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무료
      • 기관 내 무료
      • 유료
      • 선교지 기독교 대학의 코어 커리큘럼 작성

        심재승 ( Jay Shim ) 개혁주의생명신학회 2017 생명과 말씀 Vol.17 No.-

        본 논문은 개혁주의의 시각 (본 논문의 언어로 “선교할 수 있는 대학 교육”)에서 형성하는 선교지 기독교 대학을 위한 core-curriculum의 정의, 내용, 사용, 그리고 그것을 형성하는 과정에서 대두되는 이슈들을 다루고 있다. 본 논문은 또한 PAUA (범아시아-아프리카 대학협의회) 회원대학에 세 개의 과목을 실현하기 위한 계획과 로드맵을 제공한다. 개혁주의의 삶의 체계 안에서 신앙과 교육/지식은 동일한 그리스도의 주권 아래에서 동일한 원리로 작용하는 두 개의 다른 기능이다. 따라서 신앙의 원리는 교육과 지식의 내용과 방향과 목적을 규정한다. 이러한 교육의 내용이 기독교 대학에 실천되는 기초가core-curriculum이다. 기독교 core-curriculum은 기독교 교육을 실현함에 있어서 가장 기초적이며 중요한 출발점이다. 기독교 core-curriculum은 세상에서 학문과 사고하기 위한 시각을 양육하고 (기독교적인 세계관과 해석할 수 있는 능력), 현대 삶에 필수적인 지식 분야를 연구하는 방법을 소개하고 (학습능력), 하나님의 세상에서 구속된 그의 형상으로 소통하고 창조적으로 살 수 있는 삶의 능력을 배양함 (기독교적인 삶의 태도)에 목적을 둔다. 기독교 core-curriculum을 형성함에 있어서 다루어야 할 이슈들이 있다. 첫째로, 분명하게 정선된 대학의 정체성과 설립목적을 선교지의 상황에 적합하게 반영하여 core-curriculum을 형성하여야 한다. 대학 교육은 다양하고 복잡한 커리큘럼을 제공하는데, 그것을 작성하고 실천하는 과정에서 지도자들은 교과과정과 교육에 관련된 여러 문제들과 도전에 직면하게 된다. 그러한 과정을 거쳐서 기독교적으로 구체화할만하게 분명하게 정리된 정체성과 교육의 목표가 필요하다. 둘째로, 기독교 core-curriculum의 내용과 목적은 성경과목이나 신학과목을 가르침으로 또는 채플을 교육에 포함함으로 대체할 수 없는, 그 자체로 전문적인 기독교 학문 분야이다. 그러므로 대학의 지도부는 전체 커리큘럼 안에서 core-curriculum이 가지는 위치와 기능뿐 아니라 그것이 다른 과목들에 어떻게 연결되는지를 올바로 인식하는 인문적인 시각을 가져야 한다. 기독교 세계관과 신앙의 스타일에 따라 이러한 관계가 다르게 형성될 수 있기 때문이다. 셋째로, 세상과 삶을 기독교적으로 해석하는 인문적인 시각의 양육과 직업에 관련된 실용적인 지식을 다루는 교육 사이의 관계를 올바로 형성하여야 한다. 기독교 대학은 교육을 직업훈련으로 이해하는 오래 된 도전에 직면해 있다. 이러한 도전은 선교지 환경에서 더욱 심각할 것이다. 그 둘 사이의 올바른 관계는 창조세계의 모든 것을 화목하시는 그리스도의 구속을 기초로 정립된다. 이러한 관계 인식은 그리스도인으로 하여금 세상을 섬기는 책임의식을 가지게 한다. 마지막으로, 기독교 core-curriculum을 형성하기 위하여 고려하여야 할 이러한 이슈들의 실현여부는 각 대학 지도부가 가지는 기독교 교육에 대한 이해의 폭과 그것을 실현하고자 하는 의지에 달려있다. PAUA에서는 이러한 내용과 목적으로 고안된 기독교 core-curriculum을 선교지 대학에 실현하기 위하여 다음과 같이 세 과목을 작성한다: (1) Biblical Foundations, (2) Introduction to Christian Philosophy, (3) Faith and Science. 처음 두 과목은 현재 저자가 미국의 개혁주의 기독교 대학인 Dordt College에서 강의하고 있는 core-curriculum이다. 이 두 과목의 대략의 내용을 본 논문에 포함하였다. 이 내용을 바탕으로 선교지의 교육 상황에 적합하게 작성한다. 올바른 교육을 실천하기 위하여는 양질의 교재와 함께 건전한 기독교 지식과 자질을 갖춘 교수가 필요하다. 따라서 기독교 core-curriculum을 원하는 바의 목적으로 달성하기 위하여 대학들은 그러한 과목을 작성하기 적합한전문 인력과 담당교수들을 양성하여야 한다. This paper deals with establishing Christian core-curriculum from a Reformed point of view (the paper also uses the term “college education that enables mission”) for Christian colleges and universities in the mission fields. The paper explores definition, content, and uses of core-curriculum, and relevant issues that must be deal with for the formation of it in the situation of the mission field. It also provides a plan and roadmap for the formation of three core-curriculum for PAUA member institutions. Faith and education/knowledge are two different tasks. From a Reformed view of life-system, however, they are considered to be structured and functioning under the same principle that is governed by Christ`s sovereignty in the world. The principle of faith governs the content, direction, and purpose of education and knowledge. The foundational step of applying this Christian education is formation of core-curriculum. Christian core-curriculum purposes to cultivate Christian perspective of thinking and performing scholarship in the world (ability to shape Christian worldview and interpret things of the world); to introduce research methods with which students examine and learn about essential parts of life and world (academic ability); and to nurture in the students ability to communicate and live creatively as redeemed image of God in His world (Christian attitude for life). There are significant issues vis-a-vis establishing core-curriculum in the mission fields. First, core-curriculum is to be established upon a clearly articulated identity of college that is accommodated to the situation of the mission fields. College education provides a diverse and complicated curriculum. Leaders face many problems and challenges regarding forming curriculum and educating students. It is essential for the leaders to clearly understand the identity of the college and purpose of education in order to properly handle them. Second, Christian core-curriculum in its unique nature and content is a specialized curriculum that cannot be replaced or complemented by courses on the Bible or theology or addition of chapel. The college leadership needs to understand not only the distinctive place and task of core-curriculum within the whole college education but also how the core-curriculum relates to other parts of education. For the whole curriculum may be differently structured depending on the kind of Christian worldview and style of faith the leadership occupies. Third, it is essential to critically identify the relationship between perspectival education of interpreting world and life on the one hand and practical education for living on the other. Christian colleges face the long-standing challenge of understanding education as vocational training. This challenge may be more aggressive in the mission fields. The proper relationship between the two is found in the biblical redemption in which Christ reconciles all things of creation. Recognition of the relationship demands Christians to be stewardly responsible for the world. Lastly, whether all the issues regarding formation of Christian core-curriculum actually lead to fruition depends on the width and depth of the leadership`s understanding of Christian education and its commitment to its realization. PAUA is committed to applying above-mentioned principle of Christian education by producing three courses of core-curriculum: (1) Biblical Foundations, (2) Introduction to Christian Philosophy, (3) Faith and Science. The first two courses are part of the core-curriculum that the author teaches at Dordt College, a Reformed Christian college in the US. This paper includes a rough draft of the two courses. PAUA will attempt to accommodate the material to the Christian colleges in the mission fields. Along with well-designed material good education requires well-equipped instructors. Faculty enrichment program must accompany the project of developing core-curriculum.

      • 선교지 기독교 교육의 실제 의미: “선교를 위한 교육”으로부터 “선교할 수 있는 교육”으로

        심재승 ( Jay Shim ) 개혁주의생명신학회 2016 생명과 말씀 Vol.14 No.-

        본 논문에서 저자는 “선교를 위한 교육” 모델로부터 통합적인 기독교 영성과 세계관에 근거한 “선교할 수 있는 교육” 모델로 사고의 패러다임을 전환할 것을 요청한다. 전자는 두 개의 서로 다른 분야를 그 둘의 관계 설정에 관한 깊은 성찰 없이 이어놓은 모델이다. 그 모델은 교육을 선교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방편으로 사용하는 바, 그 두 분야 사이에 갈등을 유발할 수 있으며 따라서 교육의 독특한 본질과 역할을 희생시킬 수 있다. 후자의 교육 모델은 성경이 계시하는 하나님의 광범위한 구속사에 기초를 두고, 통합적인 기독교 사고에 의하여 반영된다. 그러한 기독교 사고에서 교육과 선교는 서로 배척하는 두 개의 다른 분야로 드러나지 아니한다. 거기서 교육과 선교는 근본적으로 유기적으로 연결되어 있어서, 각각의 고유한 특성들을 유지하면서, 하나가 다른 하나로 인도되는 두 개의 분야로 드러난다. 그러한 기독교 교육은 한편으로는 교육에 관한 기독교 지성적인 시각을 제공하여 그에 따라 세상에 관한 올바른 지식을 양육하고, 동시에 다른 한편으로는 복음과 선교에 대한 기독교적인 감성과 태도를 함양한다. 이러한 목적을 달성하기 위하여 본 논문은 요한 칼빈, 아브라함 카이퍼, 그리고 제임스 스미스를 사용하였다. 본 논문은 2016년도 1월 5일에 서울에서 개최된 PAUA(Pan Asian African Universities Association) 제1회 Forum에서 발표되었다. 한국 교회에 의하여 지난 이십여 년간 선교지에 설립된 기독교 대학들의 일반적 인 기독교 문화는 신학적으로는 복음주의적이며 영성으로는 개인의 경건과 헌신을 강조하는 다분히 이원론적인 문화이다. 그러한 한국 교회의 기독교 문화와 헌신이 선교지에 많은 기독교 대학들을 설립하는 하나의 경이로운 트렌드를 가능하게 하였다. 이것은 이십 년 전에는 생각지도 못한 일이었다. 학교 교육을 통한 한국의 선교 사역은 지금 적지않은 도전에 직면하여있다. 우선, 대학의 설립 초기에 철저하게 정의된 대학과 교육의 기독교적 정체성을 구축하여야 한다. 잘 정리된 대학의 정체성과 그에 따라 구성되는 교육 내용의 준비가 없다면, 대학은 설립부터 생존 단계에 이르도록 운영에 관한 당면과제들에 파묻혀 대학 본래의 목적을 상실하기 쉽다. 둘째로, 선교지는 빠른 속도로 산업화되고 세속화되고 있다. 한번 세속화되고 나면, 지금 선교지의 젊은이들 안에 작동하고 있는 기독교 교육의 가치와 필요는 빠르게 사라질 것이다. “선교를 위한 교육”은 두 개의 서로 다른 분야들의 연결로써 선교의 목적을 위하여 교육을 사용하는 모델인 바, 그 두 분야들 사이의 갈등이 발생할 수 있으며, 선교를 위하여 대학의 고유한 목적과 내용을 타협하거나 희생하는 모델이 될 수 있다. “선교할 수 있는 교육”은 교육과 선교를 기독교 신앙과 사고의 체계 안에서 근본적으로 밀접한 관계로 보아서 하나가 다른 하나로 인도하는, 그래서 기독교 교육 자체가 선교할 수 있는 교육이라는 점을 역설한다. 그러한 일관된 체계에서 형성되는 기독교 교육은 “관점적인 지성”과 함께 “정서적인 마음의 태도”를 함께 형성하므로 기독교 교육 자체가 선교하도록 할 수 있다. 여기서 다루는 기독교 교육의 이슈는 교육 방법론이 아니라 기독교 교육 의 기초에 관한 것이다. 교육의 기초의 형성은 다음과 같은 대학 지도자들 의 배경과 전제에 따라서 이루어진다. 따라서 이러한 배경과 전제에 대한 내적인 성찰과 점검이 매우 중요하다: (1) 대학 지도자들의 영성과 그들 대학의 기독교적인 정체성; (2) 이러한 영성과 정체성이 주장하는 대학 설 립과 교육의 이유와 목적; (3) 이러한 이유와 목적이 궁극적으로 실제 교 육의 커리큘럼과 내용을 규정한다. 위에 언급한 통합적인 기독교 교육의 모델을 선교지의 상황에 실제로 유익하게 적용하기 위하여 (1) 기독교 교육의 전략 (정체성과 기본적인 목표와 방향)의 개발과 실행, (2) 현장/학생 중심적인 교재 (현지의 문화에서 학생들 이 무엇을 배우고 어떠한 생각을 할 것인가에 중점)의 개발, 그리고 (3) 연합 사역 (그러한 목표를 이루기 위한 Forum과 Institute를 실행하여 교수 개발)의 실행이라는 가까운 장래의 사역을 염두에 두고 해설하고자 한다. This article argues for a paradigm transition from “education for mission” model to “education that enables mission” model that is based on an integrative Christian spirituality and worldview. The former model loosely combines two different disciplines without deep consideration of the relationship. It uses education as a means to accomplish mission and may lead to conflicts between the two disciplines and thus sacrifice the unique nature and role of education. The latter model is rooted on a biblical interpretation of the comprehensive redemptive history of God which is reflected in the holistic Christian thought. On such a Christian basis, education and mission are not found to be two separate disciplines, exclusive with each other, but two different disciplines that are essentially and organically related, maintaining their own particularities, in such a way that one leads to the other. Such model of Christian education may cultivate both Christian intellectual perspective of education and knowledge of the world structured from the perspective, on the one hand, and Christian affection and attitude toward the gospel and mission, on the other. For the purpose, this article uses John Calvin, Abraham Kuyper, and James Smith. This article has been delivered at the first PAUA Forum (Pan Asian African Universities Association) which was held on January 5th, 2016 in Seoul, Korea. The general Christian ethos of the universities that have been established by the Korean churches in the last two decades is evangelical in theology and dualistic in spirituality with high emphasis on personal piety and dedication. The Korean Christian ethos and commitment made possible an astonishing trend of establishing Christian universities in the mission field. That was almost unimaginable two decades ago. The Korean mission by means of education is facing challenges at the moment. First, a carefully defined identity of Christian education should be determined in the planting stage. Without the well-defined identity and the content of education that is governed by it, the institution will soon be lost in the busyness of survival. Secondly, the mission fields are being industrialized and secularized at a fast speed. Once secularized, the currently-working merits of Christian education will be lost among the young people in the mission fields.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