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무료
      • 기관 내 무료
      • 유료
      • KCI등재

        조계종 표준본 금강경에 나타난 심법 소고

        신명희 ( Sin Myung-hee ) 동아시아불교문화학회 2017 동아시아불교문화 Vol.0 No.29

        『금강경』은 대승불교 초기 반야부 경전으로서 空 사상이 중심이다. 이 경전에서는 공의 실천으로 무상·무주·무주심 등으로 공사상을 표현하고 있다. 『금강경』이 선종의 소의경전으로서 반야행인 無住相의 心[→無住心]이 여러 측면으로 제시되어 있다. 이 무주상은 경전 서두에서 제시한 `어떤 마음 자세를 가져야 하며, 어떻게 그 마음을 다스려야 하는가?`에 대한 답이기도 하다. 여기서 `그 마음을 다스리는 가?`의 그 마음이란 번뇌심이다. 이 경에서 는 번뇌를 여읜 무주심의 자리가 깨달음의 경지인 청정심의 경지이다. 이 무주심은 應無所住 而生其心으로 표현될 수 있는데, 인간의 지각 대상인 6境에도 집착이나 관념을 두지 말고, 마음을 내라는 뜻이다. 6바라밀에 있어서도 無住相的 行이어야 한다. 또한 이런 無住心이므로 과거ㆍ현재ㆍ미래, 삼세 어떤 시점에서도 마음을 찾을 수 없으며, 파악될 수 없다. 그래서 선사들은 삼세에 마음을 두지도 말고, 마음이 일어났으되 그 일어난 근원자리를 看하라고 하였다. 이러한 측면을 염두에 두고, 『금강경』에 나타난 心을 주제로 선 사상 측면에서 살펴본다. “The Diamond-sutra” is an early Banyabu scripture of Mahayana Buddhism which focuses its idea in “emptiness.” This scripture is a practice of emptiness and expresses the emptiness idea in doctrines such as empty mind, ownerless and ownerless mind. As a Soeui scripture of Zen sect, “The Diamond-sutra” presents emptiness mind which is Banyahaeng in many aspects. This emptiness mind is also a response to a question `what kind of mind should a person keep, how he must control the mind` which is presented at the beginning of the scripture. The emptiness mind position is in Cheongjeongsim (clean spirit) stage, which is the stage of enlightenment. Such emptiness mind can be described as Eungmusoju Isaenggisim, which means draw out mind without having an obsession or idea in six boundaries which are objects of human`s sense. One must practice a behavior of emptiness mind even in six paramita. Also because it is an emptiness mind, one cannot find its heart and cannot be understood in any stage of three worlds. Therefore, ancestors insisted not to fix mind in the three worlds, but observe the essence of the mind which it was caused.

      • KCI등재

        여인성불에 대한 당위성과 모순점에 대한 일고(一考)

        신명희 ( Sin Myung-hee ) 동아시아불교문화학회 2018 동아시아불교문화 Vol.0 No.33

        불교는 성불 지향의 종교이다. 깨달음을 관건으로 하는 불교에 있어 불성과 여래장은 중요 요소이다. 불성과 여래장은 중기대승 불교 경전을 중심으로 발달했지만, 『유마경』이나 『법화경』 등 초기대승 경전으로 연원을 거슬러 올라간다. 불성과 여래장은 누구나 깨달을 수 있는 가능성을 의미하는데, 바로 성불의 근간이 되기 때문이다. 곧 누구에게나 불성·여래장이 내재되어 있으므로 깨달을 수 있다고 하는 사상인데, 여기에 여성이 포함되는 것은 당연한 일이다. 부처님 당시 여성은 비구니만의 계율인 팔경계가 있었지만 성불에 있어서는 긍정적이었다. 그런데 부파불교 시대를 거쳐 대승불교에 이르기까지 여성에게는 성불에 제약이 따랐다. 부파불교 시대 때부터 중기대승 경전에 이르기까지 여인오장설이 등장하며, 초기대승 경전에 여인은 남자몸으로 한번 바뀐 뒤에 성불할 수 있다는 변성성불론 등 불합리한 점이 제시되어 있다. 그런 반면에 대승불교 경전에는 여성성불할 수 있다는 당위성이 행간에 드러나 있다. 그런데 여성성불에 대한 부정적 견해를 완전히 불식시킨 경전이 중기대승 불교시대 편찬된 『승만경』이다. 이 경전에는 여성에 대한 편견이 전혀 없다. 『승만경』은 '승만'이라는 여성 재가자가 부처님으로부터 수기를 받고, 설법하는 것을 내용으로 전개된다. Buddhism is the religion towards Attaining the Buddhahood. The religious sect which regards the enlightenment as the most important is the Dhyana School, it's hard not to say about Seon except for Buddha-dhatu and Tathagatagarbha, so they are significant factors in its school. Buddha-dhatu and Tathagatagarbha were developed mainly with the sutras of Mahayana Buddhism in the middle period, but we should trace back to the Vimalakirti Sutra or the Lotus Sutra etc of early Mahayana Sutras for its origination. These Buddha-dhatu and Tathagatagarbha means the possibility of whoever is able to gain the enlightenment, because it is the basis of practice. This is the thought that whoever can attain the enlightenment because of the inherent Buddha-dhatu, it is the right thing that women are included in it. However, there were lots of constraints for the women's Buddha-dhatu from the first woman's priest at the time of Buddha to the Mahayana Buddhism through the time of early buddhist schools. That is, there were the eight commandments that only Bhikkhunis should keep at the time when they joined the Buddhist priesthood, the Women's five obstructions was appeared from the time of early buddhist schools to the sutras of the middle of Mahayana Buddhism, the Byeonseongseongbul-ron(變性成佛論) that women could gain the Buddha-dhatu after changing their bodies to man's body in sutras of Mahayana Buddhism etc, there are lots of unreasonable parts for women. Such like this, there are many negative points on women in the collection of Buddhist sutras, but there has no any bias on women in the Srimaladevi Simhanada Sutra which was compiled around the middle of Mahayana Buddhism. The Srimaladevi Simhanada Sutra has the content that a woman Upasika, 'Seungman', received a prediction of enlightenment and then gave a buddhist preach.

      • KCI등재

        『금강경(金剛經)』의 선리(禪理)에 대한 고찰

        신명희 ( Myung Hee Sin ) 동아시아불교문화학회 2015 동아시아불교문화 Vol.0 No.24

        『금강경』은 우리나라 조계종의 소의경전이기도 하지만, 동아시아 선종의 소의경전이기도 하다. 우리나라는 삼국시대 때 유입되어 고려 때 보조 지눌이 초심자들에게 공부하는 경전으로 독송토록 하였다. 『금강경』은 대승초기 경전으로 반야부 경전이다. 그런데 반야부의 대표적인경전으로서 공이라는 말이 한 번도 등장하지 않는다. 공사상이 없는 것이 아니라 無相과 無住, 無我와 卽非論理 등 실천적 측면으로 전개되어있기 때문이다. 반야부 경전이 귀착되는 곳은 하나이다. 바로 『금강경』에 드러난 無相인데, 이 법문이 最上乘 법문으로 여겨지면서 禪理의 대표적인 내용이 되었다. 無住 사상은 앞의 무상과 똑같이 실천적인 측면에서 분별이나 着하지 않는 것을 의미한다. 다음 無我 사상은 일체법에 있어 自我의 실체가 없는 진실을 깨달아 통달한다면 불법을 수행하는 참다운 보살이라고 언급할 만큼 무아가 강조되어 있다. 한편 『금강경』이 禪經으로서 禪者들로부터 애독되고 선을 정립하는데 활용되는 데는 독특한 표현 방식인 즉비논리 구조때문이다. 『금강경』은 무상과 무주, 즉비 논리를 각별개의 사상으로 논할 뿐이지 분별심, (고정)관념, 집착심, 아만심, 차별심, 편견, (대상을 인식하는) 경계, 사견, 自愛 등 번뇌 타파를 통해 지혜를 강조한다. The diamond Sutra is the main text of the Jogye Order in Korea though, it is also the main text of the Dhyana School in East Asia.In Korea, it was actually imported in the period of the three states, and was recommended by National Seon Master, Bojo Jinul to recite as the sutra for the use of study to the beginners in the Koryo dynasty. The diamond Sutra is the sutra in the part of Prajna, a sutra in the early Mahayana. But there wasn``t the word of ‘Gong(Emptiness)’ which appeared once in the sutra, even though it was a representative sutra in part of Prajna. It isn``t that there wasn``t the ideology of Gong, but it was unfolded to the practical aspect with the ideologies, Musang(無相) and Muju(無住), Mua(無我) and Jukbinonri, ‘That is, the none-reasoning’ (卽非論理). The destination of all the sutras in the part of Prajna is the one. That is Musang(無相) shown in the dimond Sutra, this dharma was considered as the most superior in China, and then became the representative of Seon Ideology. The Muju ideology means that we do not cling to the practical aspect like Musang ahead. Muju ideology is that, if we have mercy to other people, and then we should not think of it. For the next, Mua ideology was emphasized with the mention that, if we enlighten the truth which has no real body of myself(自我) and know everything in all the laws, we can be said as the faithful Bodhisattvas who practice the Dharma law. The reason why the diamond sutra was used as a Seon Sutra beloved by Seon practitioners and to establish Seon is because of the Jukbinonri system, ‘that is, the none-reasoning.’(卽非論理), a specific expression way in this sutra. The Diamond Sutra is just arguing Musang and Muju, Jukbinonri as an individual ideology, and emphasizes wisdom through breaking down the agonies, (fixed) concept, the clinging mind, vanity, the mind to discriminate, bias, (to perceive subjects) the border, private opinion, and love etc.

      • KCI등재

        법공양(法供養)과 법보시(法布施)에 대한 비교 고찰 - 『금강경』·『유마경』·『법화경』을 중심으로 -

        신명희 ( Sin Myung-hee ) 동아시아불교문화학회 2023 동아시아불교문화 Vol.- No.56

        이 논문은 대승불교 초기 경전군에 나타난 법공양과 법보시가 어떻게 전개되고 발전되었는가를 규명하려는 목적으로 작성되었다. 법공양과 법보시가 같은 사상을 의미하면서도 경전마다 문구 쓰임과 역할이 다르게 나타나 있다. 법보시는 불법을 타인에게 베푸는 이타적인 측면이 있는 반면 법공양은 타인에게 진리를 전도하고, 해탈을 향해가는 길이며, 정진하는 법이고, 중생에 대한 이타 등 대승정신이 강하게 나타나 있다. 법보시보다는 법공양의 의미가 좀 더 포괄적이다. 법공양과 법보시가 발전된 것은 대승불교가 발전하면서부터이다. 곧 불탑보다는 경탑 숭배를 강조하면서 각 경전마다 최고의 법공양·법보시를 언급하고 있다. 각 경전의 공통점은 경전에 대한 신해·수지·독송·해설·법에 대한 증득이다. 반면 법공양·법보시가 각 경전마다 조금씩 다르다. 『금강경』에서는 재보시보다는 법보시를 통해 지혜 얻는 것을 최상이라고 하였다. 그러면서 발보리심과 무주상(無住相)의 법시(法施)를 강조한다. 『유마경』에서는 선법을 증장시켜 반야보리를 증득해 해탈하는 길이 법공양이라고 하였다. 또한 보시를 할 때는 평등한 마음으로 시여하는 구족법시(具足法施)를 법공양이라고 하였다. 『법화경』에서는 경탑 숭배와 더불어 경전에 공양 올리는 일을 강조한다. 또한 소신공양을 최고의 공양이라고 하였으며, 삼업(三業)이 청정한 공양을 강조하였다. The purpose of this thesis is to establish how dharmapūjā(and dharma-offering presented in the group of sutras of early Mahayana Buddhism had developed and progressed. Although both harmapūjā and dharma-offering hold the same thought, the expression in the phrases and their roles are represented differently in each sutra. While harmapūjā has altruistic aspect of offering the Buddha-dharma to others, dharma-offering is propagating Buddha's truth to others, a way towards enlightenment and a way of rigorous self-discipline as well as a strong representation of Mahayana spirit, which is to be with every living being. In other words, dharma-offering has more comprehensive meaning than harmapūjā. As the development of the Mahayana Buddhism, harmapūjā and dharma-offering became developed as well. The common feature of each sutra is faith and interpretation(信解) of the scriptures, embracing and retaining the precepts and teaching of Buddha in heart, reading and reciting the sutra, exposition and enlightenment through realization of truth for dharma. Despite of the forementioned feature, harmapūjā and dharma-offering are described slightly differently in each sutra. In 'Diamond Sutra', it is mentioned that obtaining the wisdom through the dharma-offering is the best in spite of the numerous materialistic dāna. At the same time, it emphasizes the almsgiving of the Buddha-Dharma(法施) of vowing to devote the mind to bodhi(發菩提心) and no-abiding or non-dwelling in form of any kind(無住相). ‘Vimalakirti Sutra’ describes harmapūjā as the way to enlightenment through expanding the wholesome dharmas(善法) and realizing the wisdom-bodhi (banyabori). It also mentions dāna to all beings equally, the complete almsgiving of the Buddha-Dharma(具足法施) is the harmapūjā. ‘Saddharma-Pundarika Sutra’ emphasizes the worship of pagoda containing the scriptures as relics of the Buddha and considers that where there is Sutra, there is Buddha. Also, it considers burning the body of oneself for the pujana(veneration) to Buddha(燒身供養) is the best pujana and emphasizes pujana without the three karmas(三業).

      • KCI등재

        힐링을 위한 염불행법의 현대적 의미

        신명희 ( Myung Hee Sin ) 동아시아불교문화학회 2016 동아시아불교문화 Vol.0 No.25

        과학과 의학은 날로 발전하지만 인간의 심신은 고착된 상태에 머물러 있다. 현대인들은 경쟁사회 속에서 과도한 스트레스를 받으며 살아가고 있다. 이런 현대인들에게 불교적으로 힐링이 될 대안으로 염불이 긴요한 행법이라고 본다. 고대로부터 염불은 하근기 사람들이 하는 것으로 여겨졌다. 하지만 여러대승경전에 입각해 볼 때, 염불 행법을 통해서도 깨달음에 이를 수 있음이요,무엇보다도 염불은 상ㆍ중ㆍ하 근기의 모든 이들이 행할 수 있는 보편적인수행법이다. 단순히 칭명하는 염불만으로도 마음의 치유가 될 수 있으며, 염불 가운데 칭명염불(稱名念佛)을 방편으로 하여 명상에 접근할 수 있다. 그래서 염불과 선을 겸하거나 선정일치(禪淨一致)가 고대로부터 중국에서 발전되어왔던 이유이기도 하다. 물론 우리나라에서도 고대로부터 선사들이 수행을 하면서 염불을 겸하기도 하였다. 칭명염불의 또 다른 강점은 언제 어느 곳에서나 쉽게 실천할 수 있다는 점이다. 독서를 하면서 낭독했을 때 마음을 치유하는 효과가 있으며, 축구 선수들이 걸음을 통해 안정을 얻는다는 의학적.과학적인 실험이 있다. 이런 데서 불교의 염불도 이와 유사한 효과가 있다고 추론해볼 수 있다. 물론 근현대중국의 승려들 중에도 이렇게 염불을 행하기도 하였다. 이에 염불을 단순히 조용히 앉아서 하는 것이 아니라 신구의(身口意)와 육근(六根) 작용들을 모두 활용해 불보살을 칭명할 경우에는 상처받은 마음에 치유가 됨은 물론이요, 마음의 평온을 유지할 수 있다. Although science and medicine are being developed everyday, human``s mind and body set in the stalled-state. Contemporaries are living with excessive stress in the competitive society. I think that Buddha chanting could be a very useful method as an alternative for healing with Buddhism to such contemporaries. Buddha chanting has been considered as the thing the lesser-minded is doing from ancient times. But, as looking over several Mahayana sutras, I could find out that it was possible to gain an enlightenment with Buddha chanting, in addition, it was the practice the high, intermediate, and lesser-minded were able to do with. Especially, we can approach to meditation with the way of reciting the name of Buddha(稱名念佛) among Buddha chanting, and simply chanting a name of buddha can heal our mind. So, it is the reason why people in old times combined Buddha chanting and meditation together, and simultaneous practice of meditation in sitting and invocation of Buddha``s name were being developed in China from ancient times. Another strong positive point of reciting a name of Buddha is to let us practice easily wherever, whenever we are. It has the same effect to heal our mind like we read a book loudly, and also there is a scientific experiment that football players feel comfortable while walking. When I come to think of it, I can assume that the invocation of Buddha``s name in Buddhism has a similar effect. It is not that we are just simply in sitting for Buddha chanting, but in the case of reciting the names of buddha by using all the works of body, mouth, thinking, and 6 roots, of course, it heals scars on mind, and also, we can always keep our mind in peace.

      • KCI등재

        십우도와 목우도의 비교 고찰

        신명희 ( Sin Myung-hee ) 동아시아불교문화학회 2018 동아시아불교문화 Vol.0 No.34

        불교는 수행의 종교로서 경전과 어록은 수행법을 서술하고 있다고 볼 수 있다. 인도 경전에서는 코끼리를 통해 수행자의 모범상을 비유한 반면 중국에서는 소[牛]를 통해 수행길을 묘사하였다. 중국은 농경사회인데다 선이 태동하고 발전한 곳이 강서성과 호남성이다. 더욱이 청규 제정으로 노동과 선의 일치가 보편화되어 선사들의 선문답에 자연스럽게 축생들이 등장한다. 특히 소를 주제로 하는 선문답과 공안이 많고, 송대에 이르러 선 수행을 그림으로 묘사한 심우도가 발전하였다. 여러 심우도 가운데 곽암의 ‘십우도’와 보명의 ‘목우도’가 보편적으로 알려져 있다. 곽암의 십우도는 번뇌를 소에 비유하여 번뇌를 조복 받고 길들여, 소를 타고 집으로 돌아온 뒤에는 소도 잊고, 자신도 잊어버리는 과정을 거쳐 해탈열반 경지에 이른 뒤에 보살행을 실천한다. 반면 보명의 목우도는 목동이 소를 잃어버렸다고 생각하지 않고, 눈앞에 있는 소를 길들이는 데서부터 출발해 미혹 속에 있는 눈앞의 현실을 중시한다. 검은 소가 점차 흰 소로 바뀌는, 곧 오염된 성품을 닦아 청정한 지혜를 발하게 하는 점오의 과정을 표현하였다. Buddhism is a religion of asceticism therefore its teachings and scripts describe how to perform asceticism. While Indian teachings emphasizes an elephant as the model for a proper ascetic, China emphasizes a cow as the representation for performing asceticism. China is an agricultural country the region Zen sect developed was Jangxi and Hunan. In addition, the establishment of pure regulations lead the popularization of the uniformity between Zen and labor resulting in various animals appearing in the questions and answers of Son among many Son masters. There are many questions and answers of Son and Gongan with a cow theme, and in the Northern Song period. Ten Ox-herding pictures grew as the paintings depicting Zen asceticism. In particular, Ten Ox-herding pictures by Kuoan represented anguish as cows to practicing Buddhism by reaching the level through the submission of anguish, and returning home on the cows back then forgetting about the ox and forgetting about oneself in order to reach nirvana. On the other hand, Puming's Ox-herding pictures focuses on the reality in front of one’s eyes by starting from the herdsman raising the ox rather than thinking that the ox is lost. The change from a black ox to a white ox represent the process of gradual cultivation which is the act of cleaning one’s corrupted character to obtain clean knowledge.

      • KCI등재후보

        大行 語錄에 나타난 無心思想

        신명희(정운)(Sin, Myung-Hee(jungun)) 대행선연구원 2019 한마음연구 Vol.2 No.-

        선적인 측면에서 본래 깨달아져 있다는 사상을 본각·본래성불이라고 하는데, 이는 본체적인 측면이다. 본체적인 측면에 작용적인 측면인 무심이 흐르고 있다. 『금강경』의 보리심이나 청정심이 본체적인 측면이라면 무주상無住相·무주심無住心·무심無心은 작용적인 측면이다. 또 『유마경』에 묘사된 해탈·열반·보리가 본체적인 측면이라면, 분별심[所住心]이 없는 무구無求·무소득심無所得心·불이不二 등은 작용적인 측면이다. 『법화경』·『화엄경』·『열반경』 등 본각의 이면에 작용적인 측면인 무주심·무심이 기저에 흐르고 있다. 대행의 사상도 본체적인 선관에 무심이 작용하고 있다. 대행의 한마음·주인공은 시공간적인 측면에서 무변하고 영원한 한량한 힘을 갖고 있다. 그러면서 작용적인 측면으로 믿고 맡김에 있어 주인공과 맡기는 나를 분별하지 않고 무심하게 맡기라고 하였다. 또한 수행차제에서나 보살행에 있어, 일상적인 삶에 있어서도 욕심과 집착을 비우고 무심할 것을 강조한다. Originally, the ideology of being enlightened is called "Bongak" and "Bonraeseongbul". This is the body aspect. If the borisim or the cheongjeongsim of the Diamond Sutra are the body aspects, the mujusang, the mujusim, and musim are the action aspects. Also, if the vimutti, the nirvana, and the bodhi that are described in the Vimalakirti Sutra are the body aspects, the innocence, the mind of the no gain, the non-duality, etc., which do not have the mind of distinguishing, are the action aspects. In the many Mahayana sutras, including the Sutra of the Lotus, the Avatamska Sutra, the Sutra of Nirvana, etc., the action aspects of the mind of the ownerlessness and the mind of the indifference have been flowing in the base on the other side of the origianal enlightenment. Indeed, the action aspect of the indifference has been flowing in the body aspect. Regarding the ideology of the Daehaengseonsa, the indifference has been acting in the seongwan. The protagonist Hanmaeum in the Daehaengseonsa possesses the unchanging, eternal, and abundant power regarding the spatiotemporal aspect. Meanwhile, with regard to believing and entrusting with the action aspects, it was told to indifferently entrust without distinguishing between the protagonist and myself, who is entrusting. Also, with regard to the performance now or the Bodhisattva’s Journey or the everyday life, it is emphasized that the greed and the obsession must be emptied and that one must be indifferent.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