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무료
      • 기관 내 무료
      • 유료
      • KCI등재

        회계부정기업의 지배구조개선이 기업가치에 미치는 영향 미치는 영향

        염성수(Yeom, Sungsoo),송연경(Song, Yeon-Kyung) 충남대학교 경영경제연구소 2013 경영경제연구 Vol.35 No.2

        본 연구의 목적은 지배구조의 개선이 시장에서의 긍정적인 평가를 통하여 기업의 시장가치를 상승시킨다는 것을 실증분석을 통하여 보여줄 것이다. 이러한 의도를 보다 강조하기 위하여 본 논문에서는 회계부정기업에 초점을 맞추었다. 지배구조개선은 비용을 수반하는 행위이다. 회계부정기업의 경우 지배구조 개선의 한계효과가 통제기업의 한계효과에 비하여 클 것으로 예상하며, 따라서 회계부정기업이 통제기업보다 지배구조를 개선하려는 유인이 강할 것으로 예측한다. 그리고 궁극적으로 지배구조의 개선은 기업의 시장가치를 상승시키는 것을 목표로 함을 실증적으로 보여줄 것이다. 본 연구의 표본인 회계부정기업은 금융감독원으로부터 감리지적을 받은 기업을 선정하였다. 통제기업으로는 감리지적을 받지 않은 상장기업 중 표본기업과 동일산업 내에서 총자산과 순매출액이 유사한 기업을 추출하였다. 이러한 과정을 통해 선정된 표본기업은 90개 기업이며 통제기업은 260개 기업으로 최종표본은 총 350개 기업이다. 전체적인 실증분석 결과는 다음과 같다. 첫째, 회계부정기업은 부정이 지적되어 시장에 알려진 후 그들의 기업지배구조를 통제기업에 비하여 통계적으로 유의하게 개선시켰다. 둘째, 회계부정기업이 기업지배구조를 개선한 결과 초과수익률로 측정한 그들의 기업가치는 상승하였다. 이 결과는 지배구조의 개선이 시장에서 긍정적인 평가를 받았다는 점을 증명하는 것이다. This paper examines whether improvements in corporate governance of a firm causes increase in value of the firm through the favorable evaluation of the market. There are many empirical results that good corporate governance has strong correlations with the value of the firm. However the better corporate governance does not always guarantee the higher value of the firm. This leads us to investigate why a firm makes an effort to improve its corporate governance structure and whether it causes increase in the value of the firm. Especially we focus the fraud firm in order to emphasize the effects of the improvement of corporate governance on value of the firm since we speculate the fraud firm has stronger incentive to improve the corporate governance than the control firm if it wants to do so. Using 90 fraud firms and 260 control firms, we find the fraud firms show considerable efforts improving corporate governance than the control firm does. We also find the strong evidence that the fraud firms improving corporate governance show increasing the value of the firm considerably.

      • 증권관련 집단소송법과 회계감사인의 손해배상책임

        염성수(Yeom Sungsoo) 충남대학교 회계연구소 2005 회계논집 Vol.6 No.2

        증권시장의 특수성 등을 고려할 때 입증책임을 원고에게만 되돌리는 것은 현실적으로 어려운 문제이나 감사인의 경우 입증책임의 전환은 연대책임과 맞물려 있으므로 신중한 접근이 필요하다. 특히, 미국의 경우 인과관계에 대한 입증책임의 전환이 연대책임과 맞물려 남소의 원인이 되었고, 이로 인하여 1995년 증권민사소송개혁법에서 원고에게 손해인과관계를 입증하도록 하였고 또한 동시에 비례책임제를 도입한 것은 우리에게 많은 시사점을 제공해 주고 있다. 우리나라는 발행공시와 유통공시는 각기 그 성격이 다른데도 동일하게 취급하고 있다. 주가에 영향을 미치는 수많은 요인 중 감사보고서를 신뢰하여 투자했는지 여부에 관계없이 유통시장에서의 모든 투자자 손해에 대해서 거래 및 손해인과관계의 입증을 감사인에게 부담하게 하는 것은 불합리하다. 이에 따라 최소한 원고에게 정보공시를 신뢰하였고, 그로 인해 손해를 보았다는 입증을 하도록 하는 개선이 필요하다. 자본시장에 일정한 위험이 내재하고 있다는 점을 감안하면, 감사인의 책임을 정하는 문제의 본질은 그 위험을 어떻게 배분할 것인지 결정하는 것이다. 이러한 관점에서 부실감사와 관련하여 감사인에게 연대책임보다는 비례책임을 부과하는 것이 타당할 것이다.

      • 내부회계관리제도와 기업의 지배구조

        송연경(Song Yeon Kyung),염성수(Yeom Sungsoo) 충남대학교 회계연구소 2005 회계논집 Vol.6 No.2

        최근 미국은 엔론, 월드콤 등 대규모 회계부정 사건으로 인하여 회계정보의 투명성 강화를 통한 기업의 신뢰도 향상에 대한 사회적인 요구가 증대하였다. 이로 인하여 2002년 7월 재무보고에 대한 회사의 책임을 강화하고 내부통제에 대한 경영진의 평가를 의무화하는 Sarbanes-Oxley Act를 제정하게 되었다. 우리나라는 2003년 말 이후 일련의 ‘회계제도개혁법’을 제정하였다. 이 개혁법의 내용은 증권관련 집단소송법(2004. 1. 20.)의 제정과 증권거래법(2003. 12. 31.), 외감법(2003. 12. 11) 및 공인회계사법(2003. 12. 11.)의 개정으로 이루어져 있다. 또한 2005. 6. 23.에는 외감법의 개정으로 강제화된 내부회계관리제도의 운영과 평가를 위한 ‘내부회계관리제도 모범규준’이 제정되었다. 이러한 일련의 작업은 모두 기업운영의 투명성, 특히 회계의 투명성을 강화하기 위한 조치였다. 따라서 본 고는 최근 효과적인 기업지배구조 확립을 위한 일환으로 기업에게 요구되는 내부통제제도를 미국 및 한국의 사례를 통해 자세히 살펴본다. 또한 그동안 국내 기업의 지배구조 개선을 위해 도입된 제도로 인한 기업의 변화 및 이와 관련된 최근의 연구동향을 통해 기업의 지배구조가 기업성과 및 기업가치에 미치는 영향을 살펴본 연구들을 정리해 본다.

      • KCI등재

        회계제도변화가 기업의 이익조정에 미치는 영향

        周超(Chao Zho),최수미(Sumi Choi),염성수(Sungsoo Yeom) 충남대학교 경영경제연구소 2013 경영경제연구 Vol.36 No.1

        본 논문은 2007년부터 시행된 중국의 신회계기준이 중국 상장기업의 이익조정의 유인을 감소시키는지 여부를 연구하였다. 구체적으로 2005년부터 2008년까지 중국 상장기업의 재무제표를 이용하여 상장기업이 신회계기준 하에서는 이전의 회계기준 하에서 보다 이익조정을 감소시키는지 여부를 살펴보았으며, 더 나아가서 신회계기준이 중국상장기업의 이익조정 행위를 억제한다면 모든 업종에서 이익조정의 유인을 감소시키는지 여부를 실증적으로 분석하였다. 분석한 결과를 다음과 같다. 첫째, 신회계기준을 실행 후에 중국 상장기업의 이익조정의 크기는 구회계기준 하에서보다 기업의 이익조정 행위가 높게 나타났다. 이 결과는 본 논문의 예측과 다르게 나타났으며, 중국의 신회계기준이 회계의 선진화와 투명성을 위하여 도입되었으나 그 효과는 미지수라고 평가할 수 있다. 둘째, 신회계기준 하에서 상장기업의 이익조정이 업종별로 차이를 보였다. 즉, 신회계기준이 모든 업종에서 이익조정을 감소시키는 것이 아니고 업종에 따라 차이를 보였다. 예를 들면 2006년과 2007년도의 업종별로 상장기업의 재량적 발생액(DA)이 차이가 있었는데, 제조업, 사회간접자본, 교통 운송업, 정보기술업, 도소매업 등은 음(-) 재량적 발생액이 나타났다. 따라서 이들 업종은 기업의 이익조정이 감소되었다. 그러나 농업, 임업, 목축업 및 어업은 양(+)의 재량적 발생액으로 나타났다. 이들 업종은 회계기준 개혁이후 오히려 기업의 이익조정이 더 크게 나타났다. 결과적으로 중국 신회계기준이 기대하던 효과는 아직 미지수라고 볼 수 있거나 또는 추가연구가 필요한 문제라고 할 수 있다. The study of earnings management started in the 1980s, and so far it is still one of the main issues in recent accounting research. To a certain extent, a company may overcome a temporary financial crisis, keep companies" performance good, and enhance the confidence of investors by implementing earnings management. Since the earnings management is associated with accounting standards, there are various ways of making earnings management by making use of accounting standards. This thesis examines empirically the impact of the new accounting standards an the behavior of earnings management by the listed companies, and studies whether the impact differs in different industries. If the new accounting standards was set to improve the quality of accounting information in China, the new standards should induce the size of earnings management smaller. This paper used modified Jones model to calculate discretionary accruals. The empirical results show that the size of earnings management gets bigger under the new accounting standards.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