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무료
      • 기관 내 무료
      • 유료
      • 금자란 복원을 위한 자생지내 식물 도입에 관한 연구

        박정근 ( Jeong Geun Park ),김경림 ( Gyeong Rim Kim ),양형호 ( Hyeong Ho Yang ),신재권 ( Jae Gwon Shin ),권혜진 ( Hye Jin Kwon ),김성식 ( Sung Sik Kim ),손성원 ( Sung Won Son ) 한국임학회 2014 산림과학 공동학술대회 논문집 Vol.2014 No.-

        최근 뛰어난 관상가치 및 특이적 생육 형태로 남획이 급격히 이루어지면서 국내 멸절 위기에 처한 금자란 복원을 위한 자생지 내 도입 실험을 수행하였다. 도입에 이용된 식물들은 제주도에 생육하는 야생 개체에서 성숙한 종자를 직접 채취하여 기내배양에 의한 대량증식한 개체들이며 계대배양과 순화작업을 거친 3년생 개체들을 이용하였다. 복원대상지는 과거 자생 기록이 있었지만 지금은 찾아볼 수 없는 한라산 해발 600-700m의 활엽수와 상록수의 혼효림의 일부 계곡주위로 선정하였다. 금자란의 적절한 생육 환경 특성을 파악하고자 착생목의 수종, 흉고직경, 높이 및 방위을 고려하여 도입하였으며 기근의 원활한 활착을 위해 스템플러를 이용하여 식물체를 직접 부착하였다. 식물도입 후 200일이 지난 뒤 1차 생존율을 조사한 결과 전체 108개체 중 29개체(26.9%)가 생존하고 있었다. 계곡방향에 부착한 76개체중 24개체(31.6%), 계곡반대방향은 32개체중 5개체(15.6%)가 생존하였다. 높이별로는 4-10m에 부착한 48개체 중 14개체(29.2%), 0.8-2m에 60개체중 15개체(25.0%)가 생존하였다. Spearman의 방법을 이용한 변이요인간의 상관관계를 분석한 결과 흉고직경과 생존율간의 양의 상관관계가 나타났다. Plant introduction study of Saccolabium matsuran that is rare species in Korea due to the overhunting by human activity was carried out for the habitat restoration. Introduced individuals was 3-year-old after in vitro massive propagation using wild seeds collected in habitat. Plant introduction target area was located at an elevation of 600-700m and mixed forest near the valley. This regions was known as a past habitat of S. matsuran but not now. In order to understand the habitat characteristics of S. matsuran, individuals was introduced in consideration of an epiphytic trees, D.B.H., Height and bering and using stapler due to the smoothy aerial roots insertion. As a result of first monitoring, 29 (26.9%) of a total 108 individuals were survived after seedling introduction. In valley direction, 24 (31.6%) of a total 76 individuals were survived and 5 (15.6%) of a total 32 individuals were survived in forest direction. Depending on the height, 14 (29.2%) of a total 48 individuals were survived in 4-10m height and 15 (25.0%) of a total 15 individuals were survived in 0.8-2m height. As a result of correlation analysis using the Spearman method of analysis, DBH and survival rate have strongly positive correlation.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