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무료
      • 기관 내 무료
      • 유료
      • KCI등재

        자동차산업의 형성과 산업 정책

        여인만(Inman YEO) 역사비평사 2018 역사비평 Vol.- No.122

        This paper examines the establishment of the Korean automotive industry in the 1960s and 1970s in relation to the government’s industrial policy to enhance the automotive industry. In this period, the goal of industrial policy was basically import substitution industrialization of automotive industry. e policy direction for the goal was to achieve the automobile manufacturers’ economies of scale through entry regulation and to increase the proportion of parts produced domestically. The rst policy was the Automotive Industry 5-Year Plan of 1962, backed legally by the Automotive Industry Protection Act, is act limited the number of companies entering the automotive business. to achieve economies of scale. And it gradually led to increase the proportion of parts of domestic production. However, the policy failed to achieve the goal, due to the unsystematic policy tools and the ‘rent seeking’ strategy of the automobile assemblers. The long-term automotive industry enhancement plan of 1974 appeared in the process of trial and error to solve these problems of the 1960s. In this plan, an incentive system was established in which the assembler could invest boldly to achieve economies of scale and use domestic parts. As a result, it has become possible to produce vehicles using domestic parts, in the late of 1970s. However, not all goals of policy were realized as intended. Moreover, the side eects of the policy have led to the rationalization of the automotive industry in 1980s.

      • KCI등재

        현대 일본경제사의 새로운 시도: 『일본경제의 역사』 현대 1·2권의 서평

        여인만 ( Inman Yeo ) 경제사학회 2019 經濟史學 Vol.43 No.2

        이 글은 이와나미서점에서 간행된 『일본경제의 역사』(전 6권) 중 현대를 대상으로 한 5권 및 6권에 대한 서평 논문이다. 5권은 1937년부터 1972년까지, 그리고 6권은 1973년부터 2010년까지를 각각 대상 시기로 하고 있다. 이 시리즈의 각 권은 대상 시기의 성장률 추이 및 그 요인을 분석하는 서장과 노동, 금융, 농업, 광공업, 상업 및 서비스라는 5개의 장으로 구성되어 있는데, 이는 성장회계를 의식하고 있기 때문이다. 기존의 시리즈와 비교할 때 이 시리즈는 일본경제사·일본경제론 연구자 이외에 노동경제학·공간경제학·국제경제학 등 근대경제학 분야를 전공하는 연구자가 다수 집필에 참여하고 있고, 현대 일본경제를 1972년을 경계로 고도성장기와 저성장기로 구분했다는 특징이 있다. 그러나 선행연구에 대한 이해가 결여되고 팩트 파인딩이 부족하여 현대 일본경제사 연구에 새로운 시각을 제시했다고 인정하기 힘들다. 근대경제학자를 위한, 근대경제학자에 의한, 1937-2000년간 일본경제에 근대경제학을 적용해 본 시리즈라고 할 수 있다. The History of the Japanese Economy, which consists of six volumes, was published in Iwanami Press in 2017. This paper is a review on 5 and 6 volumes for the contemporary Japanese economy. Volume 5 covers 1937 to 1972 and volume 6 covers 1973 to 2010, respectively. In both volumes, the introductory chapter analyzes the growth rate trend and its causes. And, Both volumes consist of five chapters: labor, finance, agriculture, manufacturing, commerce and services. Compared with previous research, these books have the following characteristics. First of all, the author’s major is not confined to in Japanese economic history, but include various fields of theoretical economics such as labor economics, spatial economics, and international economics. Next, the contemporary Japanese economy was divided into the post-1972 high growth period and the pre-1972 low growth period. However, it is hard to admit that these books have given new knowledge to the study of contemporary Japanese economic history due to the lack of review of previous studies and the lack of historical fact finding. These books, written by and for theoretical economists, can be said to have applied economic theory to the Japanese economy from 1937 to 2000.

      • 장기불황기 일본의 고용형태 변화와 그 의미

        여인만 ( Inman Yeo ) 고려대학교 글로벌일본연구원 2022 일본연구 Vol.37 No.0

        본고는 1990년대 이후 일본에서 나타나고 있는 고용형태의 변화와 그 의미, 그리고 일본적 고용시스템의 변화 여부를 고찰하는 것이다. 분석결과 다음과 같은 점이 해명되었다. 첫째, 1990년대 이후 비정규직 고용 비율의 급상승은 1995년의 고용포트폴리오 구상에 의한 것이다. 둘째, 2010년대 중반 이후의 비정규직 고용 비율의 정체는 ‘다양한 정사원 제도’의 도입과 한계에 의한 것이다. 셋째, 1990년대 이후 ‘잃어버린 20’년 동안 비정규직 비율의 상승에도 불구하고, 제조대기업 정규직을 핵심영역으로 하는 ‘일본적 고용시스템’에 대한 영향은 제한적이었고, 이러한 현상은 2010년대의 다양한 정사원제도를 보급시키려는 정책에도 불구하고 크게 변화하지 않았다. 일본적 고용시스템의 향후 전개방향을 전망하기 위해서는 생산시스템과의 관계를 주목해야 한다. The This paper examines the changes between employment types and their implications that have occurred in Japan since the 1990s, and reviews whether there are any changes in the Japanese employment system. As a result of the analysis, the following points were clarified. First, the rapid rise in the employment rate of non-regular employee since the 1990s is due to the employment portfolio initiative in 1995. Second, the stagnation of the non-regular employment rate since the mid-2010s is due to the introduction and limitations of the ‘diversified regular employee system.’ Third, despite the rise in the proportion of non-regular employees during the “lost 20 years” since the 1990s, the impact on the “Japanese employment system” with regular employees in large manufacturing companies as its core area was limited. And, this phenomenon also did not change significantly in the 2010s despite the policies to spread the diversified regular employees systems.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