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무료
      • 기관 내 무료
      • 유료
      • KCI등재

        경전(經典)의 탄생(誕生) -호적(胡適)의 『선진명학사(先秦名學史)』와 『중국철학사대강(中國哲學史大綱)』 상권(卷上)

        양태근 ( Yang Tae Keun ) 한국사상사학회 2019 韓國思想史學 Vol.0 No.61

        현대중국학술계의 탄생을 알린 호적(胡適)의 『중국철학사대강(中國哲學史大綱)』 상권(卷上)은 중국전통학문세계가 현대로 전환했음을 알린 저작이었다. 호적이 북경대 교수로 부임하며 깃발을 높이 들었던 신문학, 신청년, 신학문, 심지어 5『4운동과 신문화운동 같은 개혁의 목소리는 당시 전통 학술계와 끊임없는 사상적 충돌을 가져왔을 뿐만 아니라 1920~30년대 보수파와의 다양한 논전 역시 겪게 된다. 1920~30년대 호적은 유럽과 미국학술교육체계를 바탕으로 중국학술계와 교육체계를 새롭게 구성하는데 가장 큰 영향력을 행사하면서 당시 일종의 「문화권력」 지위를 가지고 있었기 때문에 보수파와의 논전과 다양한 충돌 역시 이에 대한 반발이었을 수 있음에 주목해보면 이것이 일종의 담론투쟁일 수 있음을 알 수 있다. 또한 호적은 일관되게 개인주의와 자유주의를 주장하면서 중국과 대만의 공산당과 국민당 독재 통치기간 동안 특히 1980년대 까지도 다양한 비판과 폄하운동을 겪기도 하였다. 이러한 호적의 사상과 저작들이 가지는 상징성 때문에 『중국철학사대강(상권)』의 시대적 의미를 찾아보는 것이야 말로 중국현대사상과 학술계의 모습을 온전히 이해하는데 가장 중요한 그리고 적절한 연구 주제임은 의심의 여지가 없을 것이다. 당시 모든 학술계가 싫든 좋든 언급할 수밖에 없던 저작이자 기존의 연구 태도와 방법을 일거에 현대적 서구적 연구체제로 바꾸어 버린 시대적 상징의의는 그 어떤 저작도 따라갈 수 없기 때문이다. 호적은 옳고 그름이 중요한 것이 아니라 용기 있게 자신이 연구한 바를 솔직 담백하게 이야기 할 수 있는 연구를 주장했을 뿐만 아니라 그 연구과정이 사회와 개인에게 가져다주는 다양한 상호 영향이 중요하다고 강조했다. 이러한 상호작용과 이에 대한 중시가 바로 호적의 저작이 자유주의 상징으로서 여전히 중국에서 생명력을 가질 수 있는 중요한 이유일 것이다. 호적의 『중국철학사대강(상권)』이 1919년에 출간되었으니 이제 100년의 시간이 지났다. 과연 현재 중국학술계는 얼마나 솔직히 연구하고 자신들의 중국사회와 다양한 상호 영향에 주목하고 있을까? 제도가 생긴 이후에 멈출 줄 알아야 비로소 위태롭지 않다고 했다. 중국의 현재는 과연 어디쯤 있을까? 1919년 5·4 운동 역시 이 100년을 바라보고 있다. 지금 중국에선 영원한 자유주의자 호적의 평가와 연구는 과연 어떤 시대적 의미를 가지고 있을까? 우리가 호적의 저작에 여전히 주목해야 하는 이유가 여기에 있겠다. Hu Shih's “An Outline of The Chinese Philosophy" was the paradigm shifting and revolutionary text to lead the new era to transform traditional Chinese academia into one of accepting the modern western academic standards, also announcing the birth of Chinese Philosophy History as an academic discipline. When 26 years old Hu Shih was appointed as a professor of the Beijing University at 1917, raised the banner of New Literature, New Youth and New Academia, he eventually was becoming one of the main promoters and leaders of the May Fourth Movement and the New Culture Movement. During 1920 to 1930, Hu Shih was one of the most significant cultural, academic leaders and powers, but also a target who was fiercely attacked by Chinese modern conservatives. Because Hu Shih was the promoter of the ideal “Democracy and Science” and pursued “Individualism” and “Liberalism” in the politic area, he was constantly denounced and attacked by various criticisms and defamation campaigns under the ruling of Kuomintang or Communist Party's dictatorship respectfully in mainland China and Taiwan until the 1980s. As Hu Shih’s ideology and writings have such symbolic meaning, there is no doubt that it is one of the most important and relevant research topics to study on the Hu Shih’s “An Outline of The Chinese Philosophy" to fully understand the modern Chinese philosophy academic discipline. During that time, related all academic field had no choice but to mention about Hu Shih’s “An Outline of The Chinese Philosophy" as it changed the existing traditional research method into the modernized western research system at once and no other works could keep up with the symbolic meaning that his work had. Hu Shih's “An Outline of The Chinese Philosophy" was published in 1919 and his writings always emphasized positive influences on the individuals and societies. His works addressed that it is important to propose the research to speak openly, frankly and freely regardless whether it is right or wrong, only if with patience and sincerity which he always emphasized his research method like “Bold Hypothesis and Careful Verification". As Hu Shih quoted Lao Zi, after the establishment of the system “When they know to rest in it, they can be free from all risk of failure and error”, if we looked inside China after the establishment of the Communist Party and PRC's extraordinary economic developments and its achievements, now where China rested in it now! What Hu Shih had achieved in his academic, cultural and political life was the tools for social impact and reformation for the higher good. We should understand that the importance of the various interactions and communications, how these processes bring to individuals, researchers, and societies positive impacts for the higher good, at the same time we should notice what kind of impacts of these processes will bring to the audience and further future studies. That's why we still need to review Hu Shih's astonishing academic works, through microscopic research we could grasp two related and progressed sibling works, which were “The Development of The Logical Method in Ancient China" and “An Outline of The Chinese Philosophy", real meaning of social and academic impact on the May Fourth Movement and New Culture Movement

      • KCI등재

        `운동과 현장으로서의 대만문학사` 고찰

        양태근 ( Yang Tae-keun ) 연세대학교 국학연구원 2016 동방학지 Vol.177 No.-

        `대만문학사`가 가지는 이른바 대만민족 건설과 같은 정치적, 문화적 문제의식을 둘러싸고 본고에서는 `대만문학사`를 사회운동과 문학사 서사의 현장이라는 시각으로 그 진로에 대해 짚어보려고 한다. 우선 본 논문에서는 운동으로서의 대만문학사를 1) 대만문학사 담론투쟁, 2) 대만문학사와 국가체제화라는 과정에 주목하면서 논의를 진행하려고 한다. 담론투쟁과 국가체제로의 편입을 추진하는 일관된 노력을 `운동으로서의 대만문학사`라고 본다면 `현장으로서의 대만문학사`라는 관점은 바로 대만문학사 서술 자체에서 보이는 구체적인 선택과 배제의 과정이 모두 실제로는 서사로서의 대만문학사가 구성되고 형성되는 전체의 일부분임에 주목한 것이다. 이러한 선택과 배제, 충돌과 서사의 일부분을 포착하여 향후 이와 같은 시각으로 대만문학 연구가 가능할 것임을 제안하려고 한다. `대만문학사`는 일종의 사회문화운동으로서의 가능성과 정치성을 보여주고 있을 뿐만 아니라 현실 정치와 민족, 역사 등의 끊임없는 참여자들이 함께 서사를 만들어 가고 있는 현장이기도 하다. 이 열려있는 현장이면서 운동의 장소인`대만문학사` 관련 논의를 통해 우리는 문학과 문학사 연구가 가지는 의미들에 대해 좀 더 구체적이고 다양한 의미를 발견할 수 있을 것이다. First of all, this paper focuses on 1) Taiwanese literary history discourse struggle, 2) Taiwanese literary history nationalization, and tries to grasp Taiwanese literature history through the perspective of Taiwanese literary history as social movement. If these consistent efforts to promote the discourse struggle and its incorporation into the national system is regarded as the `Taiwanese literary history as a social movement`, then the viewpoint of `Taiwanese literary history as a field and scene` can be regarded as the actual selection and exclusion process of Taiwanese literary history itself and also It is noted that Taiwanese literary history is the grand part of the whole diverse discourse struggle that is composed and formed in Taiwan until now. I would like to suggest that Taiwanese literature research will be possible in the future by capturing a part of these choices and exclusions, clashes and narratives. `Taiwanese Literature History` not only shows the possibilities as a kind of social and cultural movement, but also an open place where the constant participants of real politics, ethnicity and history are making narrative together. Through this debate on the open field and the place of the movement, `Taiwanese Literature History`, we can find more concrete and diverse meanings of literary and literary history research meanings. Through these discussions, we will be able to grasp the more specific meaning of literature research and literature history, and find the direction of the new `Taiwanese literature history` as the field and scenes of discourse struggle and social movement of Taiwanese literary history narrative.

      • KCI등재
      • KCI등재

        1970년대 대만 ‘향토문학(鄉土文學)'의 중층적 의의 구조를 통해 본 포스트 현대(後現代)와 포스트 식민(後殖民)

        양태근 ( Yang Tae Keun ) 한림대학교 일본학연구소 2021 翰林日本學 Vol.- No.39

        서로 다른 이해의 공간 컨텍스트(context) 아래에서 과연 이해한다는 것, 1930년대 『중국철학사』 심사에서도 등장했던 陳寅恪 의 '동정적 이해(理解之同情)'는 가능할까? 우리는 과연 대만이라는 일본의 식민지배와 국민당(KMT) 독재 통치하에서 성장한 역사, 문화 그리고 문학 공간에서 '정체성(identity)'을 찾아가려는 그들의 기나긴 노력을 제대로 이해할 수 있을까? 이러한 문제의식에도 불구하고 우리가 할 수 있는 것은 더욱 깊이 더욱 자세히 문제의 본질에 다가가려고 노력하는 것이며 그 과정에서 조금이나마 연구자인 우리의 노력이 한국 사회에서도 대만에 대한 진정한 이해를 조금은 돕게 될 것이라고 희망하는 것뿐일지도 모른다. 본 논문은 대만 문학 세계의 가장 중요한 이론적 충돌의 발화지점이라고 할 수 있는 1970년대 '향토문학' 논전 전후 드러나는 독특한 중층적 언어지표와 언어상징 구조를 자세하게 들여다보려고 한다. 특히 '향토문학' 관련 논전이 가지는 1930년대 일본 식민지배와 저항으로서의 탈식민(de-colonization) 그리고 1960~70년대 새롭게 제기된 모더니티 현대주의 문학과 이에 대한 현실주의 리얼리즘의 비판 그리고 이러한 중층적 의의 속에서 포스트 모더니티를 향한 '대만문학'의 가능성을 추적해보려고 한다. 또한 '향토문학논전'의 참여자들이 보여주는 복잡한 관계들의 문학사적 맥락에 주의하면서 대만문학의 일본 식민지배 시기 추구했던 탈식민 전통이 1970년대 '향토문학'과 어떠한 관계를 맺고 향후 '일본 신식민지배'에 대해 어떻게 포스트 현대와 포스트 식민을 향해 나아가는지 등의 문제들에 대해 그 이론적 지형을 확인해 볼 것이다. 이러한 접근을 통해 다른 문학적 상상과 목소리를 가지고 있는 '대만문학'의 정체성은 어디를 향해 가고 있는지를 이해할 수 있기를 바라며 또한, 동정적 이해가 조금이나마 가능하기를 바라본다. Is Chen Yin Ke 's idea roughly translated as 'understanding of compassion' appearing in the review report of the first volume of Feng You Lan's History of Chinese Philosophy in the 1930s still valid in different academic or cultural field contexts? Can we rationally, emotionally, or partially understand how important Taiwan's persistent endeavor is to find its own identity in the historical, cultural, and literary sphere that has grown up under the Japanese colonization and the Kuomintang dictatorship for a long time? Despite the awareness of this issue, maybe all we can do is get closer to the essence in a deeper and more detailed approach. In the process, we hope that our efforts and intentions as researchers can help Korean academic society a compassionate understanding of Taiwan identity pursuing and its difficult situation. This thesis attempts to grasp the unique multi-level linguistic indicators and language code structures that emerged before and after the Taiwan Nativist Literature debate in the 1970s. This debate can be the Taiwan literature core discourse struggles expanded to the cultural, social, and political levels and became the fuse of literary theoretical conflict. We should pay attention that the Japanese colonialism and de-colonization discourses in the Taiwan Nativist Literature debate in the 1930s were not only activated realistic criticisms to modernism in the 1960s but even in the literary and historical context of the complicated relationships shown by the participants of the Taiwan Nativist Literature debate in the 1970s. The tradition of de-colonization pursued by Taiwanese literature during the Japanese colonial period in the 1930s and the Taiwan Nativist Literature debate of the 1970s intricate complicate relations the multi-layered interpretative discourse struggles and theoretical conflicts between Taiwanese nationalism, left-wing nationalism, and right-wing nationalism directly affected whether Taiwan corrupted by the neo-colonial rule of the United States and Japan in the 1970s. With this self-reflection, these fierce debates and arguments have conducted a very rigorous test on how Taiwan literature and culture will move towards postmodernity and overcome postcolonialism in the future. Through this comprehensive understanding, surrounding the three main participants, Yeh Shyr-Tau, Chen Yingzhen, and Yu Guangzhong, we will hope that Korean academic circles can also be understanding with compassion the identity of Taiwan Literature, which has a different literary imagination and voice.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