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무료
      • 기관 내 무료
      • 유료
      • KCI등재

        외래 · 입원 환산지수에 기초한 2020년도 환산지수 산출 연구

        오동일(Dongil O) 한국산학기술학회 2021 한국산학기술학회논문지 Vol.22 No.4

        본 연구에서는 SGR 모형과 AR 모형으로 부터 개발된 유형별 외래 및 입원 환산지수 분리 모형을 바탕으로 실제 건강보험 진료비 자료를 사용하여 2020년도 환산지수를 추정하였다. 또한 유형별 환산지수 계약 하에서 병원의 단일 환산지수 조정률과 외래 및 입원으로 분리된 복수의 환산지수 조정률을 산출하였다. 마지막으로 환산지수 분리 모형이 의료전달체계를 확립하기 위한 수단의 하나로 효과적으로 사용되기 위한 정책적 방안을 제안하였다. 본 연구의 주요 결론은 다음과 같다. 첫째, r=0.1에서 2020년도 병원의 단일 환산지수 조정률은 2.0%이며 병원의 환산지수를 분리하는 경우 외래 및 입원 환산지수 조정률은 각 각 2.2%, 2.3%로 나타났다. 그리고 조정계수를 활용하여 외래 및 입원환산지수를 결합하는 방안을 제시하였다. 둘째, 의료전달체계 확립을 위한 조치의 하나로 제안된 가산율 조정 방식 대신에 가산율과 환산지수를 연동하여 운영하는 방안을 제안하였다. 셋째, 병원 · 의원 등 유형별로 외래환산지수, 입원환산지수, 조정계수를 도입하는 것에 추가해 진료량에 대한 목표관리를 가능하게 하는 모형 개발이 필요하다. In this study, the conversion factor for 2020 is estimated based on an outpatient and inpatient conversion factor separation model developed from SGR and AR by using actual medical expense data. In addition, a policy plan is proposed to calculate the values of single and multiple conversion factors for each type of medical expense, and to effectively use the conversion factor separation model as one of the means to establish a medical delivery system. The major results are as follows. First, at r=0.1, the rate of adjustment in the hospital single conversion index in 2020 was 2.0%, and the outpatient and hospitalization conversion rates for hospitals were 2.2% and 2.3%, respectively. In addition, a combination of outpatient and inpatient conversion factors can be used for the adjustment. Second, as a measure to establish a medical delivery system, instead of adjusting the addition rate, a method of interlocking the addition rate and the conversion factor is proposed. Third, it is necessary to develop a model that enables target management of volumes, in addition to the outpatient conversion factor, the inpatient conversion factor, and the adjustment coefficient.

      • KCI등재

        캐나다 재외국민 설문조사에 기초한 한국과 캐나다 1차 의료기관 만족도 비교 연구

        오동일(Dongil O) 한국산학기술학회 2020 한국산학기술학회논문지 Vol.21 No.5

        본 연구에서는 캐나다에 거주하는 재외국민을 대상으로 한국과 캐나다에서의 1차 의료기관 이용 경험을 토대로 한국과 캐나다 의료기관 만족도를 비교‧분석하기 위한 목적으로 수행되었다. 설문조사를 기초로 대응표본 T 검정, ANOVA분석, 일반선형분석모형을 이용해 자료를 분석하였다. 본 연구의 주요 분석 결과는 다음과 같다. 첫째, 한국의료에 대한 종합적인 만족도는 캐나다 보다 높았다. 둘째, 한국의료만족도는 성, 연령, 교육수준, 거주 지역에 무관하게 안정적이었다. 셋째, 한국의료에 대한 항목별 만족도가 캐나다의료에 대한 만족도 보다 높았다. 넷째, 특히 치료기술 및 수준, 진료예약 신속성 등에서 만족도가 높았으나 진료비용 측면에서는 만족도가 낮았다. 다섯째, 의사기술 및 실력에 대한 신뢰는 높았으나 충분한 상담 및 설명 측면에서는 유의한 차이가 없었다. 여섯째, 한국의사는 캐나다 의사에 비해 진료수입을 늘리기 위해 진료회수를 늘리는 경향이 있다고 인식하고 있었다. 세부적인 분석결과 우리나라 1차 의료가 캐나다에 비해 충분히 경쟁력을 가지고 있으나 1차 의료 의사의 환자면담 및 설명의무, 수입조절을 위한 유인행위, 진료비용 등은 개선될 필요가 있다는 결론에 도달하였다. This study compares and analyzes satisfaction with Korean and Canadian primary medical care based on a survey of Koreans living in Canada. Based on data collected from Koreans who live in Canada, a paired sample t-test, analysis of variance (ANOVA), and GLM were used. The main conclusions of this study are as follows. First, overall satisfaction with Korean primary care was high. Second, the results of the analysis were stable, regardless of gender, age, education, and residential area. Third, overall satisfaction with Korean medical care was higher than for medical care in Canada. Fourth, satisfaction was high in terms of treatment skill and technology, and promptness in appointments, but was low in terms of medical expense. Fifth, there was a high level of confidence in physician skills and practices, but there was no significant difference in terms of sufficient counseling and explanations. Finally, the survey found that the tendency to increase medical treatment volume in order to increase a physician"s own income was large. As a result of detailed analysis, it was concluded that Korea"s primary care is more competitive than in Canada, but the primary medical doctors" patient interview and explanation obligations, and incentives to control income and medical expenses, need to be improved.

      • KCI등재

        의료행위 원가와 보상 정책에 기초한 상급종합병원 진료량관리 : 의료전달체계 확립을 중심으로

        오동일 ( Dongil O ) 한국회계학회 2016 회계저널 Vol.25 No.4

        비싼 진료비와 높은 본인부담률로 환자부담을 높여 의료수요를 억제하는 정책에도 불구하고 상급종합병원의 외래진료량은 증가하고 있고 이는 중증의 입원환자를 전문적으로 치료해야 하는 상급종합병원의 기능과도 상치되는 것이다. 본 연구는 환자 접근성을 제한하거나 경제적 부담을 통해 의료수요를 억제하는 정책 대신 진찰료, 의료행위 상대가치점수, 종별 가산율, 인센티브 제도와 같은 보상 정책에 변화를 가져와 의료공급자의 행태 변화를 유인할 수 있는 방안을 제시하였다. 즉 보상체계의 개념적 변화를 모색함으로써 외래환자의 상급종합병원 집중 현상을 완화하고 의료자원이 효율적으로 배분되고 입원환자와 연구 중심의 병원 기능을 회복시킬 수 있도록 하였다. 이를 위해 우선 상급종합병원의 외래 진료비가 지속적으로 증가하는 추세에 있다는 점과수요자 억제 정책의 하나인 환자 본인부담률 제도를 살펴보았으며 진료량 변동과 진료비증가의 관계도 고찰하였다. 현행 제도 내에서 적용 가능한 방안을 찾기 위해 상대가치의 기본 개념인 임상적 측면의 의사업무량과 의료행위 진료비용 측면에서 의료원가계산의 중요성을 살펴보았다. 의료행위 상대가치점수는 의료행위원가를 반영해 결정되는데 행위별원가보상율과 행위별 수익성은 확정된 상대가치점수에 크게 의존한다는 점을 알 수 있었다. 상급종합병원의 진료비 수입 증가가 의료행위 유형, 상대가치점수 및 보상체계의 변동에 의존하므로 진료량 관리를 위해서는 이들 요소들에 대한 조정을 필요로 한다. 첫째, 의료행위 원가보상율이 낮은 경우 원가보상율이 높은 의료행위로 의료공급이 늘어날 수 있고 진찰료 수준이 높은 경우 중증 환자에 대한 의료공급보다 경증의 외래 진료량이 늘어 날 수있다는 점에서 상급종합병원 진료량 관리를 위한 방안으로 진찰료 수준의 개편을 제안하였다. 둘째, 종별가산율을 포함한 보상정책의 변화를 제안하였다. 종별가산율은 병원 종별로중증 질환을 치료하는 기관의 시설, 장비 등과 관련된 차별화된 투자비용을 보상해 병원종별간에 동등한 원가보상율을 달성하려는 취지로 도입되었다. 현재 가산율은 그 동안 의료공급형태 및 환자구성의 변화와 더불어 그 근거가 모호하고 의료원가나 의료 질을 반영하고 있지 못하고 있다. 따라서 상급종합병원의 의료공급량 관리를 위해 현행의 단일 가산율을 외래와 입원 가산율, 또는 외래 경증 행위군과 기타 행위군 등 외래의료행위분류 체계에 따른 가산율로 분리 운용할 것을 제안하였다. 또한 상급종합병원이 제공하는 의료서비스 질 향상과 의료 자원의 효율적인 운용을 위해 의료 질 인센티브와 경영효율성 인센티브를 가산율 형태로 도입할 것을 제안하였다. 두 가지 인센티브와 수정 재산정된 가산율을 종합적으로 결합하는 보상체계를 설계함으로써 가치 기반 의료서비스에 근거한 보상이 가능할 수 있다. 본 연구에서 제안한 의료행위 원가에 기초한 보상 체계 개편에 대한 개념적틀이 최근 보건의료제도 변화를 반영하고 상급종합병원의 진료행태 변화와 원가관리를 촉진할 수 있을 것으로 기대해 본다. 마지막으로 의료행위 원가 계산, 상대가치점수 산정, 보상체계 설계 등 분야에서 의사 등 임상전문가와 회계교수 등 회계전문가가 공동으로 노력함으로써 진료량 관리뿐 만 아니라 의료전달체계 확립에도 기여할 수 있을 것이다. Despite of policy for controlling medical demand by charging expensive medical cost and high copayment rate, the not severe outpatient visit for tertiary hospital has been increasing. This is the contradiction of the function of tertiary hospital which has a role to take care of severe inpatients and to do research based on healthcare delivery system. When medical treatment is delivered, the hospital bill is made from RVS and a hospital type remuneration rate. This billing is to give a financial reward on the investment made by hospital to take care of a patient with critical or serious condition. But there are critics that not only the ground of a different remuneration rate are ambiguous but also it fails to reflect the quality of care and actual medical cost incurred. This paper suggested supply side policy that could induce the behavioral adjustment by changing a financial rewards instead of imposing restriction on patient’s accessibility or budget burden. This paper dealt the conceptual framework of incentives so as to mitigate the cohesion of outpatient to tertiary hospital and to reallocate medical resources by regaining the inpatient focused hospital. For this purpose first above all, the data related to the increase of medical revenue of tertiary hospital and family doctor were reviewed. The introduction of the family doctor should only be considered in the long term plan. To find an applicable short term way within current medical setting, physician work based on clinical concept, medical expense for practice, and medical cost accounting are reviewed. To set a reasonable schema, medical cost calculation is very important factor for determining RVU. A RVU of specific medical treatment shows cost coverage ratio and revenue of medical treatment. The revenue of hospital depends on the type of practice, the change of RVU, remuneration and incentives. So the management of outpatient volume needs the adjustment of these factors. It can be thought that if cost coverage ratio is lower than other practice, the frequency of other practice will be increased and if fees for outpatient are higher than fees for inpatient service, the volume for ambulatory care will be increased. To manage outpatient volume of tertiary hospital, five alternatives are considered. Firstly, high copayment rate imposed to outpatient is excluded because there exists a high limitation for low income family to visit hospital. Patient oriented policy should be supplemented by healthcare provider oriented policy. Secondly, if hospital’s medical revenue increases rapidly because of volume effect, an introduction of the floating conversion factor can be considered for restricting the rapid growth of outpatient revenue. Thirdly, the reconsideration of a consultation fee is proposed to correct the possible imbalance of RVU between healthcare type. Fourthly, this paper suggested new remuneration policy for controlling outpatient patient visit for a tertiary hospital. The current single hospital-type based incentive system was introduced to repay a initial investment by hospital and to balance the cost recovery rates between hospital type. But the current single hospital-type incentive system should be divided into the outpatient and inpatient type or the non-severe and severe patient-type based on ambulatory care sensitive conditions. Finally this paper recommended the incentives based on the quality of medical care and the managerial efficiency of resource utilization be introduced. Quality oriented reimbursement to reflect demands of value-based care can be achieved by the new adjusted remuneration rate and two newly introduced incentives. It is expected that the conceptual framework which is based on medical cost proposed in this paper could not only be able to reflect the current healthcare reform but also stimulate the behavioral change and attain efficient medical cost management. The limitation of this paper is expected to be cured in the next research which can be developed based on the concepts proposed in this paper. The role of accountant and academic scholar are much more anticipated than before for the cost analysis and setting cost calculation system to get the proper medical cost for healthcare policy setting. So collaboration of both professional can find the way to normalize the current entangled medical delivery system and to control the increase of non severe outpatient to the tertiary hospital which should focus on taking care of the inpatients and medical research.

      • KCI등재

        소비자 중심 의료 관점의 만족도 조사에 기초한 가정의 도입에 대한 탐색적 연구

        오동일(Dongil O) 한국산학기술학회 2020 한국산학기술학회논문지 Vol.21 No.12

        본 연구에서는 소비자 중심 의료 관점에 기초해 미국 · 캐나다 재외국민들을 대상으로 진행된 의료 만족도 비교조사를 바탕으로 가정의 도입과 관련된 탐색적 연구를 수행하였다. ‘16년 -’18년 사이에 설문조사지 배포 및 회수 방식으로 수집된 493개의 실증자료에 기초한 통계적 분석 결과 본 연구의 주요 결과는 다음과 같다. 첫째, 미국 · 캐나다 가정의에 대한 만족도가 한국의 1차 의료 의사에 비해 높다는 증거를 발견할 수 없었다. 둘째, 치료기술 및 수준, 진료예약 신속성 등에서 한국 1 차 의료 의사 만족도가 높았으며 가정의 제도에 비해 약점으로 언급되는 충분한 상담 및 설명측면에서도 가정의 제도가 더 우수하다는 증거를 발견할 수 없었다. 셋째, 미국 재외국민은 캐나다 재외국민에 비해 가정의 제도에 대한 만족도가 더 낮게 나타났다. 넷째, 미국 · 캐나다 재외국민은 가정의를 거쳐 병원에 가도록 강제하는 제도에 대한 부정적인 평가가 높았고 질병 발생 시 가정의를 통하지 않고 병원을 직접 방문하는 것을 선호하였다. 결론적으로 미국 · 캐나다 가정의 만족도가 한국 1차 의사에 비해 높다는 충분한 증거가 없으므로 서구식 가정의 제도 도입 전 이 제도로 인한 효익과 비용에 대한 보다 심층적인 추가적인 분석이 수행될 필요가 있다. This exploratory study, related to the introduction of Western-style family doctors, was conducted based on a comparative survey of medical care satisfaction in foreign residents of the U.S. and Canada based on a consumer-centered perspective. As a result of statistical analysis based on 493 collections of empirical data from 2016 to 2018, the main conclusions of this study are as follows. First, there was no evidence that satisfaction with US and Canadian family doctors was higher than the satisfaction with Korean primary care physicians. Second, satisfaction with Korean primary care physicians was high with regard to treatment, promptness, etc., and there was no evidence that foreign family doctor systems were better in terms of sufficient counseling and explanation. Third, overseas Koreans in the United States showed less satisfaction with their family doctors than Koreans in Canada. Fourth, overseas Koreans preferred to visit a hospital directly, without a referral from the family doctor. In conclusion, there is insufficient evidence showing that satisfaction with family doctors in the U.S. and Canada is higher than satisfaction with primary care doctors in Korea. Therefore, a more in-depth, additional analysis on the Western-style family doctor is needed before introducing such a system in Korea.

      • KCI등재

        기준연도 조정에 따른 환산지수 민감도 분석 연구

        오동일(Dongil O) 한국산학기술학회 2020 한국산학기술학회논문지 Vol.21 No.4

        본 연구에서는 최근 수가계약 과정에서 논란이 되고 있는 기준연도 변경과 관련된 이슈를 살펴보았다. 이와 관련하여 기준연도 변경이 유형별 환산지수에 미치는 영향과 관련해 민감도분석을 실시하였다. 그리고 기준연도변경이 특정유형에 미치는 유리하거나 불리한 상황을 분석하였다. 또한 단일 환산지수 체계라고 가정하는 경우 기준연도 변경에 따른 환산지수 변동도 고찰하였다. 본 연구의 주요한 결론은 다음과 같다. 첫째, 기준연도를 현재시점에 가깝게 변경하는 경우 병원의 환산지수에는 유리한 효과가 발생한다. 둘째, 기준연도를 현재 시점에 가깝게 변경하는 경우 약국과 의원의 환산지수에는 불리한 효과가 발생하며 의원의 경우 불리한 효과가 크다. 셋째, 유형 전체에 단일 환산지수를 일괄적으로 적용한다고 가정하면 기준연도를 현재 시점에 가깝게 변경하는 경우 모든 유형에 유리한 효과가 발생한다. 기준연도 변동은 보험자와 의료공급자, 의료공급자 사이에 이해충돌을 가지고 올 수 있다. 따라서 자원 배분의 합리적인 근거를 바탕으로 상호 합의에 추진되어야 하며 손실이 초래되는 유형에 대해서는 한시적 보상을 위한 인센티브를 제시할 필요가 있다. In this study, issues related to changes in base year, which have controversial effects on fees in service contracts, were reviewed. In this regard, sensitivity analysis was conducted on the effects of changes in base year on conversion factor by type. The benefits and disadvantages of each specific type of medical institution were examined. Main conclusions are as follows. First, changing the base year to be closer to the present time had a beneficial effect on the conversion factor of hospitals. Second, changing the base year to be closer to the current point of time had an adverse effect on the conversion factor of pharmacies and clinics and had a significant adverse effect on clinics. Third, assuming that a single conversion factor is collectively applied to all types, a favorable effect occurred in all cases when the base year was changed to be closer to the present time. Base year changes can bring about conflicts of interest between insurer and providers, and within providers. Therefore, changing the base year should be pursued upon mutual agreement on a reasonable basis for resource allocation. In addition, it is necessary to provide incentives for temporary compensation for the types of losses incurred.

      • KCI등재

        SGR개선모형(안)에 대한 분석과 유효성 증대를 위한 제안

        오동일(Dongil O) 한국산학기술학회 2023 한국산학기술학회논문지 Vol.24 No.10

        2024년도 환산지수 협상을 위해 건강보험공단은 SGR개선모형(안)과 산출된 환산지수를 기초로 요양기관과 2024년도 수가협상을 진행한 것으로 보도되었다. SGR개선모형은 자료 연도 단축을 비롯하여 인구구조 효과 반영, GDP성장 효과 수정 반영, 조정요소인 β도입, 상대가치점수 차감을 모형 내에 명시적으로 도입하였다. SGR개선모형의 구조분석과 모의 자료에 기초한 분석 결과 다음과 같은 개선이 필요함을 확인하였다. 첫째, 자료연도를 단축함으로써 변동성이 증가할 수 있어 이에 대한 보완이 필요하다. 둘째, 인구구조증가효과를 반영하는 대신 GDP증가율의 80%만을 고려하는 것에 대한 보다 설득력있는 증거가 필요하다. 셋째, β를 이용한 조정요소는 임의적으로 산출된 수치의 변동성이 확대되므로 재검토되어야 한다. 넷째, 진료량 증가로 인한 효과를 제거하기 위한 상대가치점수 증분 차감의 이론적 근거 및 실무적인 반영 방식에 대한 추가적인 논의가 필요하다. 현행 SGR모형의 개선은 현재 수식의 변형보다는 장기적인 관점에서 의료 질과 효율성을 반영할 수 있는 방향으로 개선될 필요가 있다. It has been reported that the National Health Insurance Corporation (NHIC) conducted fee negotiations with healthcare institutions for the year 2024 with the assistance of the improved Sustainable Growth Rate (SGR) model. The improved SGR model incorporates some modifications, including a shortened data period, consideration of demographic effects, modifications to GDP growth effects, the introduction of adjustment factor β, and explicit inclusion of RVU deductions within the model. Upon conducting structural analysis of the improved SGR model and by analyzing simulated data, several areas requiring further enhancement are identified. First, due to the potential increase in volatility resulting from the shortened data year, measures to mitigate volatility are necessary. Secondly, more compelling evidence is needed to support the consideration of only 80% of the GDP growth rate. Third, utilization of β should be reviewed because it could amplify the variability of arbitrarily calculated values. Fourth, additional discussions are required regarding theoretical rationale and practical implementation methods for the deduction of RVU to account for the impact of an increased medical service volume. The refinement of the SGR model should be oriented towards incorporating long-term perspectives on healthcare quality and efficiency, rather than merely altering the current formula.

      • KCI등재

        의료 원가배분에 관한 비교 연구: 단계법과 상호배부법에 따른 차이

        오동일(Dongil O) 한국산학기술학회 2024 한국산학기술학회논문지 Vol.25 No.5

        본 연구에서는 상대가치, 보험수가, 필수의료 적정보상 등과 관련된 의료원가계산의 주요 이슈 중 하나인 원가배분 방법을 살펴보았다. 본 연구에서는 지원부문과 진료부문이 수십 개에 이르는 현실적인 상황을 가정하고 배분된 금액 차이를 검토하였다. 우선, Numpy와 Python을 이용하여 단계법과 상호배부법을 구현할 수 있는 코드를 개발하였다. 그리고 시뮬레이션 방법을 이용해 두 방법에 따른 원가 차이를 비교하였다. 분석 결과는 다음과 같다. 첫째, 지원부문수가 진료부문 수보다도 적은 경우 단계법과 상호배부법의 원가차이율은 2% 이내로 나타났다. 둘째, 지원부문 수가 진료부문보다 많은 경우에는 두 방법간 원가차이율은 6% 이내 수준으로 나타났다. 셋째, 이러한 결과는 시뮬레이션 횟수가 증가하더라도 큰 변동없이 유지되었다. 해당 결과는 원가산정 목적에 따라 중요한 차이로 볼 수도 있고 중요하지 않은 차이로 해석할 수 있다. 따라서 어떤 방법을 선택할 지는 원가산정 목적과 경영진 판단에 의존한다고 볼 수 있다. 시뮬레이션이 수행되었음에도 불구하고 다양한 요소가 영향을 미칠 수 있으므로 본 연구 결과는 다소 변동될 수도 있다. 마지막으로 본 연구의 분석 결과는 부문별원가계산, ABC원가계산시스템을 도입한 모든 의료기관에서 유용하게 사용될 수 있을 것이다. This study examined one of the critical issues in the healthcare cost allocation method related to the relative value, fee for service, and reimbursement of essential medical care. By assuming a realistic scenario with dozens of support and medical departments, an investigation was carried out into the differences in allocated amounts. A code was developed using Numpy and Python to implement the step method and reciprocal method. The costs of the two methods were compared using simulations. The analysis yielded the following results. First, the cost differences between the step and reciprocal methods were within 2% when there were fewer support departments than medical departments. Second, when the number of support departments was greater than that of medical departments, the cost differences between the two methods were within 6%. Third, these results remained relatively stable even with increasing simulation iterations. These findings may be deemed significant or insignificant depending on the purpose of the cost estimation. Therefore, the choice of method depends on the purpose of cost calculation and management judgment. Despite the simulations, various factors may still influence the results, so the findings of this study may vary. Finally, the analytical results of this study can be beneficial for all healthcare institutions that adopt departmental costing or ABC costing systems.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