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무료
      • 기관 내 무료
      • 유료
      • KCI등재

        러시아 카바레와 미니어처 극장의 기원과 탄생 (2) 극장 〈박쥐〉와 〈휘어진 거울〉을 중심으로

        강수경(Kang Sukyung),양민종(Yang Minjong) 한국노어노문학회 2021 노어노문학 Vol.33 No.4

        본 연구는 20세기 초 러시아의 오락문화에 주목하면서 기획된 두 번째 논문이다. 본 논문에서는 1908년부터 1918년까지 약 10년간 러시아에서 불꽃 같은 삶을 살았던 카바레와 미니어처 극장의 미학적 특징과 문화사적 의미를 살펴보고자 했다. 이를 위해 본론 2장에서 러시아 최초의 카바레 극장인 모스크바의 〈박쥐〉를 중심으로 이 극장의 발전사를 살펴보며, 특별한 예술 장르로서의 카바레의 특징을 밝히고자 했다. 이어 본론 3장에서는 페테르부르크 최초의 카바레 극장이자 러시아 최초의 미니어처 극장 중 하나인 〈휘어진 거울〉을 중심으로 카바레가 미니어처 극장으로 발전하는 과정과 러시아 미니어처 극장의 예술적 특징을 살펴보았다. 우리는 본 연구에서 유럽에서 탄생한 카바레 극장이 러시아의 토양에서 미니어처 극장으로 발전해 온 독특한 여정을 관찰할 수 있었다. 또한 정전으로 여겨지던 모든 종류의 예술을 조롱하고 패러디하며, 새 시대에 맞는 새로운 예술 언어를 탐색하고자 한 예술가들의 열정과 그 열매를 살펴볼 수 있었다. 이를 통해 러시아 "은세기" 연극문화 속에서 발전해 온 카바레와 미니어처 극장이 당대 예술가들에게 창조적 영감을 불러일으켜 주었을 뿐만 아니라, 그 시대가 낳은 창조적이고 자유로운 사상이 이후의 러시아 연극사와 문화사에도 깊은 영향을 끼치고 있음을 확인할 수 있었다. This study is the second thesis designed while paying attention to the entertainment culture of Russia in the early 20th century. In this paper, we tried to examine the aesthetic characteristics and cultural historical significance of Cabaret and Miniature theater, which lived like a flame in Russia for about 10 years from 1908 to 1918. To this end, in Chapter 2 of this work, we tried to examine the development history of this theater, focusing on 〈Bat〉 in Moscow, Russia"s first cabaret theater, and to reveal the characteristics of cabaret as a special art genre. Next, Chapter 3 examines the process of cabaret development into miniature theaters and the artistic characteristics of Russian miniature theaters, focusing on 〈Bent Mirror〉, the first cabaret theater in Petersburg and one of the first miniature theaters in Russia. In this study, we were able to observe the unique journey of a cabaret theater, born in Europe, developing into a miniature theater by adding Russian cultural features. In addition, we could to see the fruits and passion of the artists who mocked and parodied all kinds of art that was considered a canon, and tried to explore a new artistic language suitable for the new era. Through this, we could realized that the cabaret and miniature theater, developed in the theater culture of the silver century of Russia, inspired creative inspiration to the artists of the time, and that the creative and free thoughts of the theater has a profound influence on today"s Russian theater history and cultural history.

      • KCI등재

        시베리아 샤머니즘인가, 아니면 엘리아데의 샤머니즘인가?

        양민종 ( Yang¸ Min-jong ) 배재대학교 한국-시베리아센터 2007 한국시베리아연구 Vol.11 No.1

        이 글의 목적은 엘리아데 샤머니즘이론이 시베리아샤머니즘 문화구조 해명에 부적절함을 지적하고, 대안적인 연구방법론을 제기하는 것이다. 우선, 서구연구자들 사이에서 전개되어온 샤머니즘개념에 대한 혼란스러운 이해의 양상들을 살펴본 뒤, 엘리아데 샤머니즘이론이 일종의 종교발생론과 관련된 구조주의적인 담론임을 설명하였다. 엘리아데의 샤머니즘이론 발표 이후 샤머니즘의 일반적인 개념이 이전보다 오히려 더 모호해지고, 시베리아샤머니즘연구가 범세계적인 샤머니즘 연구의 일부분화 된 원인으로 엘리아데 샤머니즘이론의 연구대상이 시베리아샤머니즘세계의 전반적인 문화가 아닌 ‘샤먼’과 인간의 ‘영적인 기술’의 발현양상에 국한되었기 때문으로 설명하였다. 기존 시베리아 샤머니즘연구와 엘리아데 샤머니즘의 연구대상이 ‘샤머니즘’이라는 용어만 동일할 뿐, 실제로는 서로 다른 영역을 연구대상으로 하고 있는 별개의 이론임을 구체적으로 지적한 것은 이 글의 독창성이라고 할 수 있다. 엘리아데 이론이 시베리아샤머니즘과 시베리아-동아시아 문화를 왜곡시킨 문제점을 갖고 있음에도 불구하고 엘리아데가 샤머니즘연구에 기여한 바를 구체적으로 설명하였고, 바람직한 샤머니즘세계의 문화연구를 위해 서사시와 신화를 비롯한 구비문학텍스트연구의 필요성을 대안으로 제시하였다. In this paper the author is trying to point out that 'the Eliade's well known theory on the Siberian Shamanism' does not actually reflect the essence of the siberian cultures and the siberian shamanisms. And the Eliade's Shamanism theory has little to do with any contribution to encourage to study the local cultures of the Siberia, because it implies that the Shamanism is not the typical culture of the Siberia but ‘an archaic form of the human spiritual techniques’. The author comments that Eliade's shamanism is not the theory that explains the nature of the Siberian Shamanism itself but a theory that explains an origin of human religious systems and spiritual techniques. Firstly, because the theory is not a structure of the siberian shamanisms but an attempt to extract an element of the siberian shamanisms. Secondly, it became the concept of the religious approach without the consideration of the cultural context of the Siberia. According to the author, after the publication of the Elide's Shamanism, 1951 in Paris, many of the western scholars in this field came to admit that the Shamanism is a human common religious heritage which happened to be found by westerners in the Siberia first but can be found in anyplace-else on the surface of the Earth. That is so-called 'the world-wide phenomenon of the Shamanism'. In this paper the author shows that the Eliade's shamanism is not the very study of the siberian culture and we need to discard the way of Eliade for the further cultural studies in the Siberian area. The possible way of studying the essence and history of the Siberian Shamanism would be the study of the historical facts of Sang Dynasty and the Ancient Korean Kingdoms. The study of Siberian and Eastern Asian Mythology would help to reconstruct the nature of the Siberian Shamanism and the societies of the ancient Eastern Asia.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