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무료
      • 기관 내 무료
      • 유료
      • 미적 범주로서의 풍류계와 씻김계

        염재철(Jae Chul Youm) 민족미학회 2010 민족미학 Vol.9 No.-

        This paper aims at a comparison of Pungryu and Ssitgim as aesthetic categories of Korean traditional beauty, and then a study of Meot and Huingeneul as subordinates of each categories. The brief summary of this paper is like this: First, Pungryu and Ssitgim are the categories which classify the ways of existence. While Pungryu is an aesthetic category for the ontological encounter with nature,Ssitgim is an aesthetic category for the encounter with Human beings. Second, while Pungryu is connected with the practices as singing and dancing that express the unity with nature, Ssitgim is connected with the practices as play, ritual and Gut and so on that wash off the shadowy part of life. Third, while Pungryu is a way of cultivation through play, Ssitgim is a way of relief of sorrow. Fourth, while Pungryu could mean an ecological practice which purifies nature, Ssitgim is the practice which purifies our souls. As for Meot and Huingeuneul as subordinates of Pungryu and Ssitgim, first, while Meot is an aesthetic category which takes notice of the bright side of existence, Huingeuneul is mainly an aesthetic category which pays attention to the dark side of existence. Second, both of Meot and Huingeuneul have the same dialectical structure that faces contradiction and surpasses it. Third, both of Meot and Huingeuneul are the concepts that are suggested or created by artists, especially by poets. That is why both of the concepts lay emphasis on the beauty of art than that of nature or human beings. Lastly, both of them are the unique concepts that are hard to be translated into words of western languages, which means that Meot and Huingeuneul are aesthetic categories of our own.

      • KCI등재

        "건축함"의 존재론적 해명 -하이데거 예술철학 논구(V)-

        염재철 ( Youm Jae Chul ) 한국미학회 2013 美學 Vol.73 No.-

        일반적으로 우리는 건축을 인간의 주관적 산출 행위로 표 상하고 건축물을 그러한 주관적 산출 행위의 결과물로 표상한다. 이 생 각은 분명 똑바른 생각이지만 이런 표상 방식으로는 건축이 지닌 존재 일반과 또 우리 인간 존재와의 연관성을 설명해 내기 어렵다. 존재론적으로 건축함은 본래 거주함의 한 방식이다. 거주함은 크게 두 가지 의미를 지니는 바, 그 첫째 의미는 ‘있다(존재)’의 의미요, 둘째 의미는 ‘돌 본다’, ‘보호한다’의 뜻과 그와 동시에 ‘제작한다’, ``건립한다’의 뜻이다. 문제는 거주함의 첫 번째 의미가 더 본질적임에도 불구하고 세월이 흘러 가면서 오히려 비본질적인 두 번째 의미가 전면에 부상하게 되었다는 사 실이다. 이 글은 건축함을 거주함의 본질로부터 파악함으로써 파생된 의 미의 건축함(돌봄과 건립)의 존재론적 의미를 밝힌다. 거주함의 본질은 보살핌이다. 그것은 소극적으로는 사자(四者) -하늘·땅·신적인것·인간적 인것- 세계를 그 위해로부터 보살피고 적극적으로는 그들을 그 본질 안에 소중히 보살피는 일이다. 그런 측면에서 건축함은 사자를 그것들의 본질 안으로 되돌려 간직하고 보살피는 하나의 실현 방식으로써, 건축함 은 그러한 본질 실현을 ‘사물을 건축함’으로써 이룬다. 근원적으로 사물은 사자 존재를 모아 그것의 본질 안에 돌보는 방식으로만 그 자신 사물로 있을 수 있으며, 건축함이란 바로 그 같은 사물을 건립하는 일이다. In der vorliegenden Arbeit geht es nicht an der praktischen Baukunst, sondern an dem ontologischen Sinn des Bauens. Nach der allgemeinen Vorstellung ist das Bauen eine Art von der menschlichen Herstellung und demnach die Baute das Erbebnis solchen subjektischen Herstellens des Menschen. Diese Vorstellung ist richtig. Aber mit dieser richtigen Vorstellung konnen wir nicht das ursprungliche Verhaltnis vollkommen erortern, das zwischen dem Bauen und dem Sein uberhaupt liegt. In der ontologischen Hinsicht ist das Bauen eigentlich eine Weise des Wohnens. Das Wohen hat den zweierlei. Einer davon ist ``das Sein`` wie ``ich bin``, ``du bist``. Der Anderer ist in die zwei gegliedert, namlich das Pflegen und das Errichten. Die vorliegende Arbeit erortert dadurch den ontlogische Sinn des Bauens, dass der letzte Sinn des Wohnens(Pflegen und Errichten) auf der ersten Sinn des Wohens(Sein) hin expliziert wird. Das Wesen des Wohnens ist das Schonen. Es schont pasiv das Geviert ― Himmel, Erde, die menschlichen, die gottlichen ― gegen die Bedrohung und es schont aktiv sie in ihrem Wesen. So gesehen ist das Bauen wesentlich eine Weise, das Geviert in ihrem Wesen zu pflegen und schonen. Die Verwirklichung solchen Wesens des Bauens wird durch das Bauen des Dinges gemacht. Das Ding kann als Ding sein dadurch, dass es das Sein des Gevierts versammelt und es in seinem Wesen schont. Das Bauen ist das Bauen solchen Dinges.

      • KCI등재

        작품존재에서 보는 예술의 본질 -하이데거의 예술철학 논구 (3)

        염재철 ( Jae Chul Youm ) 한국미학회 2012 美學 Vol.70 No.-

        예술의 본질에 관한 하이데거의 물음은 예술과 작품 사이의 순환길을 밟는다. 이 글은 그 순환길 중 세 번째 길에 관한 글이다. 하이데거의 앞선 두 번의 순환길은 각각 예술작품에 접근하는 두 가지 길이 어떤 것인지에 관한 것과 그 중 하나인 존재지향적인 길에서의 작품 내적 관계가 어떤 것인지에 관한 것이다. 이 글은 앞의 두 순환길이 작품존재의 온전한 현실성에 아직 도달하지 않았다는 전제 아래, 작품존재의 온전한 현실성에 바탕을 둘 때 예술의 본질이 어떻게 드러나는가를 살핀다. 여기서 작품존재의 현실성이 지니는 온전함은 작품존재의 ``있음``의 측면뿐만 아니라, 작품존재의 ``있어옴``의 측면과 ``있어감``의 측면이 모두 고려되는 것을 말한다. 작품존재의 ``있어옴``의 측면은 창작과 연계된 측면으로서 그 측면에 입각할 때 예술의 창작은 ``존재-진리가 스스로를 조직화하고 정돈하면서 전개해 나가는 존재 생기를 예술작품 가운데 일어나도록 해주는 일``이다. (물론 여기서 말하는 존재-진리는 전통철학에서의 진리와는 전적으로 성격이 다른, 존재론적 진리를 말한다.) 창작의 이 측면은 작품의 ``있음``에서는 ``진리가 형태 속에 굳건하게 세워져 있음``으로 나타난다. 반면 작품존재의 ``있어감``의 측면은 감상과 연계된 측면으로서 그 측면에 입각할 때 예술의 감상은 ``작품을 작품답게 해주고 작품존재의 현실성을 비로소 온전하게 드러내 준다는 의미에서의 작품의 보존``이다. 감상의 이 측면은 작품의 ``있음``에서는 ``존재-진리가 세계와 대지의 투쟁화로 형태 가운데 굳건하게 자리 잡는 창작적 사실 자체가 작품 가운데서 두드러지게 드러남``에 바탕을 둔다. 하이데거의 예술 규정은 이들 두 측면, 즉 예술 창작과 예술 감상의 통일적 규정으로 나타난다. 그에 따르면 예술은 ``진리를 작품 속에서 창작적으로 보존함``으로서 예술은 진리가 되어오고 되어가는 두드러진 방식이다. 또 그런 한에서 예술은 진리의 선사이고, 근거지음이고, 진리의 시작이다. Heideggersche Frage nach dem Wesen der Kunst liegt in der Zirkel zwischen der Kunst und dem Kunstwerk. Die vorliegende Arbeit gilt als ihrer dritter Zirkelweg. In der ersten Weg geht es an die zwei verschiedenen Wege zum Kunstwerk, d.h. den Weg zum Kunstwerk als Seiendem und den Weg zum Kunstwerk in seinem Sein. In der zweiten Weg geht es an das innere Verhaeltnis des Kunstwerkes. Im Hinblick darauf, dass die vorgegangenen zwei Zirkelwege noch nicht an die Ganzheit des Kunstwerkseins reichen, versucht diese Arbeit zu erklaeren, wie das Wesen der Kunst in der Ganzheit des Kunstwerkseins sich zeigt. Hier heisst die Ganzheit des Kunstwerkseins die Gewesenheit, die Gegenwart und das Vorlaufen des Kunstwerkseins in dem ontologischen Zeit-Dimension. Das Schaffen im Zusammenhang mit der Gewesenheit des Kunstwerkseins ist nach Heidegger ``Geschehen-lassen des sich richtenden, sich organisierenden Seinsereignis im Kunstwerk.`` Und im Hinblick auf dieses Schaffen gilt die Gewesenheit des Kunstwerkes als ``das Festgestelltsein der Wahrheit in die Gestalt``. Das Kunsterlebnis im Zusammenhang mit dem Vorlaufen des Kunstwerkseins ist nach Heidegger ``die Bewahrung des Kunstwerkes``. Heideggersche Formulierung der Kunst heisst also: die schaffende Bewahrung der Seins-wahrheit in dem Kunstwerk. Sie ist eine ausgezeichnete Weise des Werdens der Wahrheit. Und sie ist in solchem Sinne die stiftende Dichtung der Wahrheit des Seins.

      • KCI등재
      • 근대 미학의 ‘감상’에 대한 현대 해석학적 문제 제기

        염재철(Jae-Chul Youm) 민족미학회 2013 민족미학 Vol.12 No.2

        근대 미학적 감상은 근본적으로 예술작품을 존재자로 정향하고 만나는 방식이다. 예술작품을 존재자로 정향하면, 객체로서의 작품과 주체로서의 감상자의 구분이 발생한다. 이 구분 내부에서 근대 미학이 걸어간 길은 작품의 정해진 의미 그리고 그 정해진 의미를 감상자가 올바르게 찾기의 방식이었다. 근대 미학적 감상에서는 차이는 전혀 주제화되지 않고 거기에는 오직 틀림과 옳음만이 문제시 된다. 현대 해석학에서 말하는 예술작품의 이해는 작품존재와의 존재론적 만남이다. 그것은 기분적?기투적?해석적 이해 및 텍스트 지평과 해석자 지평의 지평 융합으로 이루어진다. 이때 해석자의 몸이 지니고 들어가는 선입견은 다양하다. 그것은 ‘인간의 몸’이라는 선입견에서부터, ‘역사? 세계?교육의 길듦’이라는 차이의 선입견을 거쳐, ‘해석자가 작품에 제시하는 주제적 선입견’까지 참 다양하다. 그들 다양한 선입견들은 작품존재와의 이해적 만남에서 선입견으로 작용해 다양한 해석적 차이를 일으킨다. 이 글은 근대 미학적 감상과 결별하고, 하이데거적 존재 해석학과 가다머의 지평 융합적 해석학에 기본적으로 동의하면서, 한편으로는 그가 제시했던 선입견의 종류를 확장함과 동시에 세부적으로 분류하고, 다른 한편으로는 몸의 역사적?세계적?교육적 길듦의 차이를 존재론적으로 해명함으로써 해석적 차이 발생의 존재론적 근거를 제시한다.

      • KCI등재
      • 근대미학의 유산과 현대미학의 반전

        염재철(Youm, Jae Chul) 민족미학회 2013 민족미학 Vol.12 No.1

        현대 예술의 여러 양상들은 전통 미학이 답할 수 없는 새로운 질문들을 던지고 있다. 이 글은 예술에 답하는 전통 미학의 여러 유산 중 특히 근대 예술론의 세 가지 유산을 선별하여 현대 미학의 입장에서 논의를 진행한다. 선별된 세가지 유산은 ‘예술’ 개념, ‘천재’ 개념, ‘유기체적 통일성’ 개념이다. 첫 번째 유산은 고대 뮤지케, 테크네, 포이에시스, 중세 아르스를 거쳐 근대에 새롭게 생긴 개념으로서, 이후 인류가 예술을 분류하고 정의하는 데 결정적 영향을 끼친 유산이다. 그러나 현대에 들어서서 이 개념은 예술의 새로운 시도와 전개양상을 겪으며 두 길 중 하나를 선택해야 할 운명에 놓여 있다. 두 번째 유산 역시 서구 근대미학이 물려 준 유산으로서, 인간이 자신들의 여러 행위 중 예술행위를 다른 행위와 종별적으로 구별하여 특별한 행위로 생각하게 만드는 데 지대한 영향을 끼친 유산이다. 고대의 신내림론, 모방론, 기술론의 창작 이론을 이은 이 개념은 현대 예술에서의 창작의 일반화를 겪으며 전반적인 해체의 운명 아래 놓여 있다. 세 번째 유산은 예술 창작 행위의 산물인 예술 작품이 여타 제작품과 달리 특별한 성질을 지닌다는 상식적 사고에 기여한 대표적인 유산이다. 그러나 이 개념 또한 해체주의와 디지털 기술의 미학적 개입으로 인해 미완결성, 가변성, 비선형성으로 대치되어 가고 있다.

      • KCI등재

        『미학(美學)』 : 존재지향적인 길에서 예술작품의 작품내적관계 -하이데거의 예술철학 논구(2)

        염재철 ( Jae Chul Youm ) 한국미학회 2011 美學 Vol.65 No.-

        Das Werksein des Kunstwerkes fuer Heidegger ist der Bezug des Kunstwerkes zu dem von ihm Eroeffneten. In der vorliegenden Arbeit wird sie als die innere Beziehung des Kunstwerkes aufgefasst. Das von dem Kunstwerk Eroeffnete ist die Welt und die Erde. Also ist die innere Beziehung des Kunstwerkes, m.a.W. das Kunstwerksein die eroeffnende Seinsweise des Kunstwerkes der Welt und der Erde. Die Eroeffnungsweise des Kunstwerkes ist das Aufstellen der Welt, und das Herstellen der Erde. Die Aufstellung der Welt und die Herstellung der Erde sind die zwei wesentliche Momente des Werkseins, die eins die innere Beziehung des Kunstwerkes ausmachen. Heidegger fasst solche Beziehung als die Streit auf, welche sich in der Urstreit der Seins-wahrheit beruht. Die Bestreitung der Streit der Welt und der Erde ist die Wesensweise des Kunstwerkes. In der Bestreitung der Streit innerhalb des Kunstwerkes ereignet sich die Lichtung, in der das Seiende als Seiendes sich zeigt. Dieser Eroeffnungsort ist gerade der selbe Ort, den die Griechen mit dem Wort a-letheia genannt hat.

      • KCI등재
      • KCI우수등재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