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무료
      • 기관 내 무료
      • 유료
      • KCI등재후보

        지체장애 근로자의 직업유지에 영향을 주는 요인

        염희영(Hee-Young Yeum),정보인(Boo-In Jung),정민예(Min-Ye Jung),유은영(Eun-Young Yoo) 한국직업재활학회 2006 職業再活硏究 Vol.16 No.1

        본 연구의 목적은 지체장애 근로자를 대상으로 직업유지에 영향을 주는 요인을 살펴보고, 각 요인들의 상호작용을 규명하는 것이다. 서울, 인천. 경기 지역의 장려금 지급 사업체에 6개월 이상 근무한 경험이 있는 지체장애 근로자 256명을 대상으로 설문조사를 실시하였고, 그 결과는 다음과 같다. 첫째. t-검정과 분산분석을 통해 일반적 특성에 따른 지체장애 근로자의 직업유지기간 차이를 분석한 결과 연령, 학력, 결혼상태, 직종, 임금, 고용상태, 자격증 여부 등에 따라 직업유지기간의 차이가 있었으나 성별과 장애등급, 직장 규모에 따라서는 차이가 없었다. 둘째, 다중회귀분석을 통해 지체장애 근로자의 직업유지에 영향을 주는 요인을 분석한 결과 신체기능 요인과 직무만족도 요인이 영향을 주었고, 가족관련 요인, 직업재활서비스 요인은 영향을 주지 못하였다. 셋째, 경로분석을 통해 직접적 혹은 간접적으로 직업유지기간에 영향을 주는 요인을 분석한 결과 직무만족도 요인이 가장 큰 영향을 주었고, 신체기능 요인, 가족관련 요인, 심리적 요인 순으로 영향을 주었다. 본 연구의 결과 신체기능 요인, 심리적 요인, 가족관련 요인, 직무만족도 요인 등 많은 요인들이 지체장애 근로자의 직업유지에 영향을 주는 것으로 나타났으며 이들 각 요인들은 서로 영향을 주는 것으로 나타났다. 본 연구결과에 의하면 지체장애 근로자의 직업유지기간을 최대화하기 위해서는 현재의 직업재활 서비스 이외에 대상자의 욕구에 부합하는 다양한 직업재활 서비스가 개발되고 제공되어야 할 것으로 사료된다.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identify the factors influencing job maintenance of handicapped workers and to specify the relationships between the factors. The subjects were 256 handicapped workers who had worked in companies that received encouragement benefits in 2003 in Seoul, Incheon and Gyeonggi. The following are the analyzed results of the survey. First. the t-test and ANOVA showed that there were differences in general characteristics such as age. education, marital status, job. salary, employment and certification, there were no differences in sex, handicap level and scope of the work. Second. factors influencing job maintenance period of the handicapped workers were physical functions and job satisfaction. In detail, the upper limb movement capabilities and motor capabilities. self-efficacy. job finding support and family support, and consideration and welfare were the influencing factors. Third, physical function factors, family related factors and job satisfaction factors had a direct influence on the job maintenance period of the handicapped workers and physical function factors. psychological factors and family related factors had an indirect influence on the job maintenance period of the handicapped workers. However. job rehabilitation service factors did not have a direct influence on the job maintenance period both directly or indirectly. From the results of this study. various factors such as physical function factors, psychological factors, family related factors and job satisfaction factors influenced the job maintenance period of the handicapped workers. According to the study results, various job rehabilitation services and programs reflecting the requirements of the targets additional to the existing job rehabilitation services and programs should be developed and provided to maximize the job maintenance period of the handicapped workers. In future studies. the influences of the institutional and policy factors that influence overall job rehabilitation on the job maintenance period should be specified.

      • KCI등재

        보조공학이 시각장애인 근로자의 작업수행 능력과 삶의 질에 미치는 영향

        염희영(Hee-Young Yeum) 한국직업재활학회 2007 職業再活硏究 Vol.17 No.2

        본 연구의 목적은 시각 장애인 근로자를 대상으로 보조공학이 작업수행능력과 삶의 질에 미치는 영향을 파악하는 것이다. 서울, 경기 지역의 사업체에 1개월 이상 근무하고 있는 시각 장애인 근로자 30명을 대상으로 3개월간 Job Accommodation Network(JAN)의 5단계 적용 과정에 따라 보조공학기기를 적용하였고, 적용 전, 후의 작업 수행 능력과 삶의 질의 변화를 Canadian Occupational Performance Measure(COPM)과 Satisfaction with Life Scale (SWLS)를 사용하여 측정하였다. 그 결과는 다음과 같다. 첫째, t-검정을 통해 보조공학 적용 전과 후 시각 장애인 근로자의 작업수행능력을 분석한 결과 통계적으로 유의한 차이가 있었다. 둘째, t-검정을 통해 보조공학 적용 전후 시각장애인 근로자의 삶의 질은 분석한 결과 통계적으로 유의한 차이가 있었으며, 보조공학 적용 후 삶의 질이 높아진 것으로 나타났다. 셋째, 상관 분석을 통해 보조공학 적용 후의 작업 수행능력과 수행능력에 대한 만족도, 삶의 질의 상관관계를 분석한 결과, 보조공학 적용 후의 수행도와 삶의 질과 큰 상관관계가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본 연구결과에 의하면 JAN의 5단계 과정에 의한 보조공학의 적용은 시각 장애인 근로자의 작업 수행능력과 삶의 질을 증진시키는데 긍정적인 영향을 주는 것으로 나타나, 시각 장애인의 고용을 활성화에 보조공학적 지원이 필수적이며, JAN의 5단계 과정은 보조공학을 효과적으로 적용하는데 도움이 됨을 알 수 있었다. 향후 보조공학의 적용을 통해 시각 장애인의 고용과 직업 유지를 증진 시킬 수 있는 다양한 서비스와 성과 측정 방법들이 개발되고 활성화 되어야 할 것으로 사료된다.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identify the impact of assistive technology on occupational performance and quality of life among employee with vision impairments. The subjects were 30 vision impaired workers who had worked in Seoul and Gyeonggi area companies. Canadian Occupational Performance Measure(COPM) and Satisfaction with Life Scale(SWLS) are used for Outcome measurement of assistive technology. The following are the analyzed results of the study. First, the t-test showed that there were differences in occupational performance and quality of life after assistive technology use. Second, moderate correlation was found between the COPM performance score and SWLS score. But, COPM satisfaction score has no association of the SWLS score According to the study results, assistive technology influence on occupational performance and quality of life with vision impairment worker. In future studies, outcome measurement method and assistive technology service should be developed.

      • KCI등재

        안마사의 헬스키퍼 취업경험에 대한 인식과 직업적 편의 적용사례 연구

        이효성 (Lee, Hyo-seong),홍자영 (Hong, Ja-young),염희영 (Yeum, Hee-young) 한국장애인고용촉진공단 고용개발원 2009 장애와 고용 Vol.19 No.1

        본 연구는 시각장애인의 헬스키퍼의 기업체 정규직 진출 초기단계에서 이들의 직업적응 경험을 분석한 탐색적 연구라고 할 수 있다. 최근 수요가 증가하고 있는 시각장애인 헬스키퍼의 취업경험과 취업 후 고용안정을 지원하기 위하여 알아두어야 할 직업적 편의 제공에 관하여 경험적 근거와 정책적 시사점을 제공하기 위해 수행되었다. 본 연구를 통해 시각장애인 당사자가 느끼는 헬스키퍼의 취업경험에 대한 인식과 시각장애인 헬스키퍼의 취업 후 나타난 적응상의 주요 문제점, 직업적 편의 제공전략, 적용결과를 통한 향후 시사점을 도출하였다. 시각장애인 헬스키퍼를 위한 안정적인 직업적 편의제공 시스템의 확보는 시각장애인 헬스키퍼 고용안정을 위한 조건인 동시에 헬스키퍼 고용확대를 통한 시각장애인의 일반고용을 창출하기 위한 필수적인 전제조건이 기도 하다. 따라서 지속적인 후속 연구 및 정책적, 실무적 지원이 지속되어야 할 것이다. This is an exploratory research on the application of job accommodation for health managers with visual disability in companies at the initial stage. The demand for visually disabled health management has been increasing.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provide a guide of job accommodations for health managers, which will secure their jobs. This study examines the job experience of health management services and the problems faced by them after getting hired. In addition, implications on support measures by employers and employees, strategy for providing job accommodations and the results are analyzed. Ensuring job accommodations for health management is a necessary condition for the job security and premise for enhancing employment of people with visual disability. Therefore, further research on political and practical support is required.

      • KCI등재

        장애인고용촉진공단의 보조공학서비스의 수혜를 받지 못하는 장애인의 보조공학기기 이용실태

        정민예,김정란,양노열,박혜연,유인규,염희영 한국장애인재활협회 2009 재활복지 Vol.13 No.2

        본 연구는 점차적인 보조공학 서비스대상 확대의 근거를 마련하여 장애인고용 활성화에 기여할 수 있는 방안을 도출하고, 추가되어야할 보조공학기기의 품목을 조사하기 위해 수행되었다. 현재 한국장애인고용촉진공단의 보조공학서비스 서비스대상은 장애인을 고용하거나 고용하고자 하는 사업주 혹은 장애인에게 직업능력개발 훈련을 실시하는 직업훈련실시기관의 장이다. 하지만, 본 연구에서는 서비스대상이 아닌 구직장애인과 공무원으로 근무하고 있는 장애인 169명을 대상으로 보조공학기기와 보조공학서비스에 대한 인식, 이용실태 및 수요현황, 앞으로 추가되어야할 보조공학기기 품목을 조사하였다. 현재 지급되는 보조공학기기 품목 중 설문대상자들이 필요하다고 응답한 기기는 사무보조 품목 129건, 정보접근 품목 140건, 작업기구 품목 159건, 의사소통 품목 120건으로 많았으나 실제적으로 사용하고 있는 보조공학기기 이용실태는 사무보조 품목 19건, 정보접근 품목 18건, 작업기구 품목 9건, 의사소통 품목 16건으로 그 사용 현황은 매우 저조하였다. 향후 보조공학센터의 이용의사로 대상자 169명중 147명(86.9%)이 보조공학서비스를 받을 의향이 있다고 응답하였다. 추가적으로 지원을 요구하는 보조공학기기 품목은 시각장애영역 10개 품목(음성혈압계, 시기능훈련보조기, 점자노트북 등), 청각장애영역 12개 품목(보청기, 확성기, 인공와우 등), 의사소통장애영역 4개 품목(문자음성변환기기, 문자음성변환 컴퓨터 S/W, 발음교정장치 등), 손사용장애영역 7개 품목(다양한 고정기구, 보조기 및 의수, 물건이동기구 등), 이동장애영역 9개 품목(특수자동차 및 운전보조장치, 보조기 및 지팡이, 전동스쿠터 등), 일상생활영역 10개 품목(목욕보조기구, 옷입기보조도구, 체위변형멀티리프트 등)으로 조사되었다.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make basis for progressive expand of Assistive Technology Service target as well as to investigate items need to be added. For this, we researched awareness, actual use and demand of Assistive Devices and Assistive Technology Service and items need to be added of government employee with disable and disabled job seeker. The result of demand of Assistive Device of 169 government employees with disable and disabled job seekers were 129 items of office assist, 140 items of information access, 159 items of work device and 120 items of communication device, but actual use were 19 items of office assist, 18 items of information access, 9 items of work device and 16 items of communication device, so actual using rate revealed very low. 147 of 169 subjects(86.9%) replied they want to get Assistive Technology Service, hereafter. Additional demand researched 10items of visual(phonetic hemadynamometer, visual training device, brailled laptop, etc..), 12items of hearing(hearing aid, loud hailer, cochlear implant, etc..), 4 items of communication(letter-sound translater, letter-sound translating software for computer, pronounciation correction device, etc..), 7items of hand device(various fixing device, orthosis and prosthesis, transfer device, etc..), 9items of locomotion(special automobile and driving aid, cane, electric scooter, etc..), 10items of ADL(shower aid, dressing aid, multi lift, etc..). They also want to be included Assistive Technology Service target and replied use of those assistive devices will help them to get a job or to improve work efficiency and capacity.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