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무료
      • 기관 내 무료
      • 유료
      • 중년남성이 지각하는 가족스트레스와 우울간의 관계에서 자아분화의 매개효과

        엄형준(Um, Hyung Jun),박은아(Park, Eun A) 한국부부가족상담연구학회 2021 부부가족상담연구 Vol.2 No.2

        본 연구는 중년남성이 지각하는 가족스트레스와 우울의 관계를 알고, 그들이 지각하는 가족스트레스와 우울의 관계에서 자아분화의 매개효과를 검증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이를 위해 부산, 서울, 기타지역에 거주하는 중년남성을 대상으로, 가족스트레스, 우울, 자아분화에 대하여 설문조사를 실시하였고, 그 중에 372부의 설문지가 분석에 사용되었다. 자료의 통계분석은 SPSS for Window 22.0 프로그램으로 Baron과 Kenney(1986)의 매개효과 분석 방법을 적용하였고, 매개효과의 통계적 유의성 검증을 위하여 Hayes의 Process macro를 이용하여 Bootstrapping 검증을 실시하였다. 본 연구의 결과는 첫째, 중년남성이 지각하는 가족스트레스는 우울과 정적상관이 있는 것으로 나타났고, 자아분화와는 부적상관이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그리고 자아분화와 우울은 유의한 부적 상관관계로 나타났다. 둘째, 중년남성이 지각하는 가족스트레스는 우울에 직접적인 영향을 주기도 하고, 자아분화를 부분매개로 하여 우울에 간접적으로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다. 이러한 결과는 중년남성이 지각하는 가족스트레스가 자아분화를 매개로 하여 우울로 가는 경로를 보여주며, 중년남성의 우울을 낮추는데 있어서 가족스트레스의 해결 뿐 아니라 자아분화 수준 향상도 중요함을 시사한다. 끝으로, 본 연구의 제한점과 후속 연구에 관한 제언을 논하였다.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investigate the mediation effects of Differentiation of self on the relationship between Family Stress and Depression perceived by Middle-aged men. The subjects in this study were 413 middle-aged men residing in Busan, Seoul, and other cities in South Korea. After a survey was conducted, the answer sheets from 372 respondents were analyzed. The findings of this study were as follows: First, Family Stress had a positive correlation with Depression and had a negative correlation with differentiation of self; differentiation of self was negatively correlated with Depression. Second, there was a partial mediation effect of differentiation of self on the relationship between Family Stress and Depression in the participants. The results show the path of family stress perceived by middle-aged men to depression through differentiation of self, suggesting that it is important not only to solve family stress but also to improve the level of differentiation of self in lowering depression in middle-aged men. Finally, the limitations of this study and suggestions for future studies were discussed.

      • 키워드 네트워크 분석을 활용한 부모 교육 연구동향 분석

        이경주(Kyung-Joo Lee),조영애(Young-Ae Cho),엄형준(Hyung-Jun Um) 한국부부가족상담연구학회 2022 부부가족상담연구 Vol.3 No.2

        본 연구는 빅데이터를 활용한 키워드 네트워크 분석을 통해 부모 교육의 연구동향을 살펴보는 데 목적이 있다. 이를 위해 2012년-2021년에 발표된 부모 교육과 관련된 KCI 등재(후보) 학술지 논문 452편 중에서 교육정책 관련 논문과 중복 기재된 연구 26편을 제외한 총 426편의 자료를 분석 대상으로 선정하였고, 키워드 827개를 추출했다. Textom과 UCINET 6을 활용하여 단어 출현 빈도를 분석하고 네트워크를 시각화하였다. 연구결과는 다음과 같다. 전체 네트워크의 연결중심성 분석과 매개 중심성을 바탕으로 키워드 네트워크에서 분석된 키워드들은 프로그램, 어머니, 부모, 개발 등이 상위에 있었으며, 이 키워드들을 중심으로 대부분 서로 연결되어 있어, 부모 교육과 연구 변인들은 연관성이 높은 것으로 나타났다. 마지막으로 구조적 등위성 분석을 위한 CONCOR 분석 결과 관심 대상, 대상자의 경험요인, 프로그램 개발과 효과 검증 변인, 관련 변인으로 4개의 하위집단으로 형성되었다. 본 연구결과를 바탕으로 하여 후속 연구에 대한 제언과 시사점을 논하였다.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examine the research trends of parent education through keyword network analysis using big data. To this end, a total of 426 articles in KCI-listed (candidate) academic journals related to parental education published in 2012-2021 were selected for analysis, and 827 keywords were extracted. Using Textom and UCINET 6, the frequency of word appearance was analyzed and the network was visualized. Based on the results of this study, suggestions and implications for subsequent studies were discussed.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