의 필요성에 대해 고찰하였다. 합성생물학의 긍정적 측면은 유용화학물질, 바이오에너지, 바이오의약품, 환경문제, 식량 생산 등에 적용이 가능한 고부가가치의 유망한 기술이라는 점이며, 생물안전과 관련된 사항으로는 생태계 영향, 유전자 이동, 예측할 수 없는 형질의 출현을 들 수 있다. 생물안보와 관련된 내용의 파악과 이를 통제하기 위한 방안에 대해서도 조사하였다. 합성생물학 연구의 증가에 따라 생물안전과 생물안보와 같은 위해성 관리방안을 체계적으로 마련하여 새로운 기술 적용에 따른 문제점이 발생하지 않도록 하는 것이 필요하다. This study investigates the domestic and international research trends and policies related to the synthetic biology, new and emerging issue in the field of biotechnology. The study also provides data to understand the benefits and potential risks of synthetic biology. First, the study reviews the definition and concept of synthetic biology of the European Commission, UK Royal Society, Engineering Biology Research Consortium, and Presidential Commission for the Study of Bioethical Issues. It also examines the operational definition and discussion of synthetic biology issues in the Convention on Biological Diversity. Second, the study reviews the domestic and international research trends and policies. The Engineering Biology Research Consortium in the United States, the Woodrow Wilson International Center for Scholars and the EU's synthetic biology research trends are reviewed. The Presidential Commission for the Study of Bioethical Issues investigates policy trends related to biosafety, biosecurity, and ethical issues. ETC Group and biodiversity related issues, policy trends related to OECD and economic issues, and SynBioWatch are also reviewed. In addition, the study conducts reviewing on the researches and policy trends related to the synthetic biology in Korea. Third, the benefits of synthetic biology and the need for risk management are discussed. Synthetic biology is promising, high-value technologies which can be applied to biochemical, bioenergy, biomedicine, bioremediation, food production, and so on. The study also reviews biosafety issues include ecosystem-level impacts, gene transfer, and emergence of unpredictable properties. Biosecurity issues in the synthetic biology are also discussed. It is necessary to prepare the risk management system such as biosafety, biosecurity issues on the synthetic biology to prevent potential risks caused by applying new technologies. Third, the benefits of synthetic biology and the need for risk management are discussed. Synthetic biology is promising, high-value technologies which can be applied to biochemical, bioenergy, biomedicine, bioremediation, food production, and so on. We also review biosafety issues include ecosystem-level impacts, gene transfer, and emergence of unpredictable properties. Biosecurity issues in synthetic biology are discussed. It is necessary to prepare risk management system such as biosafety, biosecurity issues on synthetic biology to prevent potential risks caused by applying new technology.

      • 근지표환경 임계영역(Critical Zones)의 환경적 중요성과 환경 관리의 미래 이슈

        현윤정 ( Yunjung Hyun ),오일찬 ( Il-chan Oh ) 한국환경정책평가연구원 2016 한국환경정책평가연구원 기초연구보고서 Vol.2016 No.-

        경제발전을 목표로 활발하게 추진해 온 국토의 개발 및 이용은 오랜 시간에 걸쳐 식생, 토양, 지질, 지하수계 등 지구의 근지표환경(near-surface environment)에 변화를 초래 했다. 국토의 개발이용이 기후변화, 인간의 활동 등과 더불어 농작물 생산, 온실가스 배출, 수질, 생물다양성 등에 상당한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알려지면서 근지표환경의 중요성을 부각시키는 의미로 “크리티컬 존”이라고 명명하게 되었다. 이에 따라 외국에서는 최근 크리티컬 존에 대한 연구가 급속도로 추진 중에 있으며, 이를 위해 크리티컬 존 관측소를 설치하여 글로벌 네크워크를 구성·운영 중에 있다. 그러나, 우리나라에서는 아직 크리티컬 존이란 용어부터 매우 생소한 상황으로 관련 연구 결과가 거의 없는 실정이다. 이에 본 연구는 복잡 난해한 환경문제에 선제적으로 대응하기 위한 예비연구로서 인간과 생명체의 삶의 터전인 지각의 최상부, 즉 근지표환경에서의 환경현상에 대한 융·복합 연구 분야로 부상하고 있는 `크리티컬 존 과학`의 연구 동향을 살펴보고 관련 환경 이슈를 발굴하고자 한다. 본 연구에서는 `크리티컬 존`과 관련된 국내외 선행연구를 조사·고찰하여 크리티컬 존의 환경적 중요성을 살펴보고, 그에 기반한 미래 환경이슈를 발굴하여 다섯 가지로 제시하였다. 첫째는 크리티컬 존의 특성을 반영한 지중환경 매체별 관리정책 추진이다. 예를 들어, 토양의 기능 보호관리 정책, 지하수 수질 및 지하수 의존 생태계 관리, 지권과 생물권 공진화를 반영한 자연환경정책 추진 등이 해당된다. 둘째는 크리티컬 존 연구의 활성화이다. 이는 다양한 프로세스의 융·복합적 연구를 통한 크리티컬 존의 이해를 바탕으로 환경관리를 추진하기 위한 기반을 마련하기 위해서 반드시 필요하다. 셋째는 외국과 마찬가지로 크리티컬 존 관측 프로그램에 대한 국가계획 마련이다. 넷째는 `생태계 서비스`의 확대 개념인 `크리티컬 존 서비스` 개념의 도입이다. 이를 뒷받침하기 위한 가치평가 또한 병행하여 이루어져야 할 것이다. 마지막으로는 물-식량-에너지 넥서스를 `크리티컬 존`의 개념과 `환경적` 입장에서 재정리한 물-생태-에너지-토지 넥서스를 통한 지중환경 관리를 미래 이슈로 제안하였다. Long-term land development and utilization for economic growth caused changes in vegetation, soil, geology, groundwater in near-surface environment or “Critical Zone(CZ)”. The critical zone is the “heterogeneous, near surface environment where complex processes involving rock, soil, water, air, and living organisms regulate the natural habitat and determine the availability of life-sustaining resources” (National Research Council, 2001). Along with climate changes and human activities, it accelerates changes in crop production, green house gas emission, water quality, biodiversity, and so on. For recent years, critical zones studies have rapidly been proceeding in the US, European countires, China, Australia, and some other countries, but they are seldom found in Korea. This is a preliminary study of `Critical Zones`, a recently emerging multidisciplinary research area, which deals with surface and near-surface environment which sustains human and nearly all life. This study reviews recent critical zone studies and identifies emerging issues relevant to critical zones in environmental management as follows. First issue is to improve environmental policy of soil, groundwater, groundwater dependent ecosystems(GDEs), biodiversity, and so on in consideration of critical zone processes. For example, integrative management policy for soil-groundwater, groundwater-vegetation, and soil-biodiversity. Second one is a policy development to activate critical zone research for resolving complex environment problems. Third issue is to establish national initiative for critical zone observatories. Critical zone observatories are essential to understanding critical zones and they need to be established and managed under a national management system for effective critical zone studies and relevant policy developments. Fourth issue is an implementation and valuation of `critical zone service` concept, which is extended from `ecosystem service`. Lastly, it is to develop a novel concept of water-ecology-energy-land(soil)(WEEL) nexus, which reflects critical zone concept in environmental viewpoints. The water-food-energy(WFE) nexus should be extended to the WEEL nexus for effective ground environment managements, which requires understanding complex processes in critical zones.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