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무료
      • 기관 내 무료
      • 유료
      • KCI등재

        반려동물과의 상호작용이 반려인의 자아존중감과 주관적 행복감에 미치는 영향에 관한 연구

        엄선이(Seon Lee Um),조동혁(Dong Hyuk Jo) 글로벌경영학회 2023 글로벌경영학회지 Vol.20 No.1

        현대사회에 사회적 현상으로 1인 가구, 저출산, 고령화 등의 이유로 반려동물이 인생의 동반자나 가족으로 점차 인식되어 가고 또한 가족의 구조변화로 소통의 기회가 줄어들어 고립감이나 소외감을 느끼는 사람들이 많아지고 있다. 시대의 변화와 함께 반려동물 양육 가구는 점차 증가 되어서 2021년 기준 10가구 중 3가구로 606만 가구에 달하고 있다. 이제 반려동물은 가족의 구성원으로 자연스럽게 자리매김 하고 있는것을 알 수 있다. 이에 본 연구는 반려동물과 상호작용이 자아존중감과 주관적 행복에 미치는 영향의 관계를 검증하고자 한다. 이를 위해 문헌 연구를 바탕으로 연구가설 및 설문을 개발하고, 반려동물을 양육하는 성인 남녀를 대상으로 설문을 실시하여 총 189부의 자료를 수집하고, 이를 통계적으로 분석하여 가설을 검증하였다. 연구결과 첫째, 상호작용, 자아존중감 및 주관적 행복감 간에는 정(+)적 상관관계가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둘째, 상호작용은 자아존중감에 긍정적인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다. 셋째, 상호작용은 주관적 행복감에 긍정적인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다. 넷째, 자아존중감은 주관적 행복감에 긍정적인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다. 마지막으로 상호작용은 자아존중감을 매개하여 주관적 행복감에 유의한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다. 본 연구를 통하여 반려동물과 상호작용이 반려인의 자아존중감과 주관적 행복감에 미치는 영향의 중요성을 확인함으로써 반려동물 양육을 위한 방향성을 제시하였다는 점을 본 연구의 의의라 할 수 있다. 이는 반려동물의 상호작용이 반려인의 삶에 있어서 동반자 역할의 중요성과 더불어 바람직한 반려동물의 양육은 인간의 전인적 발달과 주관적 행복감을 높이는데 기초자료를 제공할 수 있을 것이다. As a social phenomenon in modern society, companion animals are gradually recognized as life partners or family members due to single-person households, low birth rates, and aging.In particular, due to structural changes in the family, there are fewer opportunities for communication and more people feel isolated or alienated. Therefore, this study attempts to verify the relationship between the effect of interaction with companion animals on self-esteem and subjective happiness. To this end, research hypotheses and surveys were developed based on literature research, and a total of 200 copies of data were collected and statistically analyzed to verify the hypothesis. As a result of the study, first, it was found that there was a correlation between interaction, self-esteem, and subjective happiness. Second, interaction and self-esteem were found to have a positive effect. Third, it was found that interaction had a positive effect on subjective happiness Fourth, it was found that self-esteem had a positive effect on subjective happiness. Finally, interaction has a significant effect on subjective happiness by mediating self-esteem. Through this study, the significance of this study was that the direction for the friendliness of raising companion animals was suggested by confirming the importance of the effect of interaction with companion animals on their self-esteem and subjective happiness. This will provide basic data on the importance of companion animal interaction as well as the importance of companion role in the life of companion animals, and the raising of desirable companion animals can increase human overall development and subjective happiness.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