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좁혀본 항목 보기순서

        • 원문유무
        • 원문제공처
        • 등재정보
        • 학술지명
        • 주제분류
        • 발행연도
          펼치기
        • 작성언어
        • 저자
          펼치기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무료
      • 기관 내 무료
      • 유료
      • 메트릭을 이용한 소프트웨어 프로세스 측정

        염희균,황선명,김혜미,Yeom, Hee-Gyun,Hwang, Sun-Myung,Kim, Hye-Mee 한국정보처리학회 2005 소프트웨어공학논문지 Vol.8 No.3

        소프트웨어 프로세스 심사를 위한 ISO/IEC 15504 모델은 숙련된 전문 심사원을 통하여 소프트웨어 프로세스를 측정한다. 그러나 숙련된 전문 심사원이라 할지라도 프로세스 측정을 위한 계량화된 메트릭을 이용하지 않으면 심사 대상 프로세스의 정량적인 관리가 어렵다. 본 논문에서는 메트릭을 활용하여 소프트웨어 프로세스의 정량적인 측정을 위한 방법으로서, ISO/IEC 15504 프로세스 심사 모델을 기반으로 한 경우 정량적인 수치로 계산되어지는 프로세스 능력 수준 측정을 위한 정량적 체크 리스트와 측정 표를 제시하므로 메트릭의 활용을 보인다.

      • ISO/IEC 15504 기반 소프트웨어 프로세스 메트릭스 설계

        염희균 ( Hee-gyun Yeom ),김혜미 ( Hye-mee Kim ),황선명 ( Sun-myung Hwang ) 한국정보처리학회 2005 한국정보처리학회 학술대회논문집 Vol.12 No.1

        대표적인 소프트웨어 프로세스 심사모델로서 ISO/IEC 15504와 CMMI는 숙련된 전문 심사원을 통하여 소프트웨어 프로세스의 능력수준을 결정한다. 그러나 이들 모델들은 프로세스 측정을 위한 체계적인 메트릭스를 제공하지 않으므로 심사원은 심사대상 프로세스의 정량적인 수준 측정을 위하여 주관적인 판단을 통해 프로세스를 평가해 오고 있다. 본 논문에서는 프로세스의 정량적이고 객관적인 측정을 위하여 기초 메트릭스를 정의하고 ISO/IEC 15504 에서 정의한 프로세스 그룹별 측정 표준 메트릭스를 제안한다. 또한 표준 메트릭스를 조직에 적용하기 위한 프로세스 성숙도 평가 메트릭스를 제시하여 향후 조직의 상태를 체크할수 있는 유용한 가이드라인을 제시한다.

      • SW 프로세스 분야 표준커리큘럼에 관한 연구

        염희균 ( Hee-gyun Yeom ),황선명 ( Sun-myung Hwang ) 한국정보처리학회 2012 한국정보처리학회 학술대회논문집 Vol.19 No.1

        SW 개발 프로젝트 시, SW 품질 및 생산성 향상에 저해 되는 SW공학 가이드 부재가 존재한다. 그중에서 SW공학 발전과 전문 SW공학 인력 양성의 필요성 인식이 존재하고 있다. SW공학 인력의 역량과 전문성을 강화시킬 수 있는 지속적 성장 체계 확립과 인력 활용 가이드 제시를 위하여 본 논문에서는 SW공학 표준 커리큘럼 개발을 소개한다. 프로젝트 수행 시 SW공학 표준 커리큘럼은 SW공학 전문 인력 확보를 위한 기준을 제시 하여, 조직 SW 공학 역량 강화를 할 수 있다. 본 논문에서는 SW 프로세스 분야 표준 교육과정을 소개하고자 한다.

      • 컴포넌트 기반의 PMS 설계 및 구현

        염희균 ( Hee-gyun Yeom ),박상필 ( Sang-pil Pakr ),황선명 ( Sun-myung Hwang ) 한국정보처리학회 2005 한국정보처리학회 학술대회논문집 Vol.12 No.2

        기존의 시스템보다 유지, 보수 및 재사용성이 높은 분산시스템인 컴포넌트를 이용하여 프로젝트의 계획과 흐름 등을 관리하는 Project Management System을 구현하였다. PMS는 인트라넷으로 서로 연결된 네트워크를 통해 프로젝트의 인원관리 및 일정관리등 프로젝트에 관한 종합적인 관리를 실시간으로 할 수 있는 시스템이다. 이 시스템은 기존의 다른 시스템과 는 달리 비즈니스로직과 UI로직이 분리되어있어서 재사용과 시스템아키텍처의 유연성을 높였다. 자기가 원하는 기능이 있는 컴포넌트들을 조립하여 사용하거나, 새로운 기능의 가진 컴포넌트를 추가하여, 기관에 맞는 새로운 시스템을 구축 할 수가 있다.

      • 소프트웨어 프로세스 측정을 위한 CMMI 프로세스 메트릭스 설계

        염희균 ( Hee-gyun Yeom ),김상영 ( Sang-young Kim ),김진삼 ( Jin-sam Kim ),황선명 ( Sun-myung Hwang ) 한국정보처리학회 2004 한국정보처리학회 학술대회논문집 Vol.11 No.2

        대표적인 소프트웨어 프로세스 심사모델로서 ISO/IEC 15504(일명 SPICE)와 CMMI는 숙련된 전문 심사원을 통하여 소프트웨어 프로세스의 능력수준을 결정한다. 그러나 이들 모델들은 프로세스 측정을 위한 체계적인 메트릭스를 제공하지 않으므로 심사원은 심사대상 프로세스의 정량적인 수준 측정을 위하여 주관적인 판단을 통해 프로세스를 평가해 오고 있다. 본 논문에서는 프로세스의 정량적이고 객관적인 측정을 위하여 기초 품질 메트릭스를 정의하고 CMMI에서 정의한 프로세스 분야에 대한 표준 메트릭스를 제안한다. 또한 표준 메트릭스를 조직에 적용하기 위한 프로세스 측정 절차와 가이드라인을 제시한다.

      • 효과적인 프로세스 관리를 위한 PCM(Process Capability Metric) 지원 도구 설계

        염희균 ( Hee-gyun Yeom ),정일재 ( Il-jae Jung ),채현철 ( Hynn-choul Chae ),황선명 ( Sun-myung Hwang ) 한국정보처리학회 2007 한국정보처리학회 학술대회논문집 Vol.14 No.1

        효과적인 소프트웨어 프로세스 개선을 위해 SPICE와 CMMI 프로세스 심사 표준을 도입하려는 노력을 하고 있다. 이러한 표준을 통해 효과적인 개선하기 위해서는 개선점과 위험을 식별하고 이들 이슈들을 개발환경에 적용시켜서 조직의 비전에 대응한 작업성능을 높여야한다. 지속적인 개선을 필요로 하는 조직은 현재의 작업성능을 측정하고 이를 개선하기 위한 개선점을 찾아내는 능력과 경험을 축적하여 체계적으로 관리하는 것이 중요하다. 하지만 기존의 SPI 모델들은 무엇을 수행해야 하는지에 대한 지침은 제공하고 있지만, 정량적인 작업성능 측정 및 특정 환경의 소프트웨어 개발 조직의 SPI를 위해 필요한 구체적인 지침을 제시하고 있지는 않다. 따라서, 본 논문에서는 정량적인 SPI룰 위해 프로세스 측정 메트릭 정의와 심사 경험이 분석되어 활용될 수 있는 PCM(Process Capability Metric) Experience Factory 모델을 제안한다.

      • KCI등재

        빅데이터 기반 비대면 본인확인 기술에 대한 연구

        정관수,염희균,최대선,Jung, Kwansoo,Yeom, Hee Gyun,Choi, Daeseon 한국정보처리학회 2017 정보처리학회논문지. 컴퓨터 및 통신시스템 Vol.6 No.10

        최근 온라인 금융서비스의 성장과 금융 기술의 급격한 발전으로 인하여 온라인에서 사용자를 등록 및 인증하기 위한 비대면 본인확인기술에 대한 다양한 접근 방법의 필요성이 제기되고 있다. 일반적으로 비대면 방식은 대면방식에 비해서 많은 위협에 노출되어 있다. 따라서 최근에는 이런 위험성을 보완하고 보다 신뢰할 수 있는 비대면 본인확인 방법을 위해서 다양한 요소와 채널을 이용하여 사용자를 검증할 수 있는 정책과 기술이 연구되고 있다. 이러한 새로운 접근방법 중 하나는 다수의 사용자 개인정보를 수집하고 검증하는 기술이다. 따라서 본 논문은 사용자의 다양하고 많은 정보를 기반으로 온라인에서 본인확인을 수행하는 빅데이터 기반 비대면 본인확인 방법을 제안한다. 또한 제안방법은 서비스에서 요구하는 본인확인 등급에 필요한 사용자 정보만 수집하고 검증하는 세분화된 본인확인 정보관리 방법을 제안한다. 그리고 본 논문은 검증된 본인확인 정보를 사용자가 재사용할 수 있도록 다른 서비스 제공자들과 공유할 수 있는 본인확인 정보 공유 모델을 제안한다. 마지막으로 제안 방법이 비대면 본인확인 과정에서 강화된 사용자 검증을 통해서 서비스에서 요구하는 본인확인 등급만 검증하고 관리하는 시스템을 구현하여 실험 결과를 분석한다. The need for various approaches to non-face-to-face identification technology for registering and authenticating users online is being required because of the growth of online financial services and the rapid development of financial technology. In general, non-face-to-face approaches can be exposed to a greater number of threats than face-to-face approaches. Therefore, identification policies and technologies to verify users by using various factors and channels are being studied in order to complement the risks and to be more reliable non-face-to-face identification methods. One of these new approaches is to collect and verify a large number of personal information of user. Therefore, we propose a big-data based non-face-to-face Identity Proofing method that verifies identity on online based on various and large amount of information of user. The proposed method also provides an identification information management scheme that collects and verifies only the user information required for the identity verification level required by the service. In addition, we propose an identity information sharing model that can provide the information to other service providers so that user can reuse verified identity information. Finally, we prove by implementing a system that verifies and manages only the identity assurance level required by the service through the enhanced user verification in the non-face-to-face identity proofing process.

      • KCI등재

        소프트웨어 프로세스 측정을 위한 척도 설계 및 활용

        황선명,염희균,Hwang Sun-Myung,Yeom Hee-Gyun 한국정보처리학회 2005 정보처리학회논문지D Vol.12 No.7

        최근의 소프트웨어 시장에는 조직의 사업 목적 달성을 위한 성숙모델, 표준, 방법론 및 지침들이 개발되고 있다. ISO/IEC 15504와 CMMI등 모든 SPI 모델들은 숙련된 전문 심사원을 통하여 소프트웨어 프로세스의 능력수준을 결정한다. 그러나 숙련된 전문심사원이라 할지라도 프로세스 측정을 위한 체계적인 척도를 제공하지 않으므로 심사원은 심사대상 프로세스의 정량적인 수준 측정을 위하여 객관적이며 일치된 판단을 통해 프로세스를 평가할 수 없다. 본 논문에서는 ISO/IEC 15504와 CMMI의 핵심 프로세스들에 대하여 정량적이고 객관적인 측정을 위하여 척도를 설계하였고, 실험을 통하여 척도의 타당성을 분석방법을 이용하여 증명하였다. 이를 통해 객관적인 측정 절차와 척도의 사용을 통하여 효과적 SPI 활동을 기대할 수 있다. In the current marketplace, there are maturity models, standards, methodologies and guidelines that can help an organization improve the way it does business. All SPI models including ISO/IEC I5504 and CMMI provide the capability level of software process. However, most available improvement models focus on a specific goals and Practices of the processes So my assessors need an objective process measure how to estimate achievement of goals and practices. We proposed quantitative process capability metric (PCM) which can determine the degree of capability And the effective measuring approach help SPI assessor as well as organization unit.

      • 웹 하드의 개인프라이버시 강화를 위한 환경구축

        황선명 ( Sun-myung Hwang ),염희균 ( Hee-gyun Yeom ),김시창 ( Si-chang Kim ) 한국정보처리학회 2011 한국정보처리학회 학술대회논문집 Vol.18 No.2

        기존 시중의 웹 하드는 개인이 웹 하드 업체로부터 가상 서버를 위탁 받는다. 그 와중에서 사용자는 자신의 프라이버시를 웹 하드업체에 위탁하여 프라이버시의 신용도가 떨어진다. 그것을 개선하기 위하여 개인 프라이버시 강화를 위한 자체 서버 WEB과 WAS서버 구축과 자체 보안을 위한 SEED 관용키 사용, 마우스 클릭을 활용한 키보드 보안으로 구축된 자체 서버를 사용함으로서 개인프라이버시와 내부보안의 강화, 그리고 시중의 웹 하드와의 속도차이가 없음을 보여주는 것이 본 논문의 목표이다.

      • 동작과 음성을 인식하는 인터페이스 기반 PC 런처 구현

        황선명 ( Sun-myung Hwang ),염희균 ( Hee-gyun Yeom ),김범식 ( Beom-sik Kim ),박성주 ( Seong-joo Park ),임흥택 ( Heung-taek Lim ),강진원 ( Jin-won Kang ),김정섭 ( Jeoung-seop Kim ) 한국정보처리학회 2013 한국정보처리학회 학술대회논문집 Vol.20 No.2

        오늘날 CUI, GUI 외 NUI[1]를 이용한 컴퓨팅 환경이 각광받고 NUI를 이용한 소프트웨어와 디바이스가 봇물처럼 쏟아져 나오고 있다. 이와 발맞춰 이전에 연구한 ‘키넥트를 이용한 동작과 음성을 인식하기 위한 컴퓨터 인터페이스 구현’ 내용의 현실화가 필요하게 되었다. 이전 연구에서는 기술을 습득하고 개량을 목적으로 했다면 본 연구는 UX[2]를 고려하여 사용자에게 친근하고 쉬운 사용에 대해 연구한다.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