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무료
      • 기관 내 무료
      • 유료
      • KCI등재

        양파껍질 추출물이 함유된 물간법으로 굴비 제조의 최적 조건 확립

        신미진(Mee-Jin Shin),강성국(Seong-Gook Kang),김선재(Seon-Jae Kim),김정목(Jeong-Mok Kim) 한국식품영양과학회 2004 한국식품영양과학회지 Vol.33 No.8

        현재 대부분의 굴비제조는 마른간법을 이용한 방법이 사용되고 있다. 마른간법은 제조 과정인 섞기에 있어서 조기에 상처가 발생하기도 하여 제품의 품질을 저하시키는 단점이 있다. 따라서 물간법을 이용하여 식염농도별(20, 30%), 온도별(5, 25, 35℃), 시간별(1, 6, 12, 24 hr) 조기중의 수분과 염도의 변화 및 미생물의 변화를 살펴보았다. 물간법에 있어서 식염수의 농도가 높을수록 조기육의 탈수량도 많으며, 염장의 온도가 높을수록 식염의 조기육으로 삼투속도는 크게 나타나서 수분함량과 염도는 반비례하였다. 물간법에 있어서 식염농도 20%에서 25℃, 1시간 염장 처리하면 마른간법으로 제조되어 시판되는 굴비와 유사한 수분 및 식염함량을 얻을 수 있었다. 조기육에 대한 무게 변화를 측정한 결과, 식염농도 20%에서 24시간 후 5℃에서는 중량이 4% 정도 증가하고, 25℃에서는 변화가 없었으며, 35℃에서는 7%정도 감소하였다. 반면 식염농도 30% 경우 5℃에서 1%정도 중량 감소가 있었고, 25℃와 35℃에서는 각각 9%와 13%정도 감소를 나타내었다. 조기육의 미생물수는 식염농도 20%에 침지한 것이 식염농도 30%에서보다 1 log 이상 높게 나타났고, 저장온도가 높을수록 미생물수은 증가하였다. 침지액속의 미생물 수는 조기육보다 1 log 정도 낮은 값을 보여주었다. 양파껍질 추출물을 이용하여 조기에 처리한 결과 처리구가 무처리구 보다 명도(L값)와 황색도(b)값이 높게 나타났고, 양파껍질 추출물은 조기로부터 추출한 지방에 대하여 대조구와 비교하여 낮은 산가를 보여주었다. For the development of better Gulbi processing, brine salting method was applied for the Yellow croaker (Larimichthys polyactis). The changes of moisture contents, salt contents, and total microbial numbers in Yellow croaker were measured following different brine concentration (20, 30%), temperature (5, 25, 35℃), and soaking time (1, 6, 12, 24 hours) by brine salting method. Rate of salt penetration into Yellow croaker muscle increased as higher brine concentration and higher dipping temperature. When compared to commercial products of Gulbi by dry-salting method, the moisture and salt contents in Yellow croaker showed similar values after treated with 20% brine at 25℃ for 1 hour. The weight of Yellow croaker increased about 4% when immersed it in 20% brine at 5℃ for 24 hours. There was no weight change at 25℃ dipping temperature and reduced 7% of weight at 35℃ dipping temperature. At 30% brine concentration, the weight of Yellow croaker reduced 1%, 9%, and 13% on weight at 5℃, 25℃, and 35℃, respectively. Total microbial counts in Yellow croaker muscle soaked at 30% brine showed 1 log lower numbers than 20%. The muscles had about 1 log higher microbial numbers than the treated brine solution. An ethanol extract of onion peel added to brine for giving better color and for preventing oxidation on Gulbi lipid. The treated group showed higher L and b values on Gulbi surface as well as antioxidant effect on the extracted oil.

      • SCOPUSKCI등재

        고추장굴비의 저장성 향상에 관한 연구

        신미진(Mee-Jin Shin),강성국(Seong-Gook Kang),김정목(Jeong-Mok Kim) 한국식품영양과학회 2001 한국식품영양과학회지 Vol.30 No.6

        마늘, 유자 추출물, 에탄올이 첨가된 고추장굴비를 제조하여 20℃와 40℃에 제품을 보관하면서 총세균수, 효모ㆍ곰팡이수 및 TBARS 값들의 변화를 살펴보았다. 30일간 20℃에 서 제품을 보관하였을 때 5% 마늘추출물의 첨가는 대조구와 비교하여 숙성된 고추장의 효모ㆍ곰팡이수가 약 1.5 log 정도 낮게 나타났다. 굴비의 체내 지방은 삼투압 작용에 의해 고추장으로 빠져 나옴으로 인하여 굴비의 TBARS 값은 오히려 상대적으로 조지방의 감소와 비례하여 줄어든 반면, 고추장에서의 TBARS 값은 증가하였다. 제품을 20℃에 저장하였을 때 미생물 성장억제 효과는 마늘추출액, 유자정유, 에탄올 순으로 나타났으며, TBARS값에 있어서는 저장중에는 유자정유 추출물이 다소 효과적으로 항산화효과를 보였지만 최종적으로 처리구들과 대조구간에는 큰 차이점은 없었다. 본 연구의 결과 마늘 추출액을 첨가한 고추장굴비 제품이 맛 뿐만 아니라 효모 및 곰팡이에 대해서는 좋은 성장 억제 효과를 보였다. Kochujang-gulbi, a traditional food in Chonnam province of Korea, was prepared with kochujang and dried gulbi slices. The crude lipid contents of kochujang and gulbi in the product were 3.08% and 15.6% at 0 day, respectively. After 7 days, the lipid contents were changed to 8.15% and 9.72%. The moisture content and VBN of kochujang and gulbi in the product were reached to the equilibrium after 7 days. In the kochujang-gulbi product, the TBARS value in gulbi was reduced because the lipid from gulbi permeated into kojuchang, while the value in kochujang was increased. To prevent the growth of microorganisms and lipid oxidation from the kochujang-gulbi, 0.5% (w/v) garlic extract, citron essential oil, or ethanol was added to the product. The garlic extract and ethanol were very effective to inhibit the growth of mold and yeast at 20℃. The products treated with the garlic extract and citron oil were shown significantly lower microbial number than control for 30 days storage. The addition of citron oil to kochujang-gulbi showed lower TBARS value than other treatment.

      • KCI등재

        굴비의 지방산 조성과 지방산화에 마늘과 양파즙이 미치는 영향

        신미진(Mee-Jin Shin),김정목(Jeong-Mok Kim) 한국식품영양과학회 2004 한국식품영양과학회지 Vol.33 No.8

        현재 대부분의 굴비는 마른간법을 이용한 방법이 사용되고 있다. 마른간법은 제조 과정인 섞기에 있어서 조기의 상처가 발생할 뿐만 아니라 품질이 균일하지 못한 단점이 있다. 물간법을 이용하여 굴비를 가공할 때 상승효과를 위해서 10% 양파즙, 10% 마늘즙, 또는 양파즙과 마늘즙을 동량혼합한것을 10% 첨가하고 12일간 상온에서 저장하면서 TVB-N, TBARS, TMA, 총균수변화를 관찰하였다. 분석결과 마늘과 양파 혼합즙액으로 처리한 제품에서의 TVB-N 값은 88.2 ㎎/100 g, TMA와 TBARS는 각각 14.13 ㎎/100 g과 3.1μ㏖/kg으로 여러 처리구 중 가장 낮은 값을 보여주었다. 굴비의 지방산 조성은 30일간 저장하면서 생조기, 염장조기, 마늘과 양파 혼합즙액을 처리한 염장조기에 대하여 지방산의 변화를 살펴본 결과 생조기와 굴비 모두 포화지방산의 비율은 32~35%로 나타났으며, 포화지방산 중 가장 많은 비율을 차지하는 것은 palmitic acid로 21~23%였다. 불포화지방산 중 이중결합이 1개인 monoenes의 비율은 39~45%범위로 oleic acid가 가장 많은 비율을 차지하였다. 다가 불포화지방산의 비율은 생조기는 14%였으나 5일 건조한 것은 15~19%로 나타났다. 저장 30일째 ω-3계 지방산인 docosahexaenoic acid, eicosapentaenoic acid에 있어서 염장 않은 굴비는 7.37%와 3.71%를 보여 주었으나, 물간법에 의한 굴비는 9.46%와 4.08%, 마늘 양파 혼합즙액이 함유된 물간법으로 제조된 굴비에서는 9.91%와 4.25%로 높게 나타났다. To improve the quality of Gulbi, 10% garlic juice (GJ), 10% onion juice (OJ), and 10% garlic and onion juice mixture (GOJ) were added to the brine solution as a wet-salting method. The changes of total volatile basic nitrogen (TVB-N) and trimethyl amine (TMA) production, thiobarbituric acid reactive substance (TBARS) value, and total microbial numbers in Gulbi were analyzed during storage at room temperature for 12 days. The group treated with 10% GOJ showed the lowest values of 88.2 ㎎/100 g in TVB-N, 14.13 ㎎/100 g in TMA, and 3.1 μ㏖/kg in TBARS. The fatty acid profile of Gulbi was analyzed on 5, 15, and 30 days to investigate the effect of GOJ treatment. The group treated with GOJ showed higher C22:6 (9.91%) and C20:5 (4.25%) contents than control (7.37% and 3.71%, respectively), but had lower C18:1 (24.44%) content. The saturated fatty acid content in Gulbi was 32~35% and the C16:0 (21~23%) was predominant in it. Oleic acid was major unsaturated fatty acid in Gulbi. The contents of polyunsaturated fatty acids (C18:3, C20:5, C22:6) were decreased after 30 days but increased the saturated fatty acid (C16:0) and monoenes (C16:1 and C18:1). The Gulbi treated with GOJ by brine salting method showed higher DHA and EPA (9.91% and 4.25%, respectively) contents than the control group.

      • KCI등재

        미강 첨가량에 따른 단기숙성 간장의 제조 및 특성 분석

        정수지(Su-Ji Jeong),신미진(Mee-Jin Shin),정성엽(Seong-Yeop Jeong),양희종(Hee-Jong Yang),정도연(Do-Youn Jeong) 한국식품영양과학회 2014 한국식품영양과학회지 Vol.43 No.4

        미강은 우수한 영양과 기능적 가치를 함유하고 있지만 식미를 떨어뜨리고 저장성이 매우 낮아 효과적인 활용에 어려움을 갖고 있다. 따라서 간장의 원재료인 대두와의 혼합을 통한 다양한 맛 추구와 전분 및 단백 분해력이 높은 균주를 활용해 낱알형태의 콩알메주를 제조해 총 질소 함량의 증가를 통하여 약 12개월의 간장 제조 기간을 약 1개월로 단축하고자 콩알메주와 미강을 5:5, 7:3, 9:1, 10:0의 비율로 25%의 염수에 담구고 발효하면서 특성을 비교하였다. pH의 변화는 발효 0일 평균 pH 5.82에서 2주간 발효 후 pH는 평균 6.01로 큰 변화를 보이지 않았다. 당도는 초기 21~22˚Brix에서 발효가 진행됨에 따라 제조한 간장 모두 30~32˚Brix로 높아졌고, 염도 또한 발효기간 중 모든 실험구에서 20%이하로 일정 수준을 유지하며 큰 변화를 보이지 않았다. 총 질소의 경우 발효 2주차에 1.62%로 9:1과 10:0 비율이 가장 높은 함량을 보여주었고, 아미노태 질소 함량은 비율별실험구에서 48.02~62.95 mg%으로 발효기간에 따라 증가하였으며, 발효 2주 후에는 448.84~625.52 mg%를 나타냈다. 바이오제닉 아민 중 히스타민과 티라민 함량은 앞서 보고된 일반 전통간장(히스타민; 225.9 mg/kg, 티라민; 241.6mg/kg) 및 양조간장(히스타민; 129.8 mg/kg, 티라민; 594.5 mg/kg)에 비해 본 연구에서 제조한 간장이 히스타민 35.85~72.81 mg/kg, 티라민 41.04~75.31 mg/kg으로 적게 함유되어 있는 것을 확인하였다. 총 유리아미노산 함량은 9:1의 비율의 처리구가 8,804.03 mg/kg으로 가장 높았으며, 구수한 맛을 내는 aspartic acid와 glutamic acid의 함량 역시 각각 504.25 mg/kg과 1,262.25 mg/kg으로 높았고, 단맛을 내는 serine과 alanine의 경우에도 각각 49.50mg/kg과 518.75 mg/kg으로 가장 높게 나타났다. 최종적으로 관능평가 결과 총 질소, 아미노태 질소, 바이오제닉 아민, 총 유리아미노산 함량에서 모두 우수한 결과를 보였던 9:1의 비율로 제조한 간장의 기호도가 가장 높게 나타났다. Rice bran contains both excellent nutritional value and functional advantages. Its utilization is limited due to reducing texture and low storage. To satisfy various tastes, Bacillus spp. having high amylase and protease activities were selected. Using the strains, we made whole grain soybean Meju with a reduced manufacturing period by increasing the concentration of total nitrogen. We made soy sauces with mashing ratios of soy bean and rice bran at 10:0, 9:1, 7:3, and 5:5, and then compared their physiochemical properties. After 2 weeks of fermentation, the sugar content increased from 21~22% to 30~32%. However, pH and salinity showed no differences. At a ratio of 9:1, total nitrogen, amino nitrogen content, and total free amino acid contents were the highest at 1.62%, 652.52 mg%, and 8,804.03 mg/kg, respectively, compared to other mashing ratios of soy bean and rice bran. Especially, the contents of aspartic and glutamic acid, which increase delicate flavoring, were higher in our soy sauce compared to those of general traditional soy sauce and brewed soy sauce, which were 504.25 and 1,262.25 mg/kg, respectively. Serine and alanine, which are related to sweet taste, were present at 49.50 and 518.75 mg/kg, respectively, which were the highest among all mixing ratios, at a ratio of 9:1. Compared to general traditional soy sauce and brewed soy sauce, the contents of histamine and tyramine among biogenic amines decreased to 35.85 and 41.04 mg/kg, respectively. Finally, a soy bean and rice bran mixing ratio of 9:1 was determined to be the optimal mixing ratio in the sensory evaluation.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