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무료
      • 기관 내 무료
      • 유료
      • KCI등재

        일-가정 균형에 대한 지원환경, 일-가정 균형에 대한 만족도, 종업원의 철회행위 및 맥락성과 간의 관계에 대한 연구

        류성민(Seongmin Ryu),안성익(Seongik Ahn) 한국산업경영학회 2012 경영연구 Vol.27 No.2

        본 연구에서는 일-가정 균형을 지원하는 기업의 가정친화 업무환경(조직지원 및 상사지원)에 대한 종업원의 인식과 업무에 대한 통제권, 일-가정 균형에 대한 만족도, 종업원의 행동(부정적 행위로서 철회행위 및 긍정적 행위로서의 맥락성과) 간의 관계를 살펴보았다. 실증분석을 위해서 12개 기업의 종업원들과 그들의 직속상사로 구성된 230쌍으로부터 수집된 자료를 활용하였다. 구조방정식모형 분석을 활용하여 수집된 자료를 분석한 결과, 가정친화 업무환경 중 조직지원에 대한 인식은 종업원들의 업무에 대한 통제권 인식과 일-가정 균형에 대한 만족도에 정(+)의 유의한 영향을 나타냈다. 가정친화 업무환경 중 상사지원에 대한 인식은 종업원들의 업무에 대한 통제권 인식에는 정(+)의 유의한 영향을 나타냈지만 일-가정 균형에 대한 만족도에는 유의한 영향을 나타내지 않았고, 업무에 대한 통제권 인식은 일-가정 균형에 대한 만족도에 정(+)의 유의한 영향을 나타냈다. 이런 관계를 통하여 가정친화 업무환경에 대한 인식은 업무에 대한 통제권 인식을 매개하여 일-가정 균형에 대한 만족도에 간접적으로도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다. 한편, 일-가정균형에 대한 만족도는 종업원의 철회행위에는 부(-)의, 맥락성과에는 정(+)의 유의한 영향을 나타냈다. 이런 관계를 통하여 가정친화 업무환경에 대한 인식은 업무에 대한 통제권 인식과 일-가정균형에 대한 만족도를 매개하여 종업원의 행동에 간접적인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다. 이러한 연구결과를 바탕으로 연구의 의의, 한계 및 추후연구과제에 대해 논의하였다. We investigated the relationships among employees’ perception of the family supportive work environment, perception of control over work, satisfaction with work-family balance and two behavioral outcomes. We collected data from 230 supervisor-subordinate dyads in 12 organizations and analyzed the data with structural equation model. The perceived organizational family support of the family supportive work environment showed a positive effect on satisfaction with work-family balance. The perceived supervisor’s family support of the family supportive work environment was proved to have positive relationship with control over work but not with satisfaction with work-family balance. The results of further analysis showed that perception of control over work mediated the relationship between perception of family supportive work environment and satisfaction with work-family balance. Furthermore, satisfaction with work-family balance showed a negative effect on withdrawal behavior and a positive effect on contextual performance. In all, the relationship between family supportive work environment and behavioral outcomes was mediated by perception of control overwork and satisfaction with work-family balance. On these results, we discussed the implications and limitations of our study and suggested the direction for future research.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