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무료
      • 기관 내 무료
      • 유료
      • KCI등재

        임신중 혈장 Renin 활성도의 변화

        오긍식(KS Oh),전송원(SW Chun),정성노(SR Chung),조수용(SY hough) 대한산부인과학회 1980 Obstetrics & Gynecology Science Vol.23 No.7

        정상임신 51례와 중독증임신 24례, 초기임신 8례를 대상으로 R.I.A.방법을 사용 P.R.A를 측정하여 정상가임부, 정상임부 및 중독증임부의 분만전과 후, 비임 및 임신초기와 말기의 P.R.A의 변화 그리고 연령별, 초산경산에 따른 동태 및 pitocin과의 관계를 고찰하여 다음과 같은 결론을 얻었다. 1. 비임시에 비해 정상임신초기 및 임신말기의 분만 전과 분만 후 2일에 P.R.A는 비임신시에 비해 임신초기에 유의한 증가를 보였으며 임신말기에는 임신초기에 비해 유의한 감소를 보였고 비임신시에 비해서는 유의한 증가를 유지하였다. 2. 연령별, 초산 및 경산에 따른 분만 전과 후의 P.R.A의 관계는 유의한 상호관계가 없었다. 3. Pitocin투여군과 비투여군에 있어서 P.R.A의 변화는 정상임부 및 중독성임부에 있어서 공히 유의성이 없었다. 4. 정상임부의 분만 전과 후의 P.R.A는 분만 전에 비해 분만 후에 있어서 유의한 감소를 보였다. 5. 정상임부 및 중독증임부의 분만 전 P.R.A는 정상임부에 비해 중독증임부에서 유의한 감소를 보였다. Of the subjects who visited for antenatal care and delivery between December 1. 1978 and March 1. 1979. 51 cases of normal pregnant women, 24 cases of toxemic women and 8 cases of first trimester of normal pregnancy were made the subject of study. Plasma renin activity(P.R.A.) was estimated with the usage of radioimmunoassay method. It showed the following results: Compared to non-pregnancy, P.R.A. showed significant increase during the first trimester of normal pregnancy. However, there was a significant decrease in P.R.A. during the third primester compared to the first trimester but the third trimester maintained significant increase in P.R.A. compared to non-pregnancy. A comparison of P.R.A. in case before and after delivery of normal pregnancy showed that compared to before delivery it decreased significantly after delivery. Lastly, a comparison of before delivery state of normal pregnant women and toxemic women showed a significant decrease in P.R.A. of toxemic women than normal pregnant women.

      • KCI등재

        산부인과 환자의 질내균총에 관한 연구

        문형(H Moon),전송원(SW Chun),강보승(BS Kang),오긍식(KS Oh),김두상(DS Kim) 대한산부인과학회 1981 Obstetrics & Gynecology Science Vol.24 No.4

        1. 질내균총 배양율은 호기성세균배양을 하였던 186예중 비임신군 및 임신군에서 모두 90% 이상이었고 혐기성 세균배양을 하였던 71예중 비임신군 및 임신군에서 각각 85.0%와 82.4% 였으며 각 군에서 1종 배양례가 가장 많았다. 2. 배양균들을 빈도순위로 보면 비임신군에서 호기성세균은 포도구균 41.3%, 대장균속 23.9%, 유산균 19.1% 연쇄구균 14.9% 미확인된 그람양성간균 9.7% 진균류, 디프테로이드균, hemophilus가 각각 6.5% 임균이 2.1%였으며 혐기성세균은 혐기성그람음성간균이 40%, peptococci 35%, peptostreptococci와 혐기성 그람양성간균이 각각 20%였다. 3. 비임신군과 임신군의 차이를 보면 포도구균이 비임신시 41.3%에 비하여 임신시 28.8%로 배양율이 낮았고 유산균은 비임신시 19.1%에 비하여 임신시 34.5%로 높았으며 진균류도 비 임신시 6.5%에 비하여 임신시 16.5%로 높았다. 대장균속과 peptococci에서 임신시에 빈도가 낮아지는 경향을 보였으나 통계적 의의는 없었다. 4. 항생제에 대한 감수성검사에서 각 균주에 대한 감수성있는 항생제는 다음과 같다. a) E.coli는 전예에서 amikacin, gentamycin, streptomycin에 가장 민감하였고 또한 dibekacin, cephaloridine에도 민감하였으나 ampicillin과 chloramphenicol에는 상당한 내성을 보였다. b) 연쇄구균은 cloxacillin에 제일 민감하였고 그외 penicillin과 ampicillin에도 민감하였다. c) Enterobacter는 mimocycline, carbenicillin, gentamycin, amikacin에 민감하였고, chloramphenicol과 kanamycin에는 상당한 내성을 보였다. d) Peptostreptococci와 peptococci에는 모두 penicillin과 chloramphenicol에 민감하였고, 그외 minocycline, cephaloridine, carbenicillin, ampicillin에도 민감하였다. 1. The incidence of positive culture for aerobic organisms were over 90% in both groups. Those of anaerobic organisms were 85.0% and 82.4% in nonpregnant and pregnant group respectively. 2. The organisms cultured in nonpregnant group in order are as follows; staphylococci(41.3%), anaerobic Gram negative rods(40.0%) peptococci(35.0%), coliform bacilli(23.9%), peptostreptococci(20.0%), anaerobic Gram positive rod(20.0%) lactobacilli (19.1%) streptococci(14.9%), unidentified gram positive rods(8.7%) yeast like cells (6.5%) diphtheroids(6.5%) hemophilus (6.5%) and gonococci(2.1%) Those in pregnant group are anaerobic Gram negative rods(41.1%) lactobacilli (34.5%) staphylococci(28.8%) peptococci(19.6%) anaerobic Gram positive rods(19.6%) yeast like cells(16.5%), coliform bacilli (15.1%) streptococci(3.6%), pseudomonas (2.9%) alkaligenes fecalis(1.4%) and citrobacter(0.7%). 3. In the pregnant group the incidence of staphylococci was significantly decreased compared with nonpregnant group and those of lactobacilli and yeast like cells were significantly increased . Increasing tendencies were noted in coliform bacilli and peptococci, however, those were not statistically significantly. 4. The result of sensitivity test were as follows; a) E.coli was sensitive to amikacin, gentamycin and streptomycin in all cases, and most of them were sensitive to dibekacin and cephaloridine. However, it was resistant to ampicillin and chloramphenicol. b) Streptococci were sensitive to cloxacillin and most of them were sensitive to cloxacillin and ampillin. c) Enterobacter was sensitive to minocycline, carbenicillin, gentamycin and amikacin, but resistant to chloramphenicol and kanamycin. d) Peptostreptococci and peptococci were sensitive to penicillin and cloramphenicol and most of them were sensitive to minocycline, cephaloridine, carbenicillin and ampicillin.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