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좁혀본 항목 보기순서

        • 원문유무
        • 원문제공처
        • 학술지명
        • 주제분류
        • 발행연도
        • 작성언어
        • 저자
          펼치기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무료
      • 기관 내 무료
      • 유료
      • 화학비료 및 돈분액비 사용에 따른 논에서의 비점배출 특성 분석

        전상민 ( Sangmin Jun ),강문성 ( Moon Seong Kang ),송인홍 ( Inhong Song ),박지훈 ( Jihoon Park ),송정헌 ( Jung Hun Song ),김민지 ( Minji Kim ),안지현 ( Jihyun Ahn ) 한국농공학회 2014 한국농공학회 학술대회초록집 Vol.2014 No.-

        비점오염원은 불특정 장소에서 불특정하게 수질오염물질을 배출하는 배출원을 의미한다. 비점오염원에는 농경지에 남아있는 비료와 농약, 초지에 방목된 가축의 배설물, 가축사육농가에서 배출되는 미처리 축산폐수, 빗물에 섞인 대기오염물질, 도로 노면의 퇴적물 등이 있다. 논 유출수에는 비료의 주요 성분인 질소와 인이 다량 포함되어 있어 농업 지역의 주요 비점오염원으로 여겨진다. 논에서 발생하는 비점오염이 하천에 미치는 영향을 분석하기 위해서는 사용되는 비료의 차이에 따른 비점오염 배출 특성을 분석할 필요가 있다. 따라서 본 연구에서는 화학비료 및 돈분액비를 사용하는 논을 각각 연구대상지로 선정하고, 수문 및 수질 모니터링을 통해 비료의 차이에 따른 논에서의 비점오염 배출 특성을 분석하고자 한다. 이를 위해 경기도 용인시 백암면 근삼리에 위치한 화학비료와 돈분액비를 각각 사용하는 논 2곳을 모니터링 대상지로 선정하였다. 각 논에는 초음파 수위계와 부자식 수위계가 부착된 위어를 설치하여 수위 및 배수량 자료를 수집하였다. 수질 모니터링으로 영농기 월 1회 이상 수질 샘플링을 실시하였고, 강우시에는 자동채수기를 이용해 정밀 모니터링을 실시하였다. 그리고 모니터링 결과를 바탕으로 화학비료 및 돈분액비 사용에 따른 논에서의 비점오염 배출 특성을 분석하였다.

      • 농촌용수구역 수문 해석기법의 개선

        송정헌 ( Junghun Song ),강문성 ( Moonseong Kang ),송인홍 ( Inhong Song ),안지현 ( Jun Sangmin ),전상민 한국농공학회 2013 한국농공학회 학술대회초록집 Vol.2013 No.-

        우리나라 농업유역은 논, 밭 등의 농작물의 재배활동이 이루어지는 생산 공간과 산림 및 주거지 등으로 구성되어 있으며, 작물의 생육에 필요한 물을 인위적으로 공급하기 위한 농업용 저수지 등의 수리시설물이 위치하고 있다. 국외에서 개발된 농업유역 모형은 우리나라의 기상, 토양, 작물, 지형, 기후, 토지이용 등 환경조건이 상이한 조건에서 개발된 모형들로서, 우리나라 환경조건이 가지는 특징을 반영하는데 한계가 있다. 국내에서는 농촌용수구역 수문 해석을 위해 HOMWRS (Hydrologic Operation Model for Water Reources System) 모형을 주로 적용하고 있으나, HOMWRS 모형은 농업용수 공급량, 저수지 수위, 관개지구 배수량 등의 모의 요소에 대한 해석 기법의 한계가 지적되고 있다. 본 연구에서는 농촌용수구역 수문순환의 효율적 해석을 위하여, HOMWRS 모형의 모의 기법 중 한계로 지적되어 왔던 저수지 유입량 모의, 농업용수 공급량 모의, 저수지 수위 모의, 관개지구 배수량 모의 에 대해 개선하고자 한다. 우리나라 농촌용수구역은 관개지구의 수문 순환과 저수지 상류유역의 수문 순환이 연계되어 복합적으로 발생하며, 저수지 상류유역, 수리시설물 (농업용 저수지), 저수지 하류 관개지구로 구분된다. 저수지 상류유역의 유출량은 수정 3단 TANK 모형을 이용하며, 기 개발된 회귀식을 수정하였다. 농업용수 공급량은 중간낙수 시기에 관개가 중단되는 것으로 수정하였고, 최근 모를 공장에서 대량생산된 것을 사서 쓰는 추세를 반영하여 못자리 용수량을 생략하였다. 또한, 실제 농업용저수지의 방류는 이앙기 이전인 4월부터 시작하는 것을 고려하였다. 저수지 수위 모의는 물수지식 기반 연속방정식을 이용하였으며, 실제 현장에서 홍수조절 용량 확보를 위해 제한수위를 설정하여 유지하는 것을 고려하여, 홍수기에 제한수위 이상의 수위는 강제 방류시키도록 구성하였다. HOMWRS 모형은 관개지구의 배수량은 모의가 불가하며, 관개지구배수량을 논 포장 배수량과 용수로 배수량 (배분관리 용수량)으로 구분하여 모의가 되도록 구성하였다. 논 포장 배수량은 논의 물수지식으로, 용수로 배수량의 농업용수 공급량에 대한 비로부터 산정하였다. 본 연구 결과는 농촌용수구역의 수문 순환에 대한 전반적인 이해를 넓히며, 농촌용수 관리 선진화에 기여할 수 있을 것이라 사료된다.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