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좁혀본 항목 보기순서

        • 원문유무
        • 원문제공처
        • 학술지명
        • 주제분류
        • 발행연도
        • 작성언어
        • 저자
          펼치기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무료
      • 기관 내 무료
      • 유료
      • 마이크로채널 내부의 이상유동조건에서 구간별 압력 변화에 관한 연구

        엄혜원(Hye Won Eom),이범용(Beom Yong Lee),박창용(Chang Yong Park) 대한설비공학회 2015 대한설비공학회 학술발표대회논문집 Vol.2015 No.11

        Experimental study on pressure drop at multi-ported micro channels was performed. The test section of system consisted of oxygen free copper having 38 micro- scale channels by electric discharge machining. The hydraulic diameter of the channels was about 516 μm. Under an adiabatic single-phase flow condition, micro channels pressure drop was measured. In order to compare experimental results with calculated values, pressure drop prediction was performed by exiting several correlations. The comparison analysis showed that there was very small difference between the two. Also pressure drop was measured under two-phase flow condition. Measured data presented the increase of pressure drop with the increase of vapor quality, which followed the previously well-known trend.

      • 압축이상재의 화학적 특징과 부후 저항성과의 관계

        강영규 ( Yeong Gyu Kang ),반세은 ( Se Eun Ban ),엄혜원 ( Hye Won Eom ),장혜민 ( Hye Min Jang ),최주영 ( Ju Yeong Choi ),김종식 ( Jong Sik Kim ) 한국목재공학회 2020 한국목재공학회 학술발표논문집 Vol.2020 No.1

        압축이상재(compression wood)는 경사지나 기울어서 생장한 침엽수의 줄기에서 발달하는 이상 목재로 산세가 험한 우리나라의 산림에서 자라는 수목에서 흔히 발견된다. 일반적으로 압축이상재는 곧게 자란 정상재(normal wood)와 비교하여 해부학적, 화학적, 물리적으로 큰 차이를 나타내며 그 활용도가 낮다. 본 실험에서는 제한된 양의 국내 목재자원을 보다 효율적으로 이용하기 위한 연구의 일환으로 국내 자생의 곰솔과 소나무 압축이상재의 화학적 특징과 이와 연관된 부후 저항성을 조사하였다. 화학분석결과 곰솔과 소나무 압축이상재는 곧게 자란 정상재의 변재, 심재, 대응재(opposite wood)에 비해 높은 리그닌(lignin) 및 갈락탄(galactan) 함량을 나타내었다. 반대로 글루칸(glucan) 및 만난(mannan) 함량은 정상재에 비해 낮은 수치를 보였다. 유기용매 추출물의 경우 소나무 압축이상재는 정상재의 변재에 비해 뚜렷이 높은 수치를 보였으나 곰솔 압축이상재는 유사한 수치를 나타내었다. 백색부후균인 구름버섯(Trametes versicolor )에 대한 부후 저항성은 두 수종 모두에서 정상재의 변재, 심재, 대응재보다 높았다. 이 같은 결과는 압축이상재의 높은 리그닌 함량과 뚜렷한 관련성을 보였다. 유기용매 추출물 함량과 부후 저항성과의 연관성은 소나무에서만 일부 확인되었다. 결론적으로 압축이상재는 정상재과 비교하여 생물학적으로 차이를 보였으며 이는 압축이상재가 가지는 고유의 화학적 특성과 밀접히 연관이 된 것으로 사려 된다. 이는 목재자원으로서의 곰솔 및 소나무 압축이상재의 활용은 정상재와 차별성을 가지고 접근해야함을 시사하고 있다.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