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무료
      • 기관 내 무료
      • 유료
      • KCI등재

        팬데믹 시대 북한이탈주민 자녀의 교육격차에 관한 연구: 통일전담교육사와의 심층 인터뷰를 중심으로

        엄현숙 ( Oum Hyunsuk ),김향춘 ( Kim Hangchoon ),윤철기 ( Yoon Cheol Gee ) 서울교육대학교 초등교육연구원 2021 한국초등교육 Vol.32 No.4

        이 연구는 북한이탈주민 자녀의 교육격차 문제를 통일전담교육사의 역할을 중심으로 살펴본 것이다. 팬데믹으로 인한 충격은 모두가 받았으나 코로나(COVID-19) 바이러스는 결코 평등하지 않았다. 팬데믹은 개인의 숙련과 돌봄, 관계의 차원에서 사회적 위험을 증가시켰다. 이에 본 연구는 북한이탈주민 학부모 역할의 한계, 열악한 가정 내 교육환경, 제3국 출생 자녀의 언어문제를 중심으로 북한이탈주민 자녀의 교육격차에 대하여 살펴보았다. 이 연구를 통해 북한이탈주민 자녀의 교육격차 해소에 현실적 도움을 제공하는 통일전담교육사의 중요성도 확인할 수 있다. 분석한 내용을 바탕으로 이 연구는 북한이탈주민 자녀의 교육격차 해소를 위한 정책적 방안을 제시하였다. This study examined the educational gap between the children of North Korean defectors, focusing on the role of exclusive educator for unification. Everyone was shocked by COVID-19, but the coronavirus was never equal. This study examined the educational gap between children from North Korean defector families, focusing on the limitations of the role of parents, poor educational environment in families, and language problems of children born in third countries. This study was able to confirm the importance of exclusive educator for unification who provide practical support for bridging the educational gap between children of North Korean defectors in the COVID-19 era. Based on the analysis, this study suggested policy measures to bridge the educational gap between children of North Korean defectors.

      • KCI등재

        간접 경험을 통한 대학생의 북한 인식 연구

        엄현숙 ( Hyunsuk Oum ) 연세대학교 통일연구원 2021 통일연구 Vol.25 No.1

        이 연구는 북한 사회를 간접적으로 경험한 대학생이 북한에 대해 어떻게 인식하고 남북한 통일을 위해 무엇을 고민하고 있는가를 분석한 것이다. 본 연구의 대상은 통일교육 선도대학으로 지정되지 아니 한 서울 소재 K대학 북한 관련 교양과목을 수강하는 학생들이 제출한 결과물이다. 이 결과물은 다큐 ‘태양 아래’를 시청한 후 작성된 것이며 본 연구는 이를 토대로 시도된 정성적, 주관적 평가이다. 이 연구는 초등학교로부터 대학교육에 이르기까지 정규교육과 가정, 지역사회 등을 통해 간접적으로 북한을 경험한 대학생의 인식을 보여준다. 북한에 대한 인식의 특징은 첫째, 북한이 아닌 남북한의 통일에 대해서만 배웠거나 둘째, 뻔한 이야기이거나 셋째, 북한에 대한 부정적인 경험이다. 결과 북한에 대한 온전한 이해는 적대국이거나 가난한 국가로 인식되는 순간 불가능하다는 점을 확인할 수 있었다. 이 연구는 여러 한계에도 불구하고 북한 사회에 대한 간접 접촉이 대학생의 북한 인식 변화에 어떠한 영향을 줄 수 있는가를 관찰하고 이를 분석하였다는 점에서 의미가 있다. The study analyzes how college students who indirectly contacted North Korean society perceive North Korea and what they are thinking about for the reunification of the two Koreas. The subjects of this study are the results submitted by students taking liberal arts courses related to North Korea at K University in Seoul, which is not designated as a leading unification education university. The results were produced after watching the documentary ‘Under the Sun’ and the study was based on qualitative and subjective evaluation. The study shows the perception of university students who have experienced North Korea indirectly through formal education, families and communities, from elementary school to university education. The characteristics of the perception of North Korea are first, learning only about the reunification of the two Koreas, not North Korea, or second, a predictable stories, or third, a negative story about North Korea. As a result, a complete understanding of North Korea was confirmed to be impossible as soon as it was recognized as a hostile country or a poor country. This research is meaningful in that it observed and analyzed the implications of indirect contact with North Korean society for university students’ perception of North Korea despite its various limitations.

      • KCI등재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