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무료
      • 기관 내 무료
      • 유료
      • 남종선(南宗禪)의 감정 수용 과정과 타당성 검토

        염중섭(자현)(Jung-Seop Youm) (사)인문학과 명상연구소 2023 명상상담과 인문교육 Vol.1 No.1

        인도불교는 인간이 감정에 휩쓸리는 것을 경계하고 감정의 절제 및 평정을 주장한다. 그런데 같은 불교임에도 불구하고 중국불교의 南宗禪은 감정의 긍정을 진정한 깨달음으로 제시하고 있다. 이는 단일한 종교 전통 안에서 변모할 수 있는 범위를 넘어서는 결과이다. 본고는 남종선의 감정긍정이 중국문화 전통의 강남문화에 기반하고 있다는 흐름을 밝힌 것이다. 중국의 강남문화는 道家와『楚辭』를 바탕으로 해서, 漢族이 본격적으로 남하하는 東晉時代를 계기로 淸談으로 발전한다. 강남문화는 개인적인 주관성이 강한 정감주의의 면모를 보인다. 이와 같은 흐름을 계승·발전해서 완성시키는 것이 唐나라 혜능에 의한 남종선이다. 중국문화는 인도가 二元論에 기반하는 것과 달리 一元論을 배경으로 한다. 이로 인해 중국은 本性의 완전성과 唯心主義적인 관점이 강력하다. 남종선 역시 이와 같은 사상 배경을 기반으로 강남문화의 전통을 계승하는 것이다. 남종선은 佛性에 대한 자각으로써 頓悟를 강조하는데, 이러한 돈오의 근거는 불성의 완전성이다. 완전한 불성을 모든 인간이 본래부터 갖추고 있다는 것은 인간의 감정 역시 문제가 없다는 것을 의미한다. 즉 감정의 긍정이다. 남종선의 감정긍정은 인도불교와는 다른 중국 전통에 입각한 불교 이해의 결과이다. 그리고 이는 인간의 주관성에 입각한 미학적 판단으로까지 연결된다는 점에서 주목된다. Indian Buddhism warns human beings not to be involved in emotions and urges to control the emotions, keeping temperance and composure. However, despite being the same Buddhism, Southern Zen Buddhism (南宗禪) of China presents the recognition of emotions as real enlightenment. This is a result beyond what can be transformed within a single religious tradition. This paper shows that the flow that emotional affirmation of Southern Zen Buddhism was based on the Gangnam tradition of Chinese culture. The Chinese Gangnam culture was originated from Taoism and『Chosa(楚辭)』, and it developed into Cheongdam(淸談) since the period of the East Jin(東晉) Dynasty when Chinese Han tribe(漢族) began to move southward in earnest. The Gangnam culture had the aspects of emotionalism with strong personal subjectivity. This trend was succeeded and developed by Hyeneung of Tang Dynasty, who founded Southern Zen Buddhism. Chinese culture was based on Monism(一元論), while India based on Dualism (二元論). For this reason, China had a strong view of spiritualism and completeness of human nature. Southern Zen Buddhism also inherited the tradition of Gangnam culture based on this ideological background. Southern Zen Buddhism emphasized Dono(頓悟: sudden enlightenment) as an awareness of Buddhist nature(佛性), the base of which is the completeness of Buddhist nature. The fact that all human beings have the complete Buddhist nature inherently means that human emotions are also without problems. In other words, it is the affirmation of emotions. The emotional affirmation of Southern Zen Buddhism is the result of Buddhist understanding based on Chinese traditions different from Indian Buddhism. And it is noteworthy in that it leads to aesthetic judgment based on human subjectivity.

      • KCI등재

        『정암사사적(淨巖寺事蹟)』에 등장하는 정암사 창건기록 검토 Ⅱ

        염중섭(자현)(Youm, Jung-Seop(Ven. Ja-Hyun)) 동국대학교 불교문화연구원 2018 佛敎學報 Vol.0 No.83

        정암사는 통도사 및 오대산 중대와 더불어 불사리를 모신 대표적인 사찰이다. 그럼에도 정암사와 관련된 1차 기록이라고 할 수 있는 일연(一然)과 민지(閔漬)의 자장관련 내용 속에는 이와 관련된 부분은 전혀 존재하지 않는다. 이런 점에서 조선후기인 1778년의 기록이기는 하지만 성우(性愚)가 편찬한 『정암사사적』은 정암사의 특징과 문제의식을 알 수 있는 중요한 자료가 된다. 본고는 『정암사사적』에서만 확인되는 ‘서해용왕설’과 ‘수마노탑’에 대한 부분을 검토하고, 이와 같은 주장이 수록되는 이유에 관해 밝혀본 것이다. 먼저 서해용왕설과 관련해서는, 이것이 중국오대산의 태화지(太和池) 용(龍)을 개변한 정암사적인 특수성이라는 점을 분명히 하였다. 또 정암사 측에서 이와 같은 개변을 시도하는 이유가, 신앙의 중심이 되는 수마노탑의 신성함을 서해용왕과 관련해서 확보하려는 의도 때문이라는 것을 변증했다. 즉 수마노탑의 위상강화 과정에서, 태화지 용이 서해용왕으로 개변되는 상황이 발생하는 것이다. 다음으로 수마노탑과 관련해서는, 수마노탑이 위치하는 장소가 자장이 문수보살을 친견하기 위해서 태백산에서 찾은 갈반지임을 명확히 했다. 또 이와 함께 정암사가 위치하고 있는 곳은 갈반지의 아래쪽이라는 것을, 정암사의 옛 이름인 ‘석남원(石南院)’과 ‘[하]살나([下]薩那)’라는 명칭을 통해서 판단해 보았다. 이를 통해서 갈반지와 수마노탑, 그리고 정암사의 위치와 관계가 보다 명료해지게 된다. 이상과 같은 연구접근을 통해, 자료가 부족한 정암사에 대한 보다 분명한 입각점을 확보할 수 있다는 점에서 본고는 충분한 연구의의를 확보한다고 판단된다. Along with Tongdosa and Odaesan(Mt. Odae) Jungdae, Jungamsa is one of the representative temples enshrining Buddha’s ashes. However, Il-yeon and Min Ji’s descriptions of Jajang, commonly referred to as the primary records of Jungamsa, do not mention anything about this fact. In this light, the Jungamsa Records written by Seongwoo in 1778 serve as an important historical source of the characteristics and issuesof the temple. This study reviewed the “Story of the Dragon King of the West Sea” and the parts on “Sumano-Stupa” that appear only in the 『Jungamsa Records』. The study discussed the rationale behind the records of these claims. With the Story of the Dragon King of the West Sea, this study clarified that a particularity of Jungamsa converted the dragon in Taehwaji(太和池) in Mt. Wutai, China. This study proved that the temple attempted this conversion to establish the sacredness of Sumano-Stupa as the center of religious faith in association with the Dragon King of the West Sea. In other words, the dragon in Taehwaji was converted into the Dragon King of the West Sea in the process of reinforcing the status of Sumano-Stupa. Next, in regard to Sumano-Stupa, this study established that the location of Sumano-Stupa was Galbanji(葛蟠地), a site Jajang discovered in Mt. Taebak to witness Mañjuśrī. This study also associated the location of Jungamsa under Galbanji with the old names of the temple: Seoknamwon(石南院) and (Lower[下]) Salla(薩那). As a result, the locations of, and interrelationships among Galbanji, Sumano-Stupa, and Jungamsa, are clearer. Through the research approaches mentioned above, the findings of this study were significant in establishing a clearer position of Jungamsa, a historical temple with limited records.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