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무료
      • 기관 내 무료
      • 유료
      • 다양한 비이온성 조영제의 부작용 발생양상 비교분석

        김경민(Kyeong-Min Kim),임상묵(Sang-Muk Im),김상균(Sang-Gyun Kim),강화원,오근택(Geun-Taek Oh),이광원(Gwang-Won Lee) 대한CT영상기술학회 2017 대한CT영상기술학회지 Vol.19 No.2

        목적 : 현재 사용하는 비이온성 조영제 성분에 따라 나타나는 부작용 발생확률을 비교하고, 부작용의 강도 및 발생 양상 등을 분석하여 그 특징적인 차이점을 제공하고자 한다. 대상 및 방법 : 연구대상은 2014년 1월 1일부터 2016년 12월 31일까지 단일 기관에서 조영제를 사용하는 CT검사를 시행한 93057명 중 조영제 부작용이 발현되어 약물이상반응 보고서가 작성된 592명을 대상으로 하였다. 비교분석에 사용된 약물은 Iobitridol, Iohexol, Iomeprol, Iopamidol, Iodixanol이며, 5가지의 조영제 성분에 따라 약물이상반응 보고서에 기재된 부작용 발생 위험 인자들의 부작용 발생확률을 비교하고, 나타나는 부작용 발생 강도와 양상을 분석하였다. 결과 : 조영제 부작용 발생률은 Iodixanol이 2.9%로 가장 높았으며(p <0.00), 발생 강도는 Iobitridol에서 중등증 72.7%, 중증 6.1%의 비율로 높게 나타났다(p =0.031). 성별에 따른 부작용 발생률의 유의한 차이는 없었고(p =0.808), 연령별 부작용 발생률은 50-69세에서 Iobitridol을 사용하였을 때 72.7%로 가장 높게 나타났다(p =0.005). 기왕력 유무에 따른 부작용 발생률은 성분별로 유의한 차이를 보이지 않았고(p =0.290), 기저질환이 있는 환자에게서 Iodixanol이 60%, Iohexol이 55.4%의 높은 발생률을 보였다(p =0.003). Iopamidol 32.6%가 호흡기계 부작용 발현양상을 보였고, Iobitridol 48.5%와 Iomeprol 54.2%에서 소화기계 부작용 양상이 보고되었다(p =0.019). 결론 : 조영제의 화학적 특성에 따라 분류되는 각각의 성분들은 확률적으로 부작용 발생의 차이점을 보였다. Iodixanol은 조영제 부작용 발생률이 가장 높았지만 경증의 증상이 대부분으로 그 위험성은 상대적으로 낮았다. Iobitridol과 Iomeprol은 사용량 대비 중등증 이상의 발생비율이 높아 사용에 주의가 필요하며, 이들은 소화기계 부작용 양상이 눈에 띄게 높게 나왔다. 조영제의 분자구조, 삼투압 및 친수성 등의 물리화학적 특성이 부작용 발생에 있어서 특징적인 양상을 보이지는 않았으나, 개별적으로 나타나는 발생률의 차이는 성분에 따라 유의한 영향이 있다는 것을 보여준다. 이는 조영제의 안전성에 영향을 미칠 수 있고, 특히 고위험 환자들에게 있어서는 조영제 선택에 대한 주의가 필요하며, 환자의 안전보장과 최적의 사용을 위해 성분과 조영제 부작용 위험인자와의 충분한 고려와 체계적인 감시가 요구된다. Purpose : This study aimed to compare the prevalence of adverse effects of the composition of non-ionic contrast media currently in use and to describe the characteristics of the adverse reactions to the agents based on the examined intensity and manifestation patterns thereof. Materials and Methods : The study involved 592 participants who were among the 93,057 patients who underwent contrast-enhanced computed tomography at a single institution between January 1, 2014 and December 31, 2016. The participants developed adverse reactions to the contrast media and had had reports of adverse drug effects. The drugs used for the comparative analysis were Iobitridol, Iohexol, Iomeprol, Iopamidol, and Iodixanol. Based on the chemical composition of these five agents, the prevalence rates of adverse effects caused by the adverse effect-inducing risk factors listed in the medical reports were compared. Furthermore, the intensities and patterns of the manifested adverse effects were analyzed. Results : The prevalence of adverse effects caused by the contrast agents was found to be highest when 2.9% Iodixanol was used (p <0.00). Regarding the intensity of the adverse effects of Iobitridol, the prevalence of effects that were moderate and seriousness in intensities were high at 72.7% and 6.1%, respectively (p =0.031). No significant differences were found in the prevalence of gender-specific adverse effect (p =0.808). The prevalence of age-specific adverse reactions of Iobitridol was found to be highest (72.7%) in cohorts aged 50-69 years (p =0.005). In terms of medical history, the prevalence of adverse effects did not show any significant differences in terms of the composition of the contrast media (p =0.029), Iodixanol (60%) and Iohexol (55.4%) had the highest prevalence rates of adverse reactions in the patients who had Pre-existing diseases (p =0.003). Iopamidol (32.6%) was found to cause adverse reactions in the respiratory system, while Iobitridol and Iomeprol caused digestive system-related adverse effects at prevalence rates of 48.5% and 54.2%, respectively (p =0.019). Conclusion : Iodixanol had the highest incidence of adverse reactions, but the mild symptoms were the most common and the risk was relatively low. Iobitridol and Iomeprol have a high incidence of moderate to seriousness, so they should be used with caution, and their digestive system side effects are markedly higher. Individual components, categorized according to the chemical properties of the contrast media, showed differences in the probable incidence of adverse effects induced by them. This may influence the safety of the contrast media. Thorough consideration and systematic monitoring of these components, and the risk factors for the adverse effects of contrast media, is required for ensuring patient safety and optimal usage.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