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무료
      • 기관 내 무료
      • 유료
      • KCI등재
      • KCI등재후보

        발달장애 성인을 위한 사회성 프로그램이 사회성과 관계형성에 미치는 효과

        정찬교(Chan-Kkyo Jeong),신현경(Hyun-Kyong Shin),이봉현(Bong-Hyun Lee) 한국운동재활복지협회 2022 운동재활·복지 Vol.3 No.2

        이 연구는 지역 주간보호센터에서 제공하는 사회성 프로그램이 발달장애 성인의 사회성과 관계형성에 미치는 영향을 알아보고자 진행되었다. 연구의 가설을 검증하기 위하여 주간보호센터 프로그램에 참여하고 있는 발달장애 성인 6명을 대상으로 실시하였으며, 총12개월 간 프로그램을 적용하였다. 프로그램 시작 전·후 연구자는 각 참여자의 사회성(과제수행태도, 잡단활동 참여정도, 전반적인 참여태도, 이탈횟수)과 관계형성(이용자 간 관계형성 여부, 지원자와의 관계형성 여부, 즐거움, 분노, 눈물, 두려움, 우울, 표정없음)에 대하여 평가하였다. 연구데이터 분석을 위하여 비모수 통계기법인 Wilcoxon test를 실시하였다. 연구결과 사회성 프로그램은 발달장애 성인의 사회성에 통계적으로 유의한 변화를 나타내었다. 하부요인들에서는 긍정적인 검사값을 나타내었으나, 통계적 유의차는 나타나지 않았다. 종합적인 관계형성 변인에는 통계적 유의차가 보고되지 않았지만, 하부요인들 중 이용자 간 관계형성과 지원자와 관계형성 요인에서만 통계적으로 유의미한 변화가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주간보호센터를 이용하는 발달장애 성인들을 위한 장기간의 사회성 프로그램은 그들의 사회성 요인과 관계형성 요인에 긍정적인 효과를 나타낸다고 할 수 있을 것이다. 장기간의 사회성 프로그램은 발달장애 성인의 환경적응력을 높이는 것으로 사료되며, 추후 다양한 사회성 프로그램과의 비교를 통하여 효과성 검증을 하여야 할 것이며, 이러한 연구결과를 토대로 발달장애 성인의 신규 프로그램을 개발할 수 있을 것이다.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investigate the effects of social communication program for adults with developmental disabilities on their sociality and relationship forming. Five intellectual and one autistic adults participated in 12-month social communication program. The program was began from November 2021 to October 2022, and every Monday to Friday nine am to six pm except national holidays and short term breaks. Pre and post the program, the researcher check the list which consists of 12 questions on participants' sociality and relationship forming. After the data collected, the Wilcoxon test was applied to see the effects of the social communication program. Followings are the results of this study. Overall sociality was statistically increased. however, the mean in each questions of sociality was not significant. In the relationship form variable questions, the mean of between participants was creased significantly. however, the difference of mean of the other questions' was not significant. These results indicate that social communication program could affect adults with developmental disabilities' sociality and relationship forming. Long-term social communication program could help people with disabilities especially intellectual and autistic disabilities, and also it could help their symptoms's getting worse.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