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무료
      • 기관 내 무료
      • 유료
      • KCI등재

        지연습관 개선을 위한 온라인 코칭 프로그램의 개발 및 효과성 검증

        이애경 ( Aekyoung Lee ),김은정 ( Eun Jeong Kim ),오경화 ( Kyeonghwa Oh ),김선민 ( Seonmin Kim ),박상모 ( Sangmo Park ),탁진국 ( Jinkook Tak ) 전북대학교 사회과학연구소 2021 지역과 세계 Vol.45 No.4

        본 연구는 지연습관 개선을 위한 온라인 코칭 프로그램을 개발하고 효과를 검증하였다. 연구 대상자는 지연습관 개선을 희망하는 수도권 거주 성인으로, 사전 인터뷰를 통해 최종 20명을 선정하여 무작위로 실험집단과 통제집단으로 각 10명씩 배정하였고 최종 분석은 실헙집단 10명, 통제집단 6명을 대상으로 지연행동, 일반적 자기효능감, 자기조절, 삶의 만족을 프로그램 사전, 사후 측정하여 분석하였다. 실험집단은 온라인 개인 코칭 프로그램을 실시하였으며, 통제집단은 사후 측정 시까지 아무런 처치를 가하지 않았다. 사전, 사후의 시점과 집단 간의 실험집단과 통제집단의 사전, 사후검사 시점과 집단 간 주 효과 및 상호작용 효과를 알아보기 위해 2원 혼합변량분석(Mixed ANOVA)을 실시하였다. 분석 결과 통제집단에서는 유의미한 차이가 없었으나 실험 집단에서는 지연행동, 일반적 자기효능감, 자기조절, 삶의 만족에 대한 사전, 사후검사 간 차이 모두 통계적으로 유의미한 것으로 나타났다. 본 연구 결과는 지연행동 감소를 통해 온라인 코칭 프로그램의 효과를 검증하였으며, 이는 코칭 프로그램이 습관으로 굳어진 행동 개선과 변화에 효과가 있음을 보여주고 온라인 코칭 프로그램의 가능성을 시사한다. 이러한 연구결과를 바탕으로 본 연구의 의의, 제한점 등에 관해 논의하였다. This study was to intend to examine the effects of the online coaching program on the improvement of procrastination habit behaviors. The subjects of the study were adults living in the metropolitan area who wish to improve their procrastination habits. The final 20 people were selected through a pre-interview and randomly assigned 10 people to the experimental group and the control group, respectively. As dependent variables, procrastination behavior, general self-efficacy, self-regulation, and life satisfaction were measured before and after the program. A two-way mixed variance analysis (Mixed ANOVA) was conducted to analyze the interaction effects between time periods(pre vs post) and groups(experimental vs control). The results showed that there were no significant differences in the control group, but in the experimental group, the differences between pre- and post-tests for procrastination behavior, general self-efficacy, self-regulation, and life satisfaction were all statistically significant, confirming the effects of the online coaching program. Based on the results, the significance and limitations of this study were discussed.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