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좁혀본 항목 보기순서

        • 원문유무
        • 원문제공처
        • 등재정보
        • 학술지명
        • 주제분류
        • 발행연도
        • 작성언어
        • 저자
          펼치기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무료
      • 기관 내 무료
      • 유료
      • KCI등재

        중고생 자녀를 둔 엄마들의 사교육 탈출기: 사교육 경감과정에 대한 근거이론 접근

        한영주 ( Han Young-joo ),신을진 ( Shin Eul-jin ),박순주 ( Park Soonju ) 한국교육인류학회 2018 교육인류학연구 Vol.21 No.2

        이 연구는 우리나라에서 중고생 자녀를 둔 엄마들이 경험하는 사교육경감이라는 변화과정이 어떠한지를 이해하고, 어떠한 요인들의 상호작용을 통해 사교육경감 과정이 진행되며 어떠한 사교육경감 유형이 있는지를 밝히고자 하였다. 이를 위해 실제로 사교육경감을 경험한 참여자들 10인을 선정하였으며, 자료에 근거하여 실체이론을 도출하는 Strauss와 Corbin(1998)의 근거이론 연구방법의 절차를 활용하여 연구를 진행하였다. 연구결과, 엄마들이 경험하는 사교육경감 경험의 중심현상은 ‘기준이 분화되어 유연 해짐’이었다. 자녀교육에 대한 ‘불안과 갈등’으로 시작된 사교육 경감 과정은 교육관련 강좌와 모임 등을 ‘만남과 깨달음’ 속에서 내적인 ‘분화와 확장’, 자녀와의 ‘관계 재정립’ 단계로 진행된다. 입시장벽 앞에서 ‘흔들림과 대처’를 순환적으로 경험하지만, 조금씩 ‘안정과 도전’의 단계를 갖게 되었다. 엄마들이 경험한 사교육경감의 유형은 ‘의식변혁형’. ‘대안추구형’, ‘압박저항형’, ‘고민지속형’이었다. 이 연구는 물리적 요인 중심으로 탐색되어온 사교육경감에 대한 기존연구들의 한계를 넘어서, 사교육문제의 실질적 주체인 엄마들의 주관적이고 복합적인 경험을 심도있게 이해하였고, 사교육경감의 실제 경험을 근거로 실체이론을 제시하였다는 점에서 의의를 갖는다.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understand the experience of Korean mothers, who have reduced private tutoring expenditure of their junior high and high school children, and to discover the process and types of reducing private tutoring expenditures. The grounded theory methodology was applied to collect and analyze data, including in-depth interviews with 10 mother-participants. The results are as follows: The core phenomenon of Korean mothers' experience of reducing private tutoring expenditures is 'standards-differentiating and becoming flexible.' The results of process analysis are: 1) the stage of 'anxiety and conflict,' 2) the stage of 'encounter and enlightenment,' 3) the stage of 'differentiation and expansion,' 4) the stage of 'reestablishment of relationship,' 5) the stage of 'wobbling and coping,' and 6) the stage of 'stability and challenge.' The mothers who reduce private tutoring expenditures are categorized into four types: 1) mothers who experienced 'change of awareness,' 2) mothers who pursued alternative ways, 3) mothers who resisted pressure, and 4) mothers who continued in their agony.

      • KCI등재후보

        지연행동의 하위유형에 따른 문제해결양식의 차이

        고진경(Jinkyung Goh),신을진(Eul Jin Shin) 대한스트레스학회 2013 스트레스硏究 Vol.21 No.2

        본 연구는 일반지연행동과 능동지연의 하위요인(결과만족, 압력선호, 의도적 지연결정, 마감능력)이 어떤 군집을 형성하는지 살펴보고, 군집에 따라 문제해결양식에 차이가 있는가를 파악하였다. 359명의 대학생을 대상으로 자료를 수집하고 수집된 자료에 군집분석을 실시한 결과 세 개의 군집이 도출되었다. 군집 1은 지연행동이 평균이하이고 능동지연의 하위요인 중 압력선호와 마감능력이 평균 이상으로 비지연집단, 군집 2는 지연행동에서 가장 높은 점수를 보였고, 능동지연의 하위요인들은 모두 평균이하로 수동지연집단, 군집 3은 지연행동은 평균이고 능동지연의 하위요인 중 결과만족, 압력선호, 의도적 지연결정이 평균이상이어서 능동지연집단으로 명명하였다. 세 집단은 문제해결양식 하위요인들에서 유의한 차이를 보였는데, 무기력감에서는 비지연집단과 지연집단간의 차이뿐만 아니라 지연집단 내 수동지연집단과 능동지연집단 간에도 차이를 보였다. 문제해결양식에서 두 지연집단은 비지연집단에 비해 문제해결 태도와 방략이 효율적이지 못한 편이었으나, 능동지연집단은 수동지연집단에 비해 문제해결양식에서 적응적인 기능을 보였다. This study investigates natural clusters of people in terms of General Procrastination and the sub-factors of Active Procrastination (outcome satisfaction, preference for pressure, intentional decisions to procrastinate, and the ability to meet deadlines) and what differenes are observed among the identified clusters of subjects with respect to problem-solving styles. The results of cluster analysis conducted on a sample of 359 undergraduates have led us to identify three clusters of students: the Non-Procrastination group, the Passive-Procrastination group, and the Active-Procrastination group. Their differences in problem-solving styles have turned out. The Non-Procrastination group has demonstrated better functioning in problem situations than two procrastination groups. The Active-Procrastination group in regarding problem situations felt less helpless, more creative style, more confidence and more likely to use an approach style than Passive-Procrastination group.

      • KCI등재

        능동-수동지연행동과 자기조절학습전략과의 관계

        신을진,고진경 이화여자대학교 사범대학 교육과학연구소 2011 교육과학연구 Vol.42 No.2

        본 연구는 지연행동과 능동지연의 하위요인(결과만족, 압력선호, 의도적지연결정, 마감능력)을 조합하여 어떤 군집이 형성되는지, 그리고 이렇게 형성된 군집이 자기조절학습전략의 각 척도에 있어 어떤 차이가 나는지를 살펴보았다. 총 360명의 대학생을 대상으로 군집분석을 실시한 결과 세 개의 군집(비지연집단, 수동지연집단, 능동지연집단)이 나타났다. 이중 능동지연집단은 지연행동이 평균이고, 능동적지연의 하위 척도인 결과만족, 압력선호, 의도적 지연결정도 평균 이상이었다. 또한 자기조절학습전략 중 초인지전략,자기효능감, 시간과 학습환경, 노력조절, 또래학습에서 수동지연집단보다 유의미한 수준에서 높은 점수를 보여주었다. 비지연집단은 지연행동은 평균이하이고 능동지연의 하위 요인 중 압력선호와 마감능력은 평균이상이었으며 자기조절학습전략은 전반적으로 모두 높았다. 수동지연집단은 지연행동에서 가장 높은 점수를 보였고, 능동지연의 하위척도들은 모두 평균이하였으며, 자기조절학습전략은 전반적으로 모두 낮았다. 이후 이러한 결과를 바탕으로 본 연구의 시사점과 제한점을 논의하였다. The study investigates natural groupings of people in terms of the Tuckman Procrastination Scale and the sub-factors of Active Procrastination (outcome satisfaction, preference for pressure, intentional decisions to procrastinate, and the ability to meet deadlines) and what differences are observed among the identified groups of subjects with respect to self-regulated learning strategies. The results of this study conducted on a sample of 360 undergraduates have led us to identify three groups of students : the Non-Procrastination Group, the Passive-Procrastination Group, and the Active-Procrastination Group. The subjects clustered into “the Active-Procrastination Group” have achieved above-average scores both on the Procrastination Scale and on the three sub-factors of Active Procrastination (outcome satisfaction, preference for pressure, intentional decisions to procrastinate). They have also turned out to be significantly higher than the subjects in “the Passive-Procrastination Group” on the four sub-scales out of the self-regulated learning strategies (meta-cognitive strategies, self-efficacy, time and learning environment, peer learning). The subjects who belong to “the Non-Procrastination Group” have earned below-average scores on the Procrastination Scale and above-average scores on the two sub-factors (preference for pressure and the ability to meet deadlines) of Active Procrastination. In general, they have demonstrated xcellence in self-regulated learning strategies. The subjects in ”the Passive-Procrastination Group“ have obtained the highest scores on the Procrastination Scale and below-average scores on the sub-factors of Active Procrastination. They tend to be behind the other groups of subjects on the relevant scales of the self-regulated learning strategies. Based on what has been found in this statistical analysis, we will discuss the implications and limitations of our study.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