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무료
      • 기관 내 무료
      • 유료
      • KCI등재

        돈강 하류 코이수그 고분군 분묘 그룹의 문화 계통 -흑해 북안 순동기~청동기시대 초기 쿠르간 고분군 연구-

        야첸코 ( Yatsenko ) (재)동아시아문물연구학술재단 동아시아문물연구소 2011 文物硏究 Vol.- No.20

        본 논문은 코이수그 쿠르간 고분군 매장유구 그룹에 대한 것이다. 코이수그 고분군에 대한 분석과 과거 행해졌던 연구는 이 매장유구 그룹을 마이코프-노보스바보드넨스계인 세베르느이, 쿠모-만느치 계통에 포함시킨다. 매장의례의 통일성에도 불구하고 매장유구는 그룹 내부에서 두 개의 하부 구조로 나눠짐을 볼 수 있다. 적은 유구 수와 지역적 한계로 인하여 이러한 차이가 나는 원인을 규명하기 힘들다. 유구 편년에서 명확한 차이를 설정하는 것은 불가능하다. 단지 쿠르간 제 5호의 한 하부 그룹만 기원전 41세기 말 ~ 기원전 37세기 중반으로 편년할 수 있다. 두 하부 그룹 모두가 마이코프-노보스바보드넨스크계 프세쿠프형에 속하므로 이런 차이점이 서로 다른데 기원을 두었거나 다른 지역에서 이주로 인한 것이라고 단정지을 수 없다. 차이는 마이코프 매장의례 단계에 원인을 둘 수 있다. 어쩌면 마이코프 전통으로 의례를 행하는 것은 피장자의 높은 사회적 지위를 강조하는 것일 수도 있다. The article is devoted to the funeral groups of Koisug burial mound. The analyses of Koisug cemetery complex as well as publications of previous investigators lead us to the conclusion, that this group of burials belongs to northern (Kumo-Manych) of province of Maikop- Novosvobodnaya community. Though the unified burial ritual, there two separate subgroups of burials inside it were observed. It was difficult to define the reasons of clear-cut distinction between these two groups for the lack of complexes and their local phenomenon. It is practically impossible to define chronology disparity of these burial places. Only one subgroup of Barrow No5 in the time frame from the end of 41 till the middle of 37 BC can be dated. One shouldn't insist on different sources of influence or migration as both subgroups can be compared only to psecupskij variant of Maikop-Novosvobodnaya community. The reasons of distinction are only observed in the degree of conformity with Maikop funeral ceremony. In all probability, it was an observation of funeral rites in Maikop tradition that emphasizes on the high social status of the buried.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