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좁혀본 항목 보기순서

        • 원문유무
        • 원문제공처
        • 등재정보
        • 학술지명
        • 주제분류
        • 발행연도
        • 작성언어
        • 저자
          펼치기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무료
      • 기관 내 무료
      • 유료
      • KCI등재

        한 · 중 FTA 체결에 따른 수도권항만 카페리선사의 발전방안

        박성은(Park, Sung-Eun),안승범(Ahn, Seung-Bum) 한국항만경제학회 2018 韓國港灣經濟學會誌 Vol.34 No.1

        중국이 경제대국으로의 성장한데 이어 한국의 제1위 교역국으로서 2015년 6월 1일 한 · 중 FTA 정식서명이 이루어짐에 따라 한·중간 교역 규모 증가가 예상된다. 본 연구에서는 한 · 중간 FTA 체결에 따라 더욱 증가할 수 있는 수출입 물동량과 한 · 중간 카페리 노선 활용도를 제고하고자 하였다. 따라서 현재 운항중인 카페리선사 및 컨테이너 정기선사를 이용 중인 화주 및 포워더를 대상으로 카페리선사의 발전전략이라는 목적을 전제 하에 두 개의 설문조사를 실시하였다. 먼저 한 · 중 카페리선사 및 정기선사를 이용하는 화주 및 포워더를 대상으로 선사 선택요인에 대한 중요도 우선순위를 도출하고자 하였다. 이를 위해 카페리 및 정기선사 경쟁력 강화방안에 대한 선행연구를 분석하여 변수의 조작적 정의를 주요인은 신속성, 경제성 그리고 안전성으로 구분하고 다시 신속성에 관한 세부요인을 한 · 중 해상항로를 운항하는 선박 운항시간과, 항만에서 화물을 싣고 내리는 하역시간, 그리고 관세법에 따른 절차를 이행하여 물품을 수출, 수입, 반송하는 통관시간으로 구분하였고, 경제성 요인에 관한 세부요인은 수도권항만에서 중국으로 운항하는 해상운임부분과 항만에서 선박으로부터 화물을 싣고 내리는 하역비용, 그리고 항만 하역 후에 육상운송으로 화주에게 화물을 배송하는 내륙 연계 운임 비용으로 구분하였다. 마지막으로 안정성에 관한 세부요인으로는 카페리선과 정기선사 운항시 선박의 흔들림으로 인한 화물의 파손율과 화물의 흔들림을 최소화하기 위한 라싱(Lashing) 및 쇼어링(Shoring) 등의 고박장치 시설, 그리고 운행표를 미리 작성하여 이것에 따라 선박을 운항할 때 출발시간 및 도착시간이 스케줄에 따라 정해진 시간에 이루어지는가에 대한 운항의 정시성으로 세부요인을 구분하였다. 계층분석법(AHP)을 활용한 주요인에 대한 카페리 및 정기선사 선택요인의 중요도 우선순위 분석결과, 카페리 선사 물류서비스 이용자인 화주그룹은 신속성 0.549, 안정성 0.309, 경제성 0.142로, 항목간 중요도 차이가 크게 나타났으나, 물류서비스 공급자인 포워더그룹은 신속성 0.350, 안정성 0.348, 경제성 0.302로 중요도 차이가 크게 나타나지 않았다. 반면 정기선사를 이용하고 있는 화주 및 포워더 그룹은 카페리 선사를 이용하고 있는 그룹과 달리 경제성>안정성>신속성 순으로 중요하게 생각하고 있음을 알 수 있다. As China continues to evolve as a major economic power and the Free Trade Agreement (FTA) between the Republic of Korea and China was ratified on June 1, 2015, market volume between the two countries is expected to grow more rapidly. This study aims on improving the efficiency of car-ferry lines. We conducted two surveys- for shippers and forwarders of car-ferry companies, and container liners. The study analyzes the decision factors for delivery companies and their importance for shippers and forwarders of car-ferry companies and container liners. Based on analysis of prior studies on the competition for car-ferry companies and liners, three primary variables are selected- promptness, economics, and safety. The promptness variable consists of shipping time, loading/unloading time, and customs clearing time. The economic variable consists of marine transportation cost from a domestic harbor to China, loading/unloading cost in the harbor, and overland transport cost from the harbor to shippers inland. Finally, the safety variable consists of cargo damage rates, safety facilities, such as lashing and shoring, and punctuality of transportation time. The survey and AHP results show that the promptness, safety, and economics factors are 0.549, 0.309, and 0.142 in the shipper groups of car-ferry companies’ category, respectively. It indicates that there is considerable difference in the importance of each factor. In contrast, the factors are 0.350, 0.348, and 0.302 in the forwarders category, which suggests that there is little difference in each factor’s importance. As for shippers and forwarders of liners, the importance of each factor is found to be in the following order: economics, safety, and promptness.

      • KCI등재

        블록체인 시스템 수용의도에 영향을 미치는 요인에 관한 연구 - 물류기업을 중심으로 -

        김성영(Kim, Sung-Young),안승범(Ahn, Seung-Bum) 한국물류학회 2018 물류학회지 Vol.28 No.1

        세계 경제포럼에서 회자된 “4차 혁명시대”에 신기술을 이해하고 응용하여 물류기업들이 새로운 가치를 창출해 내야 하는 시대에 있다. 블록체인 기술이 혁신 기술로서 주목 받고 있는 시점에서 물류산업 적용 및 기술수용에 대한 학문적 접근이 부족한 상황이다. 단지, 해운물류의 컨테이너 운송과 관련하여 시범 운영하는 정도이다. 따라서 본 연구는 블록체인 기술수용의도에 미치는 요인에 대하여 실증적인 연구를 수행하고자 한다. 이를 위하여 기술수용모델(TAM : Technology Acceptance Model)을 기반으로 블록체인 기술의 특성을 3가지(가용성, 다양성, 경제성)를 독립변수로 구성하였다. 그리고 지각된 용이성과, 지각된 유용성을 매개 변수로 하였고 종속변수는 수용의도로 연구모형을 설계하였다. 구조방정식을 이용하여 분석한 결과, 가용성, 다양성, 경제성은 모두 지각된 유용성을 통하여 수용의도에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다. 반면 지각된 용이성을 통하여 수용의도에 영향을 미치지 않은 것으로 나타났다. 그리고 가용성과 다양성은 지각된 용이성과 지각된 유용성을 통하여 수용의도에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으나 경제성은 영향을 미치지 않은 것으로 나타났다. 수용의도에 직접적으로 영향을 미치는 요인으로 다양성만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으며, 가용성과 경제성은 영향을 미치지 않은 것으로 나타났다. 본 연구는 향후 블록체인의 기술을 물류기업에 도입하기 위해 블록체인의 특성을 이해하고 해당 특성과의 수용의도와의 관계를 실증분석 했다는 점에서 의의를 가진다. Facing the era of the “Fourth Revolution” which was discussed at the World Economic Forum, we are in an era when logistics companies need to create new value by understanding and applying new technologies. However, there has not been a case study on the application of logistics industry and the acceptance of the technology at a time when the block chain is attracting attention as an innovation technology. And the research is limited to the pilot test in relation to the transportation of containers in shipping logistics. Therefore, this study intends to conduct an empirical study on the factors affecting the acceptance of the block chain technology. For this purpose, the characteristics of the block chain technology has been categorized as availability, diversity, and economy as independent variables based on the Technology Acceptance Model (TAM) . And then designed the study model to accommodate perceived ease of use and perceived usefulness as parameters, intention of acceptance as a dependent variable. As a result of analysis using structural equation, availability, diversity, and economy all affected intention of acceptance through perceived usefulness, but did not affect intention of acceptance through perceived ease of use. Also, availability and diversity were found to affect intention of acceptance through perceived ease of use and perceived usefulness, but economy did not. The only factor that directly influence to intention of acceptance is diversity, and availability and economy have no direct effect. This study has its meaning for understanding the characteristic of the block-chain, which would be introduced in logistic companies, and analyzing the relation between their characteristics and the acceptance of intention.

      • KCI등재
      • KCI등재

        A study on Regional Economic Impacts Due to Launch of International Ferry Terminal at Seosan-Daesan Port

        Yun, Kyong-Jun(윤경준),Kim, Sung-Young(김성영),Ahn, Seung-Bum(안승범) 한국항만경제학회 2018 韓國港灣經濟學會誌 Vol.34 No.2

        지역이 가진 특성과 자원을 그 지역의 핵심전략산업으로 연결하는 지역산업추진체계는 지역의 산업자원을 유기적 네트워크 형태로 확산시키고 있다. 충청권 항만 중에서 국제여객터미널과 부두가 완비된 곳은 서산 대산항이 유일하며 2018년 룽청시 룽옌항과 취항을 앞두고 있다. 본 연구는 지역산업발전을 위해 충청권에서 최초로 진행 중인 국제여객선 취항이 지역경제에 미치는 영향에 대해 2013년 지역산업연관표를 활용하여 충남지역 관광산업과 항만산업에 대한 파급효과를 분석하였고, 분석결과 관광산업과 관련하여 연간 생산유발 47,815백만원과 부가가치 유발 23,423백만원에 대한 효과가 있는 것으로 나타났으며, 항만산업에서는 컨테이너 화물 처리와 부가가치 수입을 합하여 12,567백만원의 효과가 나타나는 것으로 분석되었다. 현재 타 지역 한중 항로 국제여객선의 특성상 여객보다는 화물에 대한 의존도가 높은 편으로 서산에 국제여객선이 취항되면 우선 여객을 통한 관광에 따른 고용창출효과의 극대화를 위해 관광객 유치를 위한 전략적인 마케팅이 요구되며 수입화물과 수출화물의 균형을 유지하는 등 꾸준한 화물의 확보도 필요하다. 또한 더 큰 부가가치의 창출을 위해 다른 지역과의 신규항로 개설이나 취항횟수를 늘리는 등의 노력도 요구된다. The regional industry promotion system, which seeks to link the characteristics and resources of the region to its core strategic industry, is spreading the industrial resources in the form of an organic network. The Seosan-Daesan Port is the only port in the Chungcheong provinces that is equipped with international passenger dock and terminal, and it will soon have a ferry service operating to the Longyan port in Rongcheng, China in 2018. The study focuses on effects of the first international ferry operation in the provinces that are being realized with the aim of developing the regional industry. The study also analyzes the ripple effects on the tourism and port industries in the provinces by tapping into the 2013 regional inter-industry table. The analysis shows that the scheduled ferry operation will generate 47,815 million won in production and 23,423 million won in added value for the region"s tourism industry. It will also generate total revenue of 12,567 million won for the port industry driven by the locally handled freight containers and the added value. Currently, the Korea-China ferry operation in other regions exhibits greater dependence on the cargo than the passengers. Thus, for the international ferry operation to and from Seosan ,generating maximum employment in tourism from the passengers of the international ferry operation will require strategic marketing to attract tourists. At the same time, a steady supply of cargo needs to be sustained by maintaining a balance between import and export cargoes. Furthermore, greater efforts should be made to create more sea routes than other regions or to increase voyages for the purpose of generating more added value.

      • KCI등재

        연안운송 활성화 제약요인에 관한 연구 -화주의 연안운송기피 원인을 중심으로-

        임광수(Kwang-Soo Lim),강상곤(Sang-Gon Kang),안승범(Seung-Bum Ahn) 한국항만경제학회 2004 韓國港灣經濟學會誌 Vol.20 No.2

        Coastal cargo shipping is regarded as environmentally friendly and less costly compared to other transport modes: therefore, many developed countries endeavor to activate coastal cargo shipping. In Korea, a couple of policies are suggested for coastal cargo shipping; however, shippers' aspects seem to be neglected or not analyzed. In this regard, this study aims to identify barriers in the coastal cargo shipping, in respect to shippers' aspects. To find out the reasons shippers hesitate to use coastal cargo shipping, we made a questionnaire and surveyed. <br/> We found out some meaningful points in this study as the followings.<br/> First, the proportion of using the coastal cargo shipping is very low. Second, the shippers give weights on time and costs factor, and their preference for punctuality and stability of the transportation services is extremely high. Third, the shippers believe that improvement of the services of the coastal cargo shipping is very important in national logistics system although most do not use currently. They also believe that the success of coastal cargo shipping lies in whether it can transport the huge amount of cargos with lowest costs. Finally, the most important factor, when they choose the transport mode, is the punctuality and stability of the transportation services.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