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무료
      • 기관 내 무료
      • 유료
      • KCI등재

        로고 브랜드의 생성과 신경미학에 관한 연구

        양서윤(Seo Yoon Yang) 한국디자인문화학회 2012 한국디자인문화학회지 Vol.18 No.2

        게슈탈트 현상은 「형상-배경(Figure-Ground)」의 상호작용이 잠재에너지에서 현세에너지로 전환할 때, 공명되는 미적 쾌감 창발이다. 대뇌 인터페이스의 재인지 미감은 도파민 창발(Dopaminergic)의 생물학적 유전자코드와 기술의 디지털코드에 의해 생성되는 초파리의 시신경 속도 같은 연속적 정체성(Temporal Identity)을 발화시킴으로써, 대뇌의 보상체계와 인류의 유연한 창조력을 진화시켜 왔다는 것이 본 연구의 신경미학에 대한 견해이다. 신경미학은 이전의 ``형태는 기능에 의해 생성``된다는개념에서, 형태는 그 자체로서의 생물이며, 그래픽 게슈탈트의 형성(Morphogenesis)은 전자기적 광학 또는 살아있는 형태(Animate Form)인 유기체의 「속도체계(Timing Mechanism)」로 연출되고 있다는 것이다. 대뇌 도파민 에너지는 신경미학의 여러 문법을 통하여 전자 인터페이스 환경에서도 착시교정과 형질열화현상, 게슈탈트 붕괴 등의 광학적 비트확장에 의한 재인지 인으로 작용한다. 대뇌 보상체계 극대화를 통하여 전자시장의 브랜드 그래픽의 가독성 극대화를 생성, 창발하는 신경미학 모델을 제시함으로써, 미래의 로고 브랜드로 대표되는 GUI 디자인의 기호 통합이 더는 정보가 아니라 가치, 의미, 은유를 생성하는데 핵심적인 역할을 하고 있다는 원래의 조형성을 확인하고자 한다. Gestalt phenomenon is aesthetic pleasure creation when the interaction of ``figure-ground`` is converted from latent energy into secular energy. The new understanding of aesthetic sense of cerebral interface has been evolving the compensating system and the flexible creativity of mankind by igniting the temporal identity like the optic nerve speed of the vinegar fly that is formed by biological genetic code of dopaminergic emergence and the digital code of technology, and this is the view of this study on neuroaesthetics. Neuroaesthetics acts as confirmation of new understanding by optical bit extension such as correction of optical illusion, trait deterioration, and collapse of Gestalt even in the electronic interface environment as prior ``shapes are formed by functions.`` In the concept of becoming future logo brand by presenting neuroaesthetics model that forms and creates the maximization of readability of brand graphic of the electronics market through the maximization of cerebral compensating system, the form is a living thing in itself, and the morphogenesis of graphic gestalt is performed as timing mechanism of organism, the electromagnetic optics or animate form Cerebral dopaminergic energy confirms the original formativeness that the code integration of GUI design represented through various grammars of neuroaesthetics is no longer the information but plays a key role in forming value, meanings, and metaphor. So this study requires GUI gestalt process grammar where literal gestalt position in the electronic interface environment broadband, minimum, absence of gravity, multiplex, multi-sidedness, visual sampling ``optical figure-figure`` blurred zone are applied in various environment. Gestalt, the topology of the interface environment and the network of dopaminergic energy are confirmed by conducting case study on the logo brands such as cell phones, Nokia and Cyon, that can be called the flower of the electronics market and algorithm such as pixel numerical analysis, computer aesthetics, shock scaffold and applying various factors of neuroaesthetics.

      • 머신러닝을 이용한 페트병 분리수거 장치 설계 및 구현

        김예린(Ye-rin Kim),양서윤(Seo-yoon Yang),문희원(Hee-won Moon),한나경(Na-gyung Han),김예진(Ye-jin Kim) 한국정보통신학회 2023 한국정보통신학회 종합학술대회 논문집 Vol.27 No.1

        본 논문에서는 구글 티처블머신을 이용한 페트병 분리수거 유도 및 보상 시스템을 설계·제작하였다. 설계된 시스템은 영상 검출부, 제어부, 음성출력부 및 사용자 인식부로 구성된다. 영상 검출부는 머신러닝 카메라를 이용하여 페트병을 감지해 라벨과 뚜껑 유무를 검출한다. 검출된 결과가 특정 기준범위를 벗어난 경우 그 결과를 아두이노를 이용한 제어부에 전송한다. 제어부에서는 검출부로부터 전달 받은 결괏값에 따라서 수거함의 입구를 서보모터를 이용하여 개폐한다. 또한, 음성 출력부를 제어하고 사용자 인식부에 통보하는 기능도 수행한다. 사용자 인식부에서는 NFC카드를 통해 사용자를 인식하여 포인트가 적립되도록 하였다. 이를 통해 사용자들의 적극적인 분리수거가 유도되기를 기대한다. In this paper, a separate collection guidance and compensation system for PET bottles using Google Teachable Machine was designed and produced. The designed system consists of an image detection unit, a control unit, an audio output unit, and a user recognition unit. The image detection unit uses a machine learning camera to detect PET bottles and detects the presence of labels and caps. If the detected result is out of a specific standard range, the result is transmitted to the control unit using Arduino. The control unit opens and closes the entrance of the collection box using a servo motor according to the result value received from the detection unit. It also controls the voice output unit and performs a function of notifying the user recognition unit. The user recognition unit recognizes the user through the NFC card so that points are accumulated. Through this, it is expected that users will be encouraged to actively separate collection.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