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좁혀본 항목 보기순서

        • 원문유무
        • 원문제공처
        • 등재정보
        • 학술지명
        • 주제분류
        • 발행연도
        • 저자
          펼치기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무료
      • 기관 내 무료
      • 유료
      • KCI등재

        임상 ; 임신 제 2 삼분기 당부하 검사 후 Glycosuria 농도별 임신성 당뇨의 빈도 및 임상적 해석

        한보령 ( Bo Ryoung Han ),오윤승 ( Youn Seoung Oh ),안기훈 ( Ki Hoon Ahn ),김희영 ( Hee Young Kim ),홍순철 ( Soon Cheol Hong ),오민정 ( Min Jeong Oh ),김해중 ( Hae Joong Kim ),김영태 ( Young Tae Kim ),이규완 ( Kyu Wan Lee ),김선행 대한주산의학회 2010 大韓周産醫學會雜誌 Vol.21 No.3

        목적: 임신 제 2 삼분기에 나타나는 glycosuria의 임신성 당뇨의 발생 빈도 및 임상적 의미를 분석하고자 하였다. 방법: 본 연구는 후향 연구이며 2002년부터 2007까지 고려대학교 안암 병원을 방문한 산모를 대상으로 하였다. 연구 대상은 24주에서 28주 사이에 50 g 경구 당부하 검사를 시행하였고 양성일 경우 100 g 경구 당부하 검사를 시행하여 임신성 당뇨를 선별한704명의 만기 분만 산모로 제한하였다. 모든 경구 당부하 검사는 50g당부하 1시간 후 혈액과 소변을 동시에 채취하였고 혈액내 당 검사와 소변내 당 검사를 실시하였다. Glycosuria 농도에 따른 혈중 당 농도, 신생아의 출생 체중, 거대아 비율, 임신성 당뇨의 빈도를 분석하였다. 각 glycosuria는 dipstick test (YD diagnostic pharmaceutical company)를 사용하였고, 정도에 따라 trace, 1+,2+,3+,4+로 분류하였으며, 이는 각각 100, 250, 500, 1,000, 2,000 mg/dL에 해당한다. 결과 : 총 704명의 임신부 중 50 g 경구 당부하 검사 후 glycosuria의 빈도는 총258명(36.6%)이었다. Glycosuria농도에 따른 평균 혈중 당 농도는 glycosuria(-)시 117±23 mg/dL, trace시 128±20 mg/dL, 1+시 135±23 mg/dL, 2+시 132±17 mg/dL, 3+시 139±25 mg/dL, 4+시 153±45 mg/dL이었고, 이에 따른 평균 출생 체중은 3.29±0.40 kg, 3.25±0.40 kg, 3.27±0.41 kg, 3.34±0.35 kg, 3.28±0.41 kg, 3.33±0.40 kg 이었으며, 4 kg이상 거대아 출생은 20명(4.5%), 3명(4.8%), 1명(1.8%), 2명(4.2%), 3명(6.7%), 0명(0%)이었으며 glycosuria1+이상시 거대아의 출생의 통계학적 유의성은 없었다. 임신성 당뇨의 빈도는 Glycosuria 1+의 경우 7명/55명(12.7%), 2+의 경우 2명/48명(4.7%), 3+의 경우 7명/45명(15.6%), 4+의 경우 8명/48명(16.7%)을 나타내었다. Glycosuria가 1+이상시 임신성 당뇨의 빈도는 12.2%였으며 민감도는 72.7%였다. 임신성 당뇨 예측에 대한 소변 딥스틱 검사의 ROC curve는 통계적으로 의미있는 소견을 보였다. 결론 : 임신 2삼분기에 관찰되는 Glycosuria는 혈중 당 수치 및 임신성 당뇨병 빈도와 상관관계가 있으나 태아체중과는 상관관계를 보이지 않았다. Objective: To analyze the incidence of gestational diabetes mellitus (GDM) and its clinical implication of glycosuria identified in 2nd trimester pregnancy. Methods: This study included pregnant women who had undertaken the 50 g oral glucose tolerance test (50 g OGTT) between 24 and 28 weeks gestation and delivered at term (N=704). Blood and urine sample were collected and analyzed for glucose level, one hour after 50 g OGTT. We applied women to 100 g OGTT if their blood glucose level after 50 g OGTT were more than 140 mg/dL. We compared blood glucose level, rate of GDM, birth weight and number of macrosomia at different urine glucose levels. Urine glucose level were measured by urine dipstick test and grouped to trace, 1+, 2+, 3+, and 4+, which were corresponding to 100, 250, 500, 1,000, 2,000 mg/dL. Results: Women with glycosuria after 50 g OGTT were 258/704 (36.6%). Mean blood glucose levels were 117±23 mg/dL, 128±20 mg/dL, 135±23 mg/dL, 132±17 mg/dL, 139±25 mg/dL, 153±45 mg/dL, mean birth weight 3.29±0.40 kg, 3.25±0.40 kg, 3.27±0.41 kg, 3.34±0.35 kg, 3.28±0.41 kg, 3.33±0.40 kg, and numbers of macrosomia (≥4.0 kg) 20 (4.5%), 3 (4.8%), 1 (1.8%), 2 (4.2%), 3 (6.7%), 0 (0%) at glycosuria level of negative, trace, 1+, 2+, 3+ and 4+ respectively. Glycosuria level was correlated significantly with blood glucose level (P=0.000), but not with birth weight and macrosomia (P=0.838, 0.881). The rate of GDM was 7/55 (12.7%), 2/48 (4.7%), 7/45 (15.6%), 8/48 (16.7%) in glycosuria level of 1+, 2+, 3+, 4+ and their relationship was statistically significant (P=0.000, AUC=0.734, 95%CI 0.638-0.830). In the cut off value of glycosuria 1+ or greater, sensitivity and positive predictive value were 72.7 and 12.2%. Conclusion: Glycosuria correlates well with blood glucose level and GDM prevalence but not with birth weight.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