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무료
      • 기관 내 무료
      • 유료
      • KCI등재

        Characteristics of Word Categorization in Children with High-Functioning Autism

        엄세미(Semi Um),고선희(Sunhee Ko),황민아(Mina Hwang) 한국언어청각임상학회 2013 Communication Sciences and Disorders Vol.18 No.4

        배경 및 목적: 범주화는 여러 대상들의 공통적인 특성을 파악하여 분류하는 것으로 의미적인 정보를 통합하여 처리하는 능력이 요구된다. 또한 범주화는 단어를 효율적으로 저장하고 산출할 수 있게 하며, 새로운 대상에 대한 추론에도 도움을 준다. 본 연구에서는 고기능 자폐아동과 일반아동에게 범주화 과제를 실시함으로써 고기능 자폐아동의 의미적 정보 처리 특성을 알아보고자 하였다. 방법: 초등학교 1-3학년 고기능 자폐아동 12명과 생활연령, 지능수준 및 언어능력을 일치시킨 일반아동 12명을 대상으로 하였고 이들에게 지각적-주제적 범주 조건 및 지각적-분류적 범주 조건으로 구성된 범주화 선호도 과제와 범주화 이해 과제를 실시하였다. 결과: 고기능 자폐아동은 범주화 선호도 과제에서 일반아동에 비해 주제적 또는 분류적 범주화보다 지각적 범주화를 유의하게 선호하는 것으로 나타났고 범주화 이해 과제에서는 유의미한 차이가 없는 것으로 나타났다. 논의 및 결론: 이 같은 결과는 고기능 자폐아동들이 높은 수준의 범주화 기술을 습득하지 못했기 때문이 아니라 지각적인 처리를 의미적인 처리보다 우선적으로 사용하는 이들의 정보처리 특성이 반영된 결과로 해석할 수 있다. 본 연구는 고기능 자폐아동들의 정보처리 특성이 언어 과제 수행에 영향을 미친다는 사실을 확인했다는 점에서 의의가 있다. Objectives: Categorization is identifying and classifying the common features of different objects, which is required to integrate and to process semantic features. It can also help to store and to retrieve words efficiently, and to infer new objects.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find the characteristics of semantic information process in high-functioning autism by using categorization preference task and categorization understanding task. Methods: The participants were 12 children with high-functioning autism from the 1st grade to the 3rd grade of elementary school and 12 typically developing children with matching chronological age, IQ, and language level. Children performed categorization preference task and understanding task which composed of perceptual-thematic category conditions and perceptual- taxonomic category conditions. The differences between the groups and conditions were being compared. Results: In the categorization preference task, children with high-functioning autism showed significantly strong preference for perceptual categorization over thematic and taxonomic categorizations as compared with typically developing children. In the categorization understanding task, both the children with high-functioning autism and the typically developing children revealed high performances, and there were no significant differences according to the groups and conditions. Conclusion: The results of this study demonstrated that children with high-functioning autism relied on perceptual characteristics although they have high-levels of knowledge on categorization. These results also suggested that characteristics of information process in children with highfunctioning autism could influence the performance of language tasks.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