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좁혀본 항목 보기순서

        • 원문유무
        • 원문제공처
        • 등재정보
        • 학술지명
        • 주제분류
        • 발행연도
        • 저자
          펼치기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무료
      • 기관 내 무료
      • 유료
      • SCOPUSKCI등재

        복막투석 초기 환자에서 복막을 통한 알부민 소실량의 의미

        황영환 ( Young Hwan Hwang ),문주영 ( Ju Young Moon ),나현희 ( Hyun Hee Na ),김기원 ( Ki Won Kim ),김성균 ( Seong Gyun Kim ),오지은 ( Ji Eun Oh ),정우경 ( Woo Kyung Chung ),강현진 ( Hyun Jin Kang ),안규리 ( Cu Rie Ahn ),오국환 ( Ko 대한신장학회 2007 Kidney Research and Clinical Practice Vol.26 No.2

        목적: 복막평형검사에서 고이동군은 심혈관 질환 위험이 높다고 알려져 있다. 만성 염증과 이에 따른 혈관 내피세포의 기능 이상이 이를 설명하는 기전 중의 하나이다. 미세알부민뇨가 내피세포 기능 이상을 반영하고 심혈관 질환의 예측 인자인 것처럼, 복막투석 환자에서 복막을 통한 알부민 소실량 역시 심혈관 질환과 연관되어 있을 것으로 가정하였다. 복막 투석 초기 환자를 대상으로 복막을 통한 알부민 소실량과 기존의 심혈관 질환 및 염증 반응을 반영하는 지표의 연관성을 평가하였다. 방법: 다기관 단면 연구로서, 복막투석을 시작한 총 85명의 환자를 대상으로 변형 복막평형검사 결과와 함께 복막을 통한 알부민 소실량, 혈청 및 복막 투석액의 IL-6 농도, C-반응 단백 (CRP)를 측정하였다. 기존의 심혈관 질환은 협심증, 심근 경색의 병력, 뇌혈관 질환 및 말초 혈관 질환으로 정의하였다. 결과: 환자들의 평균 연령은 50±14세였고, 남녀비는 1.3:1이었다. 당뇨병과 심혈관 질환은 각각 40%와 28%에서 동반되었다. 복막 투석액 대 혈청 알부민 농도비 (D/Palb)는 4시간째 D/PCr과 양의 상관관계를 보였고 (r=0.552, p<0.001), 저평균/저이동군 (LA/L)에 비해 고평균/고이동군 (HA/H)에서 유의하게 높았다 (0.19±0.008 vs. 0.12±0.005, p<0.001). D/Palb과 복막액의 IL-6 간에 유의한 상관관계가 있었으나 (r=0.432, p=0.001), 혈청 IL-6나 CRP는 그렇지 않았다. 당뇨병 또는 심혈관 질환의 유무에 따라서 복막을 통한 알부민 소실량을 비교하였으나 유의한 차이를 관찰할 수 없었다. 결론: 복막투석 초기 환자에서 복막을 통한 알부민 소실량은 저분자량 용질 이동속도와 복강내 IL-6와 상관관계를 나타내었다. 초기 복막투석 환자에서 복막을 통한 알부민 소실량이 향후 심혈관 질환 발생을 예측하는 인자로 작용할 지 밝히기 위해서 전향적 연구를 진행하는 중이다. Purpose: High peritoneal transport status is known to be related with the cardiovascular risk. One of the hypotheses that explain the relationship between peritoneal permeability and atherosclerosis is chronic inflammation and endothelial dysfunction. Microalbuminuria is a well-known marker of endothelial dysfunction and a predictor of cardiovascular disease (CVD). We hypothesized that peritoneal albumin excretion, like microalbuminuria, may be related to the cardiovascular events and chronic inflammation in peritoneal dialysis (PD) patients. Methods: We enrolled eighty-five patients who started PD. Pre-existing CVD was defined as angina, history of MI, cerebrovascular disease, or peripheral arterial disease. Modified peritoneal equilibration test was performed within 2 months. At that time, peritoneal albumin excretion, serum and dialysate IL-6, CRP were measured. Results: The age was 49.5±14 years and male-to-female ratio was 1 to 3. Diabetes mellitus and CVD were present in 40% and 28%, respectively. The dialysate-to-plasma albumin (D/Palb) was correlated with D/P4 Cr (r= 0.552, p<0.001), and was higher in HA/H group than in LA/L group (0.19±0.008 vs. 0.12±0.005, p<0.001). D/Palb was closely correlated with the dialysate IL-6 (r=0.432, p< 0.001), but not with the serum IL-6 and CRP. There were no differences in the peritoneal albumin excretion with respect to the diabetic status or pre-existing CVD. Conclusion: The peritoneal albumin excretion was associated with peritoneal small solute transport and dialysate IL-6 in the new PD patients. Prospective studies will follow in order to verify the role of peritoneal albumin excretion as a predictor of cardiovascular events.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