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무료
      • 기관 내 무료
      • 유료
      • KCI등재

        예비부부 갈등해결을 위한 가족치료 사례연구

        안현아(Ahn, Hyun Ah),박태영(Park, Tai Young) 경성대학교 사회과학연구소 2015 社會科學硏究 Vol.31 No.4

        본 연구는 예비부부의 결혼 전 갈등에 대하여 가족생활주기 이론, Bowen의 가족체계 이론, MRI 모델을 적용하여 개입한 가족치료 단일사례를 질적으로 분석하여 예비부부의 갈등양상과 갈등유발요인, 치료자의 개입방법, 개입의 효과를 찾고자 하였다. 연구결과는 다음과 같다. 첫째, 예비부부의 갈등양상 및 유발요인으로는 역기능적 의사소통방식과 원가족요인이 나타났다. 둘째, 치료자의 개입방법으로는 직접적 갈등유발요인 통찰촉진, 간접적 갈등유발요인 통찰촉진, 그리고 새로운 의사소통방식 모색촉진이 나타났다. 셋째, 치료자의 개입에 의한 효과로서는 예비부부의 인지적 변화와 행동적 변화와 예비부부의 갈등이 완화되었다. 본 연구의 의의는 갈등이 있는 예비부부에 대한 가족치료의 맥락과 효과를 보여 주었다는데 있다. This study aims to find a premarital couple’s conflict symptoms and causal factors, a therapist’s intervention method, and the effectiveness of the intervention by investigating into a case to which family life cycle theory, Bowen’s family systems theory, and MRI’s communication model were employed. The findings of study suggest that the couple’s conflict symptoms and causal factors were communication method and family of origin factors. In addition, the therapist’s intervention method included helping gaining insight into direct and indirect causal factors of conflict, and promoting to seek new communication method. As the effectiveness of the intervention, the couple’s conflict was alleviated through both cognitive and behavioral changes in the couple. A major contribution of this research is that it analyzed a case that involved intervention to a couple’s conflict and revealed the context and the effectiveness of the therapy.

      • KCI등재

        교수지원 프로그램을 통한 역량기반 교육과정 개발이 대학생의 학업 성과에 미치는 효과 연구

        우정원(Jeong won Woo),박영신(Young shin Park),안현아(Hyun ah Ahn),김경이(Kyung yee Kim) 학습자중심교과교육학회 2017 학습자중심교과교육연구 Vol.17 No.2

        본 연구는 대학에서 교수지원 프로그램을 통해 개발된 역량기반 교육과정이 대학생의 역량과 학업성취에 미치는 효과를 확인하고자 수행되었다. C대학에서 시행되고 있는 역량기반 교과개발 교수지원 프로그램에 참여한 교수 11명과 역량기반 교과목 수강 학생 386명이 연구에 참여하였다. 2015년 2학기 교수지원 프로그램에 참여한 교수들은 하계방학 기간 동안 1인당 1 교과목에 대해 맞춤형 역량기반 교육과정 개발하여 2학기 한 학기동안 수업을 진행하였다. 해당 과목을 수강했던 학생들의 자료를 수집하여 결과를 분석하였다. 분석 결과, 학생들의 핵심역량이 수업을 들은 후 향상된 것으로 확인되었다. 또한 역량기반으로 개발된 과목을 들은 학생들은 이전 학기에 비해 개인의 학업 성취도의 향상도 확인되었다. 또한 학생들의 역량기반 과목에 대한 수업 만족도는 역량 과목 외 수강하고 있는 다른 수업들에 비해 뚜렷하게 높은 것으로 나타났다. 이러한 결과들은 프로그램에 참여했던 교수들이 가르친 역량기반 과목이 아닌 다른 수업의 학생들에게서까지 유사하게 나타났다. 본 연구의 결과는 대학에서 역량기반으로 개발된 교육과정은 대학생들의 역량과 학업성취에 직접적으로 영향을 미칠 가능성과, 교수지원 프로그램이 이를 실현하기 위한 하나의 방법이 될 수 있다고 제안하였다. The study was conducted to examine the effects of competency-based curriculum developed by individualized faculty development program on undergraduates’learning outcomes(core competency, academic achievement and class satisfaction). Total 11 faculties who applied for the program participated in two workshops about competency development and designed competency-based curriculum. The program provided individual feedback about their course design. The data were collected from 386 students who took the courses developed through the program. The results are as follows. Undergraduates’core competencies were enhanced by competency-based class in the end of semester. Academic performances were improved by comparison with the former semester. Also, class satisfaction with the competency-based course were rated significantly higher than the rest of courses students taken. Besides, these findings were observed in data from students who took classes not with competency-based curriculums but with the same instructors participated in the faculty program. Implications for the utility and the benefit of a faculty program to develop a competency-based curriculum were discussed.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