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좁혀본 항목 보기순서

        • 원문유무
        • 원문제공처
          펼치기
        • 등재정보
        • 학술지명
          펼치기
        • 주제분류
        • 발행연도
          펼치기
        • 작성언어
        • 저자
          펼치기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무료
      • 기관 내 무료
      • 유료
      • KCI등재

        지역사회 자원을 활용한 체험 중심 여가 공간 활용 방안 - 평창 동계올림픽 시설과 지역 여가 공간의 연계를 중심으로 -

        염두승,윤상문,석혁기 한국스포츠학회 2018 한국스포츠학회지 Vol.16 No.1

        본 연구에서는 연구의 과제를 달성하기 위해 지역의 올림픽 특구와 지역자원과의 연계를 통한 여가 공간의 활용 방안을 검토한 이론적 고찰한 결론은 아래와 같다. 첫째, 설상 종목이 개최되는 지역으로 알펜시아리조트를 중심으로 개・폐회식장과 선수촌, 국제방송센터 등 올림픽시설과 연계해 '국제회의도시' 지정을 추진하고 있으며 아시아 최대 목 장인 삼양목장을 중심으로 1차(목축)+2차(낙농제품)+3차(관광) 산업이 결합한 6차 산업으로 시도하는 대관령 자연 순응형 휴양단지 조성계획과 오대산 국립공원, 평창읍 한우마을 등을 연계한 지역의 여가 공간을 활용한 여러 가지 프 로그램 코스가 개발되어 제시 되었다. 둘째, 빙상 종목이 개최되는 지역으로 강릉의 전통과 문화・예술 기반 위에 동계올 림픽을 결합한 사계절 문화・관광거점으로 조성하려고 하고 있으며 빙상 경기장과 올림픽아트센터, 지구 내 위치한 종합 운동장과 문화예술관 등 기존 시설을 활용해 강릉지역 동계올림픽 핵심지구가 될 전망이다. This study carried out a theoretical consideration that examined an application method of leisure space through connecting the Olympic zone of a region and the community resources in order to achieve the research task. The conclusions are as follows. First, there is a suggestion of a plan for developing and connecting a leisure-activity program course with the application of leisure space among the Pyeongchang Winter Olympics facilities and the community resources within the Pyeongchang Health Olympics complex zone. Second, there is a suggestion of a plan for developing and connecting a leisure-activity program course with the application of leisure space among the Pyeongchang Winter Olympics facilities and the community resources within the Gangneung Culture Olympics complex zone.

      • KCI등재

        레크리에이션 지도자의 완벽주의적 자기제시가 웰빙추구성향 및 신체적 자기개념에 미치는 영향

        염두승,박병권 한국스포츠학회 2020 한국스포츠학회지 Vol.18 No.2

        본 연구는 레크리에이션지도자의 완벽주의적 자기제시가 웰빙추구성향 및 신체적 자기개념에 미치는 영향을 규 벙하는데 있으며, 강원도 영동지역의 강릉, 동해, 삼척, 속초 4개시 레크리에이션 지도자들을 모집단으로 표본을 추출하 였다. 첫째, 레크리에이션지도자의 완벽주의적 자기제시와 웰빙추구성향의 관계를 분석한 결과 완벽주의적 자기노력은 물리‧환경적 추구성향, 정신‧심리적 추구성향에 불완전함 은폐노력(언어적)은 물리‧환경적 추구성향, 정신‧심리적 추구성 향, 신체적추구성향에 각각 유의한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다. 둘째, 레크리에이션지도자의 완벽주의적 자기제시와 신체적 자기개념의 관계를 분석한 결과 완벽주의 자기노력은 스포츠유능감, 신체활동에 불완전함 은폐노력(언어적)은 스포츠유능감, 신체활동, 자기존중감에 각각 유의한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다. 셋째, 레크리에이션지도자의 완벽 주의적 자기제시와 웰빙추구성향 및 신체적 자기개념의 인과적 관계가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closely examine a relationship of perfectionistic self-presentation in recreation leaders with well-being pursuit disposition and physical self-concept. A sample was extracted by having a population as recreation leaders in 4 cities of Gangneung, Donghae, Samcheok and Sokcho in Yeongdong of Gangwon-do Province. First, as a result of analyzing a relationship between recreation leaders' perfectionistic self-presentation and well-being pursuit disposition, a significant effect was indicated, respectively, on the physical‧environmental seeking tendency and the mental‧psychological pursuit disposition by perfectionistic self-promotion, and on the physical‧environmental seeking tendency, the mental‧ psychological pursuit disposition and the physical seeking tendency by non-disclosure of imperfection. Second, in consequence of analyzing a relationship between recreation leaders' perfectionistic self-presentation and physical self-concept, a significant impact was shown, respectively, on the sports competence and the physical activity by perfectionistic self-promotion, and on the sports competence, the physical activity and the self-esteem by non-disclosure of imperfection. Third, it was seen that there is causality among recreation leaders' perfectionistic self-presentation, well-being pursuit disposition and physical self-concept.

      • KCI등재

        댄스스포츠 선수들의 스포츠 상해분석 및 대처방안: 라틴, 스탠다드, 브레이킹 선수중심으로

        염두승,이광옥,엄경천,이호창,오예림,오세훈 한국스포츠학회 2022 한국스포츠학회지 Vol.20 No.3

        본 연구는 댄스스포츠 선수(라틴, 스탠다드, 브레이킹) 들의 상해경험, 상해부위와 종류, 상해예방 및 대처에 대하여 조사하여 선수들의 경기력 향상과 대처방안에 대한 자료를 제시함으로써 향후 상해 예방을 위한 프로그램 개발의 기초적인 자료를 제공하는데 목적이 있다. 첫째, 상해 경험에 관한 조사 결과를 살펴보면 설문에 응답한 87명 중 74.7%가 상해를 경험한 적이 있으며, 25.3%가 상해를 경험한 적이 없다고 하였다. 둘째, 상해 부의와 종류에 관한 조사 결과는 머리 부위에서는 목에서 50.6%, 몸통 부위에서는 허리에서 63.2%, 팔 부위에서는 어깨에서 52.9%, 다리 부위에서는 무릎과 발목에서 54%로 가장 높게 나타났다. 상해의 종류에 대한 결과는 인대 손상(60.9%), 근육통(48.3%), 타박상(46%), 염좌(41.4%) 순으로 나타났다. 셋째, 상해 예방 및 대처에 관한 조사 결과는 체계적인 운동과 신체알기, 근력운동 해주기, 준비운동, 정리운동의 필요성 인지, 테이핑, 상해예방 매뉴얼, 충분한 연습 등을 해야 한다는 의견들이 나타났다.

      • KCI등재후보

        생활무용 참여자들의 셀프리더십이 자기관리 및 자기효능감에 미치는 영향

        염두승,최유리 한국스포츠학회 2017 한국스포츠학회지 Vol.15 No.1

        본 연구는 생활무용 참여자들의 셀프리더십이 자기관리와 자기효능감에 미치는 영향을 규명하는데 있으며, 2017년 현재 강원도 영동권에 거주하면서 생활체육에 참여하고 있는 20세 이상 여성들을 대상으로 공공 및 사설 종합 체육시설에 6개월 이상 주 2회 이상 지속적으로 참가하고 있는 사람 184명을 대상으로 하였다. 자료처리는 요인분석, 상관관계, 다중회귀분석으로 관계를 분석하여 다음과 같은 결론을 도출하였다. 첫째, 생활무용 참여자들의 셀프리더십 이 자기관리에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다. 둘째, 생활체육 참여자들의 셀프리더십이 자기효능감에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다. 이러한 결론을 통해 생활무용 참여자들의 셀프리더십을 구체화시킴으로서 효율적인 운동능력을 정 립할 수 있는 기틀을 제공하고 자기관리와 자기효능감의 관계를 검증함으로써 이들의 시너지를 극대화하는 방안을 모 색하고자 생활무용 참여자들에게 적용시키기 위한 실증적인 자료가 될 수 있을 것이라 생각된다.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examine the causal relationships of the self-leadership, self-management and self-efficacy of dance-for-all participants after setting up a research model for the variables. The subjects in this study were 184 selected male and female adult residents in the area of Youngdong, Gangwon Province, who danced a dance-for-all in 2017. They continued to dance a dance-for-all in public and private gyms for six months or more, twice or more a week. As for data analysis, factor analysis, correlation analysis and multiple regression analysis were made. The findings of the study were as follows: First, the self-leadership of the dance-for-all participants affected their self-management. Second, the self-leadership of the dance-for-all participants affected their self-efficacy. Self-punishment variable affected exercise efficacy and social efficacy in a statistically significant manner, and the variable of belief and assumption analysis exerted a statistically significant influence on exercise efficacy.

      • KCI등재

        지역사회 자원과 대학의 연계를 통한 여가 공간 프로그램 구축 방안

        염두승 한국스포츠학회 2021 한국스포츠학회지 Vol.19 No.1

        이 연구는 지역사회 자원과 대학의 연계를 통한 여가 공간 프로그램 구축 방안을 제시하고자 한다. 첫째, 지역사회 자원과 대학의 여가 공간 프로그램 연계를 통한 상호관계를 전제로 하는 관계 제시, 대학이 지역사회에 인적자원을 양성하 고 공급하는 기능, 지역주민에게 교육기회를 제공하고 사회적 서비스를 제공, 지식과 정보제공, 문화·예술·체육의 활성 화에 기여할 것이다. 둘째, 지역사회 자원과 대학의 여가 공간 프로그램 연계를 통한 프로그램 제시 1) 지역민의 효율적인 여가 공간 활용과 자료를 얻게 되어 다양한 여가 공간활용 파급 효과와 지역주민의 여가만족, 자긍심을 높여 지역사회의 소득유발, 경제 활성화의 원동력이 되고 향후 관광객들에게 시스템을 적용한다면 지역의 이미지를 홍보할 수 있는 장점으 로 도움을 줄 것으로 기대할 수 있을 것이다. 2) 체험용 엔터테인먼트 콘텐츠로: 입체 도형의 비평면에 프로젝션 영상을 이용한 체험활동이 가능 할 것이다. 3) 테마파크 분야의 체험 효과를 극대화하고 몰입감 증대를 위한 대규모 스크린과 사 용자와의 상호작용을 통해 새로운 신세계 체험을 제공하는데 활용 될 것이다. The purpose of suggest a plan to establish a leisure space program through linkage between local community resources and universities. First, presenting a relationship that presupposes mutual relations through connection of local community resources and leisure space programs of universities, the function of nurturing and supplying human resources to the local community, providing educational opportunities to local residents and providing social services, knowledge It will contribute to providing information and revitalization of culture, art and sports. Second, suggesting programs through linking local community resources and leisure space programs of universities 1) Inducing income from local communities by increasing the ripple effect of using various leisure spaces and increasing the leisure satisfaction and pride of local residents by obtaining efficient use of leisure spaces and data by local residents. In addition, if the system is applied to tourists in the future, it will be the driving force of economic revitalization, and it will be expected to help with the advantage of promoting the image of the region. 2) As entertainment content for experience: Experience activities using projection images on a non-planar surface of three-dimensional figures will be possible. 3) Through interaction with users and large screens to maximize the experience effect in the theme park field and increase immersion. It will be used to provide a new world experience.

      • KCI등재

        레크리에이션 지도자의 인지된 전문성이 공감 및 심리적 복원력에 미치는 영향

        염두승 한국스포츠학회 2020 한국스포츠학회지 Vol.18 No.3

        본 연구는 레크리에이션 지도자의 인지된 전문성이 공감 및 심리적 복원력의 관계를 규명하는데 있으며, 강원도 지역의 강릉, 동해, 원주, 춘천 4개시 소재지에서 레크리에이션 지도자들을 모집단으로 표본을 추출하였다. 첫째, 레크리 에이션지도자의 인지된 전문성과 공감의 관계를 분석한 결과 이론전문성은 인지적 공감에 현장전문성은 인지적공감, 정서적공감에 각각 유의한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다. 둘째, 레크리에이션지도자의 인지된 전문성과 심리적 복원력 의 관계를 분석한 결과 이론전문성은 회복에 현장전문성은 즉각적대응, 획복, 심리적역량에 각각 유의한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다. 셋째, 레크리에이션지도자의 인지된 전문성과 공감 및 심리적 복원력의 인과적 관계가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The purpose of this to examine the influence of the perceived professionalism of recreation instructors on their empathy and psychological resilience. As for the subjects, 200 people who served as recreation instructors for a minimum of one year or more in cultural centers, community service centers and welfare agencies in the region of Gangneung were selected as the population, and convenience sampling was used. Among the collected data, the data from 195 respondents were analyzed except for the questionnaires from five that weren't fully filled out or included double answers. First, the perceived professionalism of the recreation instructors exerted influence on their empathy. Second, the perceived professionalism of the recreation instructors exerted influence on their psychological resilience. Third, the perceived professionalism of the recreation instructors had a causal relationship with their empathy and psychological resilience.

      • KCI등재

        아이스하키 동호회의 팀원 간 커뮤니케이션이 팀 응집력 및 경기력 향상에 미치는 영향

        염두승,서진교,백성익 한국스포츠학회 2018 한국스포츠학회지 Vol.16 No.1

        본 연구는 아이스하키 동호회의 팀원 간 커뮤니케이션이 팀 응집력 및 경기력에 미치는 영향을 규명하는데 있으며, 자료처리는 요인분석, 빈도분석, 상관관계, 다중회귀분석, 경로분석으로 인과관계를 분석하여 다음과 같은 결론을 도출하였다. 첫째, 아이스하키 동호회의 팀원 간 커뮤니케이션은 팀 응집력에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 다. 둘째, 아이스하키 동호회의 팀원 간 커뮤니케이션은 경기력에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다. 셋째, 아이스하키 동호회의 팀원 간 커뮤니케이션, 팀 응집력, 경기력은 인과관계가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이러한 결론은 학문적 측면 과 생활체육의 실증적인 측면 모두에서 효용성이 기대된다는 점과 아이스하키 동호회를 대상으로 커뮤니케이션 만 족이 팀 응집력과 경기력에 관련된 기초적인 자료를 제공할 수 있다는 점에서 의의를 갖는다. 하지만 다른 생활체육 종목에 비해 아이스하키에 대한 선행연구가 미흡한 실정이어서 후속연구에서는 연구대상의 범위를 확대하여 보다 실증적이고 현장에 적용할 수 있는 연구가 이루어져야 할 것이며, 각 변인들과의 순차적인 인과관계를 밝히는데 많은 노력을 기울여야 할 것으로 사료된다.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examine the influence of the communication of amateur ice hockey club members on their team cohesion and athletic performance. First, communication among the members of the ice hockey clubs was found to have affected their team cohesion. Second, communication among the members of the ice hockey clubs was found to have affected their athletic performance. This study is of significance in that the findings are expected to provide useful academic and practical information and offered fundamental data on the relationship of communication satisfaction to team cohesion and athletic performance in the ice hockey clubs. So far, not many studies have yet examined ice hockey in comparison with other kinds of sport for all. In the future, more extensive experimental research efforts should be channeled into this sporting event, and the causal relationship of the related variables should accurately be analyzed.

      • KCI등재

        유학생들이 지각하는 교육서비스품질이 여가만족 및 여가태도에 미치는 영향

        염두승 한국스포츠학회 2021 한국스포츠학회지 Vol.19 No.2

        본 연구는 유학생들이 지각하는 교육서비스 품질이 여가만족 및 여가태도에 미치는 영향을 규명하는데 있으며, 대상은 2021년 현재 강원지역(춘천, 원주, 강릉, 삼척)에 위치해 있는 대학의 유학생들을 모집단으로 추출하여 188명의 자료를 최종 분석 자료로 사용하였다. 첫째, 유학생들이 지각하는 교육서비스품질이 여가만족에 미치는 영향을 분석한 결과 유형성은 환경적 만족, 심리적 만족에 신뢰성은 생리적 만족, 교육적 만족, 환경적 만족에, 반응성은 생리적만족, 환경적만족, 심리적만족, 사회적만족에, 확신성은 생리적 만족, 교육적 만족과 사회적 만족에 공감성은 교육적 만족, 심리 적 만족, 사회적 만족에 각각 유의한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다. 둘째, 유학생들이 지각하는 교육서비스품질이 여가 태도에 미치는 영향을 분석한 결과 유형성은 인지적 태도, 정의적 태도, 행동적 태도에 신뢰성은 인지적 태도, 정의적 태도, 행동적 태도에 반응성은 행동적 태도에 공감성은 인지적 태도, 정의적 태도, 행동적 태도에 유의한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다. 셋째, 유학생들이 지각하는 교육서비스품질과 여가만족 및 여가태도 간의 인과적 관계가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investigate the relationship between leisure satisfaction and leisure attitude in the quality of education services perceived by international students. data of 188 people were used as final analysis data. First, as a result of analyzing the relationship between educational service quality and leisure satisfaction perceived by international students, tangible is environmental satisfaction, psychological satisfaction, reliability is physiological satisfaction, educational satisfaction, environmental satisfaction, and responsiveness is physiological satisfaction, environmental satisfaction, psychological satisfaction. Second, as a result of analyzing the relationship between educational service quality and leisure attitudes perceived by international students, tangible is cognitive attitude, affective attitude and behavioral attitude, reliability is cognitive attitude, affective attitude and behavioral attitude are behavioral. empathy to attitude was found to have a significant effect on cognitive, affective, and behavioral attitudes. Third, it was found that there is a causal relationship between educational service quality perceived by international students, leisure satisfaction, and leisure attitude.

      • KCI등재

        레크리에이션 지도자들의 완벽주의 성향이 몰입 및 사회적 태도에 미치는 영향

        염두승 한국스포츠학회 2020 한국스포츠학회지 Vol.18 No.1

        이 연구는 레크리에이션 지도자들의 완벽주의 성향이 몰입 및 사회적 태도에 미치는 영향을 규명함으로써 레크리 에이션 지도자들의 심리적 가치발달 및 활성화를 위한 기초자료를 제공하는데 목적이 있다. 연구의 대상은 2020년 현재 강원도 영동지역에 소재하고 있는 대학, 문화센터, 사설 레크리에이션 업체에 소속되어 있는 레크리에이션 지도자 자격증 소지자(3급 이상)들을 모집단으로 선정하였고 편의표본추출법을 이용하여 총 197명의 자료를 실제 분석에 이용하였다. 조사도구는 설문지를 이용하였으며, 자료처리는 SPSS 23.0을 이용하여, 기술분석, 요인분석, 상관관계분석, 다중회귀 분석을 사용하였으며, 분석결과 다음과 같은 결론을 얻었다. 첫째, 레크리에이션 지도자들의 완벽주의 성향은 몰입에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다. 둘째, 레크리에이션 지도자들의 완벽주의 성향은 사회적 태도에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다.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provide the basic data for psychological value development and revitalization of recreational leaders by identifying the influence of recreational leaders' perfectionism on immersion and social attitudes. The subjects of the study were selected as a population of recreational leader certificate (3rd grade or higher) belonging to university, cultural center, and private recreation company currently located in Yeongdong, Gangwon-do in 2020. Was used in the actual analysis. Questionnaire was used as a survey tool, and data analysis was performed using SPSS 23.0, using technical analysis, factor analysis, correlation analysis, and multiple regression analysis. First, the perfectionism of recreational leaders influenced the commitment. Second, perfectionism of recreational leaders influenced social attitudes.

      • KCI등재

        생활체육 지도자의 감성적 리더십이 커뮤니케이션 만족 및 심리적 웰빙에 미치는 영향

        염두승 한국스포츠학회 2019 한국스포츠학회지 Vol.17 No.3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find out the effect of emotional leadership of sports leader on communication satisfaction and psychological well-being. This is due to the emotional leadership of sports leaders, which leads to a more positive and positive communication between participants and leaders in sports, and explores ways for participants to experience psychological well-being. It can be used to create educational environment and to give positive direction to the dissemination and active activities of sports. As for data analysis, Cronbach alpha coefficients, frequencies, simple correlation analysis and multiple regression analysis were utilized to serve the purpose of the study. After the collected data were analyzed, the following major findings were given: First, emotional leadership of sports leaders influenced communication satisfaction. Second, emotional leadership of sports leaders influenced psychological well-being. Third, emotional leadership, communication satisfaction, and psychological well-being of sports leaders have a causal relationship. 본 연구는 생활체육 지도자의 감성적 리더십이 커뮤니케이션 만족과 심리적 웰빙에 미치는 영향을 밝히는데 그 목적이 있다. 이는 생활체육 지도자의 감성적 리더십의 영향으로 생활체육에의 참여자들과 지도자간의 활발하고 긍정적인 커뮤니케이션에 만족감을 느끼고 이를 통해 참여자들로 하여금 심리적 웰빙을 경험하도록 하는 방안을 탐색하여 보다 질적으로 향상된 생활체육의 교육환경을 만들고 생활체육의 보급 및 활발한 활동에 긍정적인 방향을 제시하는데 활용할 수 있을 것이다. 자료처리는 본 연구의 연구목적에 따라 신뢰도분석, 빈도분석, 상관관계, 다중회귀분석으로 다음과 같은 결론을 도출하였다. 첫째, 생활체육 지도자의 감성적 리더십이 커뮤니케이션 만족에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다. 둘째, 생활체육 지도자의 감성적 리더십이 심리적 웰빙에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다. 셋째, 생활체육 지도자의 감성적 리더십과 커뮤니케이션 만족, 심리적 웰빙은 인과관계가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이로 미루어 보아 알 수 있듯이 생활체육 지도자의 감성적 리더십이 커뮤니케이션 만족과 심리적 웰빙과는 밀접한 관계가 있음을 볼 수 있다.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